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들은 안철수 바람과 박원순 서울시장 당선으로 나타난 시민들의 바람이 전북에서는 ‘찻잔 속의 태풍’으로 끝날 것으로 기대하며 폄하하고 있다. 변화와 혁신을 외치지만 당내에서의 발언이나 행동을 보면 두 세 명의 의원을 제외하면 속내는 기득권에 안주하려 한다. 이와 같은 상황을 극복하는 것은 깨어 있는 시민들이 행동하는 시민으로 나서 내년도 총선에 적극적으로 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여기에 더해 많은 새로운 정치신인들이 나서 시민혁명이 가능한 조건을 만들어야 한다. 특히 지방자치 20여 년 동안 검증된 지방자치 일꾼들이 많이 나서야 한다. 현역 기득권에 맞설 수 있는 인사들이 절대적으로 부족하고 지지도가 아니라 인지도 선거로 전락한 과거의 선례를 극복하기 위해서도 적극적인 출마를 권유하고 싶다. 현행 선거법은 국회의원들이 자신의 기득권을 지키기 위해 교묘하게 법을 비틀어놔 지방자치 일꾼들의 국회의원 출마를 어렵게 만들어 놓았다. 동시선거가 아닌 조건에서 지방자치 일꾼들은 임기 중에 중도 사퇴를 해야만 출마가 가능했고 중앙집권적인 정당들은 이를 빌미로 예선 탈락을 시켜 감히 출마를 결단하지 못하게 해놓은 것이 현실이다. 중도사퇴를 무기로 지역 여론을 호도하여 ‘예산을 낭비하느니, 약속을 위반하느니, 재선거를 만든다는 둥’하며 자신들의 권위에 도전한 지방자치 일꾼들을 매장시켜 왔다. 필자가 소속된 시민단체들도 지방자치 일꾼들의 이러한 점을 알면서도 비판을 했던 것이 사실이다. 본의 아니게 검증된 싹을 미리 자르는 것에 일조한 것이다. 하지만 전북의 정치 상황을 고려하고 현재 입지자들의 현황을 볼 때 더 이상 이러한 논리로 지방자치일꾼들의 국회진출을 막아서는 안된다는 생각이다. 아니 적극적으로 독려하고 참여해야만 경쟁력 있는 구도가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전북은 전국 유일하게 지방자치 일꾼의 국회의원이 없는 지역이다. 이제 지방자치 일꾼들과 시민사회의 깨끗한 입지자들로 현역 기득권 의원들과 정치철새들, 무늬만 전북인들의 독무대인 총선의 판을 바꾸어보자. 대안을 만드는 과정부터 변화와 혁신은 시작된다. 건강하고 깨끗한 정치 신인들과 검증된 지방자치일군들의 적극적인 선거 참여와 시민들의 지지와 성원으로 ‘그 밥의 그 나물’의 선거판을 획기적으로 바꾸어보자.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