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6 18:18 (Thu)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오피니언 chevron_right 청춘예찬
일반기사

풍족한 세상 속 우리들의 부족함

인터넷에 현혹되지 말고 자신에 대한 정확한 평가 나만의 자기소개서 작성

▲ 김도연 전북대신문사 前 편집장
자기소개서를 쓰는 것은 어렵다. 눈에 띄는 우여곡절을 넘긴 사람은 드물고, 비슷한 학력을 쌓아가며 성장해왔다. 부모님 세대와 달리 물질적으로 부족함 없는 세상을 살고 있다. 어른들은 너희들이 어려운 것을 알긴 하냐고 말하기도 한다. 주변의 모든 환경이 완벽한 것처럼 보인다. 순탄하다 보니 부족한 것은 없는 것 같다.

 

그 속에서 나만의 이야기를 적어나가야 하는데 쉽지 않다. 결국 나의 자기소개서를 다른 누군가에게 맡긴다. 다른 이들의 삶을 참고해 소설을 적기도 한다. 행복했던 자신의 기억을 불행하게 왜곡하기도 한다. 그렇게 우리 모두 비슷한 자기소개서를 만들어 낸다.

 

최근 텔레비전, 인터넷, 신문 등 각종 매체에서 자주 등장하는 기업인이 있다. 전 세계가 주목하고 있는 중국 인터넷 전자상거래 업체 알리바바의 마윈 회장이다.

 

그는 중국의 청춘들에게 자수성가가 가능함을 몸소 보여주며 창업 열풍을 불러일으켰다. 몇몇 상인들은 마윈의 초상화를 가게에 걸어놓고 마치 재물 신처럼 모시고 있다고 한다.

 

이런 마윈의 성공 과정에 대한 이야기는 여러 방송 프로그램에서 소개되고 있다. 그 중 한 강연 프로그램에서 소개된 마윈의 성공비결은 의외였다.

 

스탠퍼드 대학 강연 당시 마윈이 설명한 자신의 성공비결은 3가지였다. 첫째, 돈이 없었다. 둘째, 기술이 없었다. 셋째, 계획이 없었다. 돈이 필요한 문제를 전부 창의력과 노력으로 해결해야 했고, 기술이 없었기에 기술자들을 존중하고 우대했다.

 

마지막으로 계획이 없었기에 변화하는 시장의 흐름에 그때그때 대처하며 적응해 나가야 했다. 마윈은 자신에게 부족한 요소들을 찾아내서 자신만의 성공 요소로 삼고 노력했다. 그 결과 평범했던 교사는 전 세계에서 이름을 날리는 기업인으로 성장했다.

 

우리는 풍족한 시대를 살고 있다. 음식은 남아서 버리는 일이 많고, 하루에 한 번 씻는 것은 당연한 일이 됐다. 인터넷을 통해 살면서 다 볼 수 없을 정도의 정보를 얻을 수 있다. SNS로 얼굴 한 번 본 적 없는 이와 쉽게 이야기할 수 있다.

 

이제 대학 진학의 선택 기준은 어쩔 수 없이 못 가는 것이 아니라 필요가 없어서 안 가는 것으로 변해가고 있다.

 

많은 것을 쉽게 얻을 수 있다 보니 정작 소중한 한 개를 얻는 것은 어려워졌다. 돈만 있다면 식당 종류별로 각종 음식들을 맛볼 수 있지만, 따뜻한 집 밥을 먹는 날은 손에 꼽을 수 있다. 인터넷을 통해 하나의 주제에 대한 각종 이야기를 찾을 수는 있지만, 진실을 찾는 것은 어렵다. 대부분 하나씩 갖고 있는 스마트폰을 제대로 이용하는 경우는 드물다. 얼굴을 보지 않는 모니터 상의 인간관계 속에는 서로에 대한 예의가 사라져 가고, 실제로 만나도 앞에 있는 사람을 바라보기 보단 화면을 바라보고 있다.

 

주변에 많은 것들이 넘쳐나다 보니 정작 나만의 것은 부족해졌다. 남의 것을 쉽게 볼 수 있다 보니 내 것을 만드는 고생을 하지 않는다. 최대한 쉽게 가려고 하고, 어렵고 불편한 일들은 피하려고 한다.

 

결국 기본이라 생각됐던 예의는 무너지고 만다. 취업을 위해 자기소개서를 작성하며 고통받는 이들이 많이 보인다. 넘쳐나는 정보들에 현혹되지 말고 나만의 것을 만드는 일을 놓지 않았으면 좋겠다. 평범했던 마윈이 유명한 기업인이 된 것은 그가 특출났던 것이 아니라 자신에 대한 정확한 평가와 그를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있었기 때문이 아닐까?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