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6 12:06 (Thu)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사회 chevron_right 사건·사고
일반기사

전북 지역 보이스피싱 1년새 20% 급증

지난해 611건, 59억원 피해
대출 빙자 돈 요구 대부분

1년 새 전북지역에서 전화금융사기(보이스피싱)가 증가한 것으로 집계돼 각별한 주의가 요구된다.

26일 전북지방경찰청에 따르면 지난해 보이스피싱 범죄 발생 건수는 611건으로, 2016년 507건과 비교해 20.5%가 증가했으며, 피해액은 59억1000만 원으로 2016년 41억9000만 원보다 41% 늘어났다.검거 건수는 2016년 720건에서 2017년 757건(5.1%), 검거 인원은 830명에서 952명으로 늘었다.

전북지역 보이스피싱 범죄의 경우 금융기관 대출을 빙자해 각종 명목으로 돈을 요구하는 대출사기 유형이 대부분을 차지했다. 지난 2014년부터 지난해까지 전체 전화금융사기 2243건 중 1685건이 대출 사기형으로 약 75%를 차지했으며, 피해 금액은 같은기간 186억 원 중 107억 원(58%)이 대출 사기였다.

경찰은 보이스 피싱이 지능화된 범죄 수법으로 피해 발생건수가 증가한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최근 보이스피싱은 다양한 이슈를 활용하고 전화뿐 아니라 직접 대면해 편취하는 등 수법이 대담해졌으며, 개인 금융정보를 활용해 범행하는 등 범죄 수법이 정교화되고 있다.

특히, 기존에 수수료 등 소액을 요구하는 대출사기 수법에서 대환대출을 빙자한 대출 상환금을 요구하는 수법으로 진화해 피해금액이 커지고 있다. 실제 2016년 51건이던 대환대출 빙자 수법은 지난해 76건으로 1.5배 증가했다.

경찰은 보이스피싱 주범 대부분이 해외에 있어 일단 피해가 발생하면 피해회복이 어렵기 때문에 사전에 피해를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지적한다.

경찰 관계자는 “정부 기관에서는 수사 또는 피해회복을 위해 현금을 이체하거나 보관할 것을 요구하지 않고, 금융회사에서도 대출소비자에게 수수료 등 어떠한 명목의 현금도 요구하지 않는다”며 “보이스피싱이 의심되는 경우에는 즉시 경찰에 신고해달라”고 당부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천경석 1000ks@jjan.kr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사회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