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8 13:59 (Sat)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경제 chevron_right 서비스·쇼핑
일반기사

[똑똑한 소비자] 시원한 여름 위한 침구 선택

쿨 메모리폼 베개 숙면 도움…약한 피부에 시어서커 인기

여름이 성큼 다가왔다. 갈수록 빨라지는 더위에 봄·가을을 제대로 느낄 수 없을 정도이다. 벌써부터 '더운 여름을 어떻게 이겨낼까' 걱정이 앞선다. 열대야를 극복하기 위해선 시원한 침구를 선택하는 것도 한 방법이다. 예전에는 여름 침구하면 '삼베'와'마'를 떠올렸지만, 요즘은 인조·혼방 소재도 다양하게 출시돼 선택폭이 넓어졌다. 나의 체질에 맞는 여름 소재를 선택하는 것도 중요하다.

 

◆ 통기성·흡습성 소재 좋아

 

여름 침구 소재는 자체의 성질이 차거나 통기성이 좋은 소재, 습기를 잘 빨아들이고 쉽게 마르는 것이 좋다. 마·대나무 섬유·레이온 등이 대표적이다.. 마나 대나무 섬유는 성질이 차서 피부에 닿았을 때 서늘함을 느낄 수 있고, 주변 기온을 낮춰준다.

 

베개는 부드럽고 머리에 닿는 촉감이 좋은 '메모리폼' 제품이 숙면을 도와준다. 메모리폼 베개는 통기성이 부족한 것이 단점인데, 통기성이 좋은 패드를 넣은 '쿨 메모리폼' 베개를 선택하면 도움이 된다.

 

특히 옷을 벗고 자는 사람들이 많은데, 이는 잘못된 방법이다. 사람은 자면서 한 컵 정도의 땀을 흘리는데, 옷을 벗고 자면 땀이 이불에 스며든 후 마르면서 또 열이 나기 때문에 더 더워진다. 따라서 흡습성이 좋고 젖어도 잘 마르는 소재의 잠옷을 입고 자는 것이 좋다. 모시나 지지미 등으로 만든 잠옷을 입고 자면 시원하게 잘 수 있다. 그러나 피부에 닿는 느낌이 거칠거나 뻣뻣한 소재는 숙면을 방해할 수 있으므로 피해야 한다. 죽부인과 대나무 베개, 수면 안대, 아로마 램프 등도 숙면에 도움이 된다.

 

◆ 체질에 맞는 여름침구 선택

 

△ 더위를 타고 땀이 많이 나는 체질= 마의 일종으로 열전도가 잘 되고 촉감이 차가운 삼베와 모시가 적당하다. 삼베는 대마를 거칠게 가공해 민감한 피부에는 따끔거리거나 피부가 빨개지기도 하니 주의해야 한다. 모시는 피부에 잘 붙지 않아 청량감이 좋고 흡습성은 물론 촉감도 뛰어나다.

 

△ 피부가 연약한 체질= 몸에 잘 붙지 않고 소재가 얇은 시어서커, 리플이 좋다. 시어서커는 면·면혼방 섬유의 표면을 오톨도톨하게 만들어 피부에 엉기지 않아 여름철 침구 소재로 인기다. 리플 역시 천연섬유에 약물, 열처리를 해 통기성이 뛰어나다.

 

△ 몸에 열이 많은 체질= 차가운 실크 느낌을 가진 레이온(인견)이 제격이다. 몸에 붙지 않고 가벼우며 산뜻할 뿐만 아니라 땀 흡수력도 좋다. 누빔 처리가 된 것은 누빔이 촘촘한지 확인해야 한다. 폴리에스테르가 섞여 있으면 원형이 쉽게 흐트러지고, 세탁한 뒤 풀기가 없어지므로 레이온 100% 제품을 구입하는 것이 현명하다.

 

△ 아토피 등 민감한 피부= 기능성 침구를 선택한다. 천연염료인 황토는 독소제거, 정화작용, 향균 등의 기능이 있다. 화학염색이나 가공을 하지 않은 천연염색 제품은 공기 투과율이 좋고 땀 흡수력, 항균력이 뛰어나 알레르기성 피부에 효과적이다.

 

롯데백화점 관계자는 "장마와 여름철에는 시원한 잠자리를 만들어 주는 침구세트로 집안 분위기를 환기시키는 것도 더위를 이겨내는 한 방법"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조동식 desk@jjan.kr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경제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