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무위, 사무총장 폐지 등 의결 / 최고위 폐지는 연기, 분란 여전
새정치민주연합 쇄신의 명운을 쥔 혁신위원회의 혁신안이 일단은 순항하는 모습이다. 그러나 일부 혁신안에 대해 당내 반대 의견이 만만치 않아 오는 20일로 예정된 중앙위원회 논의 과정에서 극심한 진통이 예상된다.
새정치민주연합은 13일 당무위원회의를 열고 사무총장직 폐지를 주요 내용으로 하는 ‘김상곤 혁신안’을 표결로 의결, 중앙위원회로 회부했다.
당무위에서 의결된 혁신안은 사무총장제 폐지를 비롯해 부정부패 등으로 직위 상실 때 재보선 무공천, 당원소환제 도입 및 당무감사원 설립, 부정부패 연루 당직자의 당직 박탈 등이다.
또 현역 의원의 경우도 선거 120일전 지역위원장직을 사퇴하도록 하는 내용을 포함했고, 당비대납 원천 금지 및 대의원 상향식 선출제 도입 등에 따른 당규 개정안도 함께 처리됐다.
이날 당무위에서는 혁신안 관련 당헌 개정안 통과를 놓고 찬반이 대립했으나 거수투표 방식으로 표결에 붙여진 결과 전체 당무위원 정원 66명 가운데 35명이 참석한 가운데 찬성 29명, 반대 2명, 기권 4명으로 통과됐다. 당규 개정안은 만장일치로 처리됐다.
당무위에서 사무총장제 폐지 등에 대한 안건이 표결까지 가면서 의결된 것은 ‘혁신안을 따른다는 것은 국민과의 약속’이라는 찬성론이 더 많았기 때문으로 전해졌다. 다만 당무위는 비노가 반발하는 최고위원제 폐지와 선출직공직자평가위원회 구성 등은 9월로 의결을 연기했다.최고위원제를 폐지하고 도입될 새로운 지도부를 구상하려면 조문 작업 등 더 시간이 필요하다는 이유지만 비노의 반발로 의결이 지연된 것이라는 평가가 주류를 이루면서 향후 험로를 예고하고 있다.
또 당무위원회를 통과한 사무총장제 폐지에 대해서도 당내 의견이 엇갈리고 있어 중앙위 처리에 난항이 예상된다. 당무위에서 일부 의원들은 ‘사무총장직을 폐지한 뒤 본부장직을 신설하더라도 핵심 기능과 역할을 계파위주로 하게 되면 아무런 의미가 없다. 본부장 제도는 사무총장 제도보다 효율성이 떨어진다’ 등의 의문을 제시한 것으로 전해졌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