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 이외 시단위 지역구 당선자들은 지역의 문화예술자원을 토대로 한 관광산업과 연계에 관심을 나타냈다. 익산 지역구 당선자들은 미륵사지 복원과 박물관 승격 등을, 군산은 새만금과 근대문화유적의 활용을, 정읍에서는 동학농민혁명 선양 문제 등을 문화예술 관련 주요 공약으로 삼았다.
익산갑 이춘석 당선자는 △KTX선상역사에 전시관을 설립해 호남근대문화의 상징지로 익산역을 부각시키고 △익산역세권 원도심에 문화의 거리를 조성해 익산의 명물로 만들겠다고 약속했다. 또 △미륵사지 유물전시관의 국립박물관 승격 추진 △고대도시 조성사업 추진 △가람 이병기문학관 건립 지원 등을 문화예술정책 공약으로 내세웠다.
익산을 전정희 당선자는 미륵사지·왕궁유적지·제적사지 등을 복원해 찬란했던 고도 백제문화의 익산 르네상스 사업을 추진하고, 익산이 백제문화의 근원지임을 알리는 관광루트를 개발해 수학여행단을 확보하는 데 힘쓰겠다고 밝혔다. 또 익산 최초의 기독교 문화전파지이며 3.1운동의 근원지인 남전교회를 기독교문화발상지로 성지화해 교육의 장과 관광자원으로 활용하겠다고 약속했다.
군산 지역구의 김관영 당선자의 문화예술정책 관련 공약중에는 읍·면 역사문화자원 복원 및 민속체험마을 조성사업이 눈에 띈다. 기존 문화관광자원 및 시설의 개발이 도심 위주로 추진됨에 따라 소외된 읍·면 지역의 역사문화자원을 복원해 군산시의 역사적 뿌리와 문화적 정체성을 확립하는 계기를 마련하자는 취지다. 이를 위한 사업으로 옥구읍성 복원 및 민속체험마을 조성, 임피권 문화유적 복원 및 네트워크화 등을 예로 제시했다.
또 새만금 시대를 맞아 내항 및 원도심, 금강호 등 금강권 지역의 역사·문화·생태자원을 체계적으로 발굴·육성하고, 이를 지역발전의 성장동력으로 삼기 위해 인접 지자체와 공동으로 금강통합문화권 개발사업을 국책사업으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군산 내항 및 원도심 지역에 '군산의 숨결을 느끼고 체험할 수 있는 복합타운'조성을 공약으로 냈다.
민선3기 정읍시장을 역임하면서 정읍시를 '문화와 생명의 도시'로 모토를 삼았던 정읍지역 유성엽 당선자는 아름다운 산수, 풍부한 문화·예술 자원, 역사 탐방 유적을 종횡으로 엮고, 이것을 농업·농촌 체험 관광과 연계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내장산문화권', '정읍사문화권', '태산선비문화권', '동학농민혁명문화권' 등 네 개의 문화권으로 구분해 내장산문화권은 휴양·관광, 정읍사문화권과 태산선비문화권은 체험, 동학농민혁명문화권은 탐방중심 등 테마별로 차별화 육성하겠다고 밝혔다.
또 동학농민혁명을 집중적으로 기술한 교과서 편찬 등 선양사업을 위한 적극적인 의정활동을 약속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