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민에게 긴급 자금을 빌려주는 '햇살론'의 대출 심사기준이 유연해진다.
영세 자영업자의 창업자금과 운영자금을 빌려주는 미소금융 사업엔 지역 사정에 밝은 인사들이 대출 적격자를 추천하는 시스템이 도입된다.
금융위원회는 14일 열린 국민경제대책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서민금융 활성화 계획을 보고했다.
금융위는 기존의 총부채상환비율(DTI0 대신 종합신용평가모형을 개발, 햇살론 대출금액이나 보증한도를 정하기로 했다.
햇살론은 연소득이 2천600만원 이하거나, 신용등급 6등급 이하면서 연소득이 4천만원 이하면 연 10~13%의 금리로 긴급생계자금과 창업자금 등을 빌려주는 제도다.
그런데 햇살론 심사기준으로 총부채상환비율(DTI)을 적용하다 보니 소득을 증명하는 게 쉽지 않은 자영업자는 자금 융통에 어려움을 겪는 문제점이 나타났다.
실제로 지난해 7월 도입된 햇살론은 약 11개월 동안 1조6천억원이 대출돼 연간대출목표 2조원에는 다소 못 미쳤다.
금융위 안형익 서민금융팀장은 "종합신용평가모형을 도입하면 소득뿐 아니라 대출상환실적 등이 고려돼 DTI보다 유연하게 대출심사를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아울러 고금리 대출의 대환(빚을 갚기 위한 대출)을 목적으로 한 햇살론은 대출한도를 상향 조정하는 한편, 일주일 넘게 걸리던 심사기간도 최대한 줄이기로 했다.
기초수급자, 차상위계층, 7등급 이하 서민에 최고 연 4.5% 금리로 창업자금과 운영자금을 빌려주는 미소금융은 전국 2천47개 지점이 '지역 밀착형'으로 운영된다.
지방자치단체, 대학, 종교단체, 상인단체, 언론사 등과 협의체를 꾸려 지역사정에 밝은 사람들이 대출 대상자를 추천한 경남 거제지점이 모범사례로 제시됐다.
또 세탁업중앙회, 미용사협회, 한국화원협회 등 17개 자영업단체와 300여개 상인회의 도움을 받아 지원대상을 발굴하기로 했다.
미소금융 대출을 받고도 사업이 좀처럼 잘 풀리지 않으면 업종 전문가 등 1천명이상이 참여한 '성공 노하우 전수단'이 도움을 준다.
대학생과 회사원 등 자원봉사인력 3천여명이 참여한 '미소희망봉사단'은 부족한 일손을 돕는다.
금융위는 이 밖에 신용회복위원회와 지원협약을 맺은 참여기관을 늘려 채무조정실효성을 높일 계획이다.
성실하게 빚을 갚는 지원자에게 지원하는 긴급 생활안정자금 규모는 지난해 700억원에서 올해 최대 1천200억원까지 늘리기로 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