김준호 기자(사회부)
전주시가 최근 추진하고 있는 대중교통 환승체계 도입 및 고택 이축과 관련해 이해관계가 있는 인근 자치단체의 반대에 부딪혀 적잖은 고민을 하고 있다.
시는 이달 10일 열린 ‘전주시 대중교통계획 및 연차별 시행계획’용역 보고회에서 버스 운송수지 적자와 서비스 악화 등을 해결하기 위해 전주·완주 경계부근에 환승지점을 설치·운영하는 지·간선체계 도입이 필요하다는 결론이 제시됨에 따라 이를 중기적으로 도입하는 방안을 검토키로 했다.
그러나 용역결과 발표된 직후인 13일 완주지역 일부 주민들은 반발하고 나섰다.
완주군의회 모의원은 기자회견을 갖고 “산간 오지노선이 많은 완주군 지역 서민에게 불편을 안겨주는 제도”라며 강력 반대했다.
시는 적잖게 황당해 했다. 용역결과는 대중교통체계의 개선방향이 제시된 것일 뿐으로, 최종 사업이 결정되지 않은 상황에서 반대의견이 먼저 제기됐기 때문.
시 관계자는 “지나친 과민반응”이라면서 “비판 보다는 어떻게 하면 변화된 상황에 대처할 지를 고민하는게 우선이어야 한다”면서도 말을 아꼈다.
이어 전통한옥건립사업의 일환으로 김제시 금구면에 소재한 전통가옥 일체(안채 등 4동)를 건물 소유주로부터 기부를 받아 한옥마을내로 이축할 계획도 적잖은 저항을 받았다.
고택기부 발표 이후에 김제시가 ‘우리가 할려고 했는데, 전주가 가져가면 어떻게 하냐’며 전주시에 서운함을 전했다. 금구지역 주민들도 ‘그동안 김제시는 뭐 했느냐’며 항의하는 등 진통이 뒤따랐다.
모두가 예기치 못한 상황들이었다. 그렇다고 대놓고 반박을 할 수도 없다. 불필요한 갈등을 만들 필요가 없는 시가 속앓이를 하는 이유이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