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10곳 중 약 3개사가 올해 구조조정을 했거나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잡코리아가 중소기업 497개사를 대상으로 ‘올해 구조조정 계획’에 대해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조사에 참여한 기업 중 26.6%는 ‘올해 구조조정을 했거나 할 계획’이라고 답했다. ‘올해 구조조정을 하지 않는다’고 답한 기업은 73.4%였다.
조사결과 ‘인력 구조조정만 한다(감원)’는 기업이 47.0%로 가장 많았고, ‘조직/인력 구조조정을 한다’는 기업은 31.8%, ‘조직 구조조정만 한다’는 기업은 21.2%에 그쳤다.
즉, 올해 구조조정을 하는 중소기업 중 인력을 감원하는 기업은 78.8%, 조직 구조조정을 하는 기업은 53.0%인 것이다.
이들 중소기업은 올해 구조조정을 계획하는 이유로 기업 내부적 요인의 영향이 외부적 요인의 영향보다 더 크다고 답했다.
조사결과 ‘사업 확대나 축소 등 내부적 요인의 영향이 더 크다’고 답한 기업이 56.1%로 절반이상으로 많았고, ‘경기침체나 제도변화 등 외부적 요인의 영향이 더 크다’는 기업은 43.9%로 상대적으로 적었다.
구조조정을 계획하는 이유에 대해 ‘사업구조의 효율화를 위해’ 구조조정을 계획한다는 기업이 62.9%로 과반수이상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비용을 절감하기 위해’ 구조조정을 계획한다는 기업이 47.7%, ‘사업 분야를 축소하기 위해’ 구조조정을 계획한다는 기업이 18.2%로 조사됐다.
인력 구조조정을 계획하는 기업이 감원 하려는 대상은 ‘사원급’과 ‘과장급’ 직원이 가장 많았다. ‘감원을 계획하는 직원의 직급은 무엇인가’라는 질문에 ‘사원급’이라 답한 기업이 43.3%로 가장 많았고, ‘과장급’을 감원할 것이라는 기업이 26.0%로 다음으로 많았다.
이어 △차부장급(15.4%) △대리급(10.6%) 순으로 감원을 계획하는 기업이 많았다. /잡코리아 전북(제이비잡 앤 컨설팅) 문의 (063) 232-3411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