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용수(남원경찰서 중앙지구대)
졸업 시즌이 다가옴에 따라 초·중·고등학교 학교에서는 졸업에 대비하여 각종 준비를 하고 있지만 학생들 마음과는 다른 것 같다.
설레이는 학생, 아쉬운 학생, 새로운 세상에 대한 기대감등 만감이 교차되는 시기이다.
졸업하면 떠오는 것이 있다. 밀가루 뿌리기, 계란던지기, 얼굴에 색칠하기, 물에 빠치기, 교복 찢는 행위, 친구들과 술 먹고 놀기, 폭력 행위 등등 우리아이 에게 정말로 필요하고 좋은 추억인지 우리 모두 생각해 봐야 한다.
학교 당국에서는 이런 좋지 않은 추억 만들기를 금지하도록 지시하고 시행하고 있지만 근본적인 대책 없이는 사라지지 않고 있으며 심지어는 이런 피해로 인해 영구마비가 되어 불구자로 살아야 하는 사건까지 발생하게 되었다.
우리 어른들도 했으면서 아이들에게 나쁘니까 무조건 하지 말라고 하는 것은 어불성설이다. 또 우리 아이에게 좋은 추억을 만들어 주기 위해 학부모 나 학교 당국은 얼마나 노력했는지 반성해야 한다. 단지 교복 물려주기 운동만 전개 할 것이 아니라 교복 물려주는 의례를 졸업식 때 상징적으로 할 수도 있고 후배에게 물려줄 수 있는 물건을 물려주는 행사도 가능하고 얼마든지 좋은 전통을 개발하여 학생들에게 물려줄 수 있다.
졸업을 마치고 교복이 찢어진 채 흐트러진 모습으로 거리를 배회하고 마치 모든 것을 마친 사람처럼 돌아다니는 것을 볼 때 경찰관으로써 답답할 때가 많다. 형식에 짜여진 졸업행사를 마치고 밀가루 뿌리고, 계란·식초·초장 던지고, 기념촬영하고 이런 형식적인 행사보다는 학교당국에서는 졸업식의 의의를 살리고 지역 학교특성과 지역 실정에 맞는 졸업식을 심어주기 위해 우리나라 및 외국의 전통 사례를 적극 발굴·전파하여 좋은 전통을 이어갈 수 있도록 도와주어야 한다. 그리고 엄숙하면서 축제 분위기의 졸업식이 될 수 있도록 초등학교 때부터 가르쳐야 한다.
졸업식 때에 좋은 전통이 선·후배 간에 이어진다면 졸업하는 학생들이나 재학생들에게 자기 학교에 대한 명예도 심어주고 졸업시즌에 탈선도 막으면서 새로운 생활에 대한 우리아이들에게 비전을 줄 것이라 믿는다.
/한용수(남원경찰서 중앙지구대)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