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산·전주 덕진, 선거구 분구 힘들 듯 / 완주·무진장, 남원·순창·임실로 나누고 김제·부안, 정읍·고창으로 재조정 가능성
국회의원 선거구획정 기준일이 8월31일로 사실상 결정됨에 따라 도내 선거구가 어떻게 획정될지에 대한 관심이 새롭게 떠오르고 있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선거구획정위원회는 지난 11일 열린 전체회의에서 선거구 획정기준의 하나인 인구 산정일을 2015년 8월 31일로 결정했다. 국회의 입법을 통해 인구수 산정일이 최종 결정되지만, 국회가 선거구획정위의 결정을 그대로 따를 가능성이 많고 산정일 기준을 약간 바꾸더라도 전북지역 시군별 인구수의 큰 변화는 없기 때문에 사실상 인구수가 결정된 것이나 마찬가지다.
현재 정가에서는 농어촌의 대표성 약화를 우려하는 목소리가 꾸준히 이어지고 있지만, 인구 편차 2대 1이내라는 헌재의 결정을 무시할 수는 없어 인구수가 곧바로 선거구 획정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높다. 또 비례대표를 줄여서라도 농어촌 대표성을 살려야 한다는 주장도 있지만, 전문성 강화를 위해 비례대표를 늘려야 한다는 목소리가 만만치 않아 의원정수 300명을 고수하는 한 지역구 의석수 246석을 크게 조정하기도 어려운 실정이다.
이런 상황에서 8월말을 기준으로 지역구 의원수 246명을 그대로 유지한다고 가정할 경우 선거구 하한선은 13만9473명, 상한선은 27만8945명으로 하한선에 미달하는 선거구는 통합되고, 상한선을 초과하는 선거구는 분구된다.
그동안 분구 가능성을 놓고 관심을 끌었던 군산시의 경우 8월말 현재 인구수가 27만8434명으로 인구상한선 27만8992명보다 적어 사실상 분구가 어렵다.
전주덕진은 8월말 인구수가 28만7721명으로 상한선을 초과하지만 법정 자치구가 아니기 때문에 분구대상이 아니다. 다만 상한선을 초과하는 덕진지역 일부 인구가 완산지역 선거구로 편입된다. 이 경우 현재 전주 완산갑, 완산을, 덕진으로 되어 있는 선거구 명칭이 다른 이름으로 바뀔 가능성이 높다.
동부권의 경우 현재의 선거구를 기준으로 할 때 무진장임실 선거구는 10만4269명, 남원순창 선거구는 11만4388명으로 두 지역이 모두 하한선에 미달한다. 따라서 가장 인접지역인 완주군을 포함해서 선거구를 재조정하는 것이 불가피한데, 이 경우 완주무진장(16만7920명)과 남원순창임실(14만3854명)로 나뉠 가능성이 높다.
완주가 동부권과 합쳐지면 김제(8만9150명)는 지리적 여건 등을 고려해 부안(5만7238명)과 통합될 가능성이 높다. 이 경우 3선 의원인 최규성 의원과 김춘진 의원의 맞대결이 불가피하다.
그동안 독자선거구를 유지해왔던 정읍(11만6440명)도 인구하한선 기준에 미달되기 때문에 인접지역과 합쳐져야 하며, 고창이 그 대상이 될 가능성이 높다. 정읍과 고창을 합친 인구수는 17만5952명, 김제와 부안을 합친 인구수는 14만6388명이다. 지리적 여건과 생활권 등을 고려하면 정읍부안, 김제고창으로 선거구를 분할하기는 사실상 어렵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