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5 22:08 (Wed)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경제 chevron_right 경제일반
일반기사

2047년 전북 인구구조 역삼각형 ‘비상’

생산연령·유소년 줄고, 고령 늘어

전북지역 생산연령인구가 오는 2047년에는 전체인구의 절반이하로 줄어들 것이라는 비관적인 전망이 나왔다.

18일 호남지방통계청이 발표한 ‘인구로 보는 호남권 미래 변화’에 따르면 전북지역 올해 인구는 총 180만3000명이며 2020년 179만2000명, 2047년에는 158만3000명으로 매년 줄어들 것으로 집계됐다.

이는 2019년 대비 2047년에는 인구가 12.2% 감소해 전국 평균 감소율(-5.4%)보다 두 배가 넘는 것으로 조사됐다.

2047년 중위연령은 2019년과 대비해 14.9세가 증가한 60.9세로 경북(15.4세), 강원(15.2세), 전남·경남(15세)에 이어 17개 시·도 중에서 5번째로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특히 도내 전체 인구구조 중 생산연령인구(15~64세)가 올해에는 123만명(68.2%), 2020년 114만9000명(67.6%), 2047년에는 75만2000명(47.5%)로 크게 감소하는 것은 물론 전국에서 생산연령인구 구성비가 3번째로 낮을 것으로 전망됐다.

고령인구(65세 이상)는 2019년 35만5000명(19.7%), 2020년 36만9000명(15.1%)으로 나타났으며 2047년에는 69만5000명(43.9%)으로 크게 증가해 전국에서 고령인구 구성비가 4번째로 높다.

유소년인구(0~14세)은 2019년 21만8000명(12.1%), 2020년 21만2000명(11.8%)으로 소폭 감소를 시작으로 2047년에는 13만6000명(8.6%)으로 전국에서 유소년 인구 구성비가 6번째로 낮을 것으로 예상됐다.

생산연령·유소년 인구는 줄어들지만 고령을 증가할 것으로 되면서 역삼각형의 인구구조가 형성될 전망이다.

2047년 전북지역 총 부양비(생산연령 인구 100명 당 유소년 및 고령인구)는 2019년에 대비 136.9% 증가한 110.4명으로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전남(120.6명), 경북(114명), 강원(112.3명), 경남(101.4명)을 이어 전국에서 4번째로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중 유소년 부양비는 2019년 대비 0.3명(1.7%) 증가한 18명, 노년 부양비는 63.5명(219.7%) 증가한 92.4명으로 집계됐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경제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