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불어민주당이 조만간 공천룰을 만들기 위한 태스크포스(TF)팀을 꾸릴 것으로 알려지면서 전북 선거구에 적용될 공천방식에 대해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지역 정치권에서는 이해찬 당대표가 신년에 밝힌 ‘유능한 인재들의 참여폭을 넓히기 위해 경선을 최대한 활용하겠다’는 방침을 두고 의견이 분분하다. 이 대표의 방침을 그대로 적용해야 한다는 의견과, 후보 경쟁력이 약한 일부 지역에는 단수·전략 공천을 해야 한다는 의견 등이다.
4일 정치권에 따르면 민주당은 이달 안 공천룰을 설계하기 위한 TF팀을 구성할 것으로 알려졌다. 통상적으로 총선을 1년 여 앞두고 선거관련 TF팀을 구성한다.
지역 정치권에서는 전북 지역구에 적용될 공천방식을 두고 의견이 분분하다. 지난 2016년 총선 참패를 설욕하기 위해서는 어떤 방식을 적용하는 게 낫느냐가 주된 골자다. 민주당은 지난 전북 총선에서 10석의 의석 중 2석을 확보하는데 그쳤다.
경쟁력 있는 새로운 인물을 수혈해야 한다는 측에서는 경선을 강화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폐쇄적인 하향식 공천보다 정치신인들이 진입할 수 있도록 활로를 열어 총선에서 새로운 바람을 일으키자는 것이다.
하지만 이럴 경우 전·현직 의원에게 유리하게 작용해 총선 분위기가 새로워지기 어렵다는 지적도 나온다. 기존 경선방식(권리당원 50%이하, 유권자 50%이상)을 그대로 적용하면, 지역 내 조직을 다져온 전·현직 의원들이 정치신인보다 선거를 치르기 수월하기 때문이다.
다수 지역에 단수·전략공천을 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민주당은 지난 20대 총선 당시 전북 10개 선거구 가운데 단 3곳만 경선으로 후보를 선출하고, 나머지 7곳은 단수·전략 공천을 했다. 정치권 관계자는 “새롭고 참신한 인물이 후보로 등장하지 못해 민심이 떠났다”며 “이는 당의 참패로 귀결됐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지역위원장이나 후보 경쟁력이 약하다고 평가되는 일부 지역에 한해서는 하향식 단수전략공천을 해야 한다는 주장도 나온다. 현재 민주당은 지난 25일부터 2주간 전국 지역위원회를 상대로 당무감사를 실시하고 있다. 정치권 일각에서는 이번 당무감사가 연말부터 본격화 할 총선 후보 공천과 연계할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즉 지역 내 평판이 좋지 않거나 조직운영이 미숙한 지역위원장은 교체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정치권 관계자는 “일부지역 하향식 단수·전략공천도 완벽한 대안이 될 수 없다. 지역에서 열심히 선거를 준비해 온 사람들이 억울하게 피해를 볼 수도 있기 때문이다”며 “앞으로 총선이 1년여 남은 만큼 다양한 변수를 놓고 심도깊은 논의를 해봐야 한다”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