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년 뒤 지선 앞두고 도·시·군 의원 공천권 받기 위해
지방의원, 총선 전 민주당 후보에 줄서는 현상 보여
국회의원(지역위원장) 입맛에 맞는 사람 공천 우려
올 21대 4·15 총선 과정을 통해 전북의 경우 더불어민주당 일당 독주체제가 부활하면서 자치단체장과 지방의원들이 지역위원장인 국회의원에게 줄서기 행태가 심각할 것으로 보인다.
2년 뒤 치러질 차기지방선거에서 공천권을 받기 위해서다. 특히 당선권에 가까운 공천권을 갖고 있는 주체가 민주당 의원에게 쏠린 만큼 줄서기 현상은 심화될 것으로 우려된다.
이번 총선에서는 전북 10개 지역구 가운데 9곳에서 민주당 후보들이 당선됐다. 유일한 무소속인 이용호 당선인 마저도 민주당 입당을 공공연히 밝히고 있다.
이에따라 전북도의원을 비롯한 도내 시군의원들이 2022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공천권을 받기 위해 민주당 의원에게 줄서는 경향이 나타날 것으로 관측된다. 도지사를 비롯한 시장·군수들도 재선 또는 3선을 하기 위해서는 소속 지역위원장인 국회의원들의 눈치를 볼 수밖에 없는 실정이다.
지난 20대처럼 민주당·새누리당(현 미래통합당)·국민의당 등 다당제 구도일 때는 이런 현상을 견제할 수 있었지만, 이제는 도내 유력 정당이 민주당 하나만 있기 때문이다.
정치권 관계자는 “21대 총선에 당선된 사람들이 지방선거에서 공천권을 가진다”며 “이제는 지방의원과 자치단체장이 지방선거에서 당선되려면 선택지가 하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21대 총선이 치러지는 동안 뚜렷한 전조현상이 나타났다. 앞서 이병철·김이재 전북도의원과 전주시의원들은 지난 1월 28일 전북도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상직 예비후보를 지지한다고 공개선언을 했다. 이날 안호영 후보의 출마선언 기자회견에도 다수의 지방의원들이 참석해 안 의원을 지지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선거가 막바지에 이르면서 핵심 선거운동은 모두 지방선거 예비주자들의 경연장이 되다시피 했다.
당시 이 같은 상황을 두고 일각에서는 사실상 공천권을 쥔 지역구 국회의원 후보에게 ‘충성 경쟁’을 벌인다는 비판이 나왔다.
이와 관련, 지역위원장인 국회의원들이 2022년 지방선거 국면에서 후보자의 역량과 상관없이 자기 입맛에 맞는 사람을 공천할 수 있다는 우려까지 나온다.
총선 경선과정에서 자신을 도와줬던 지방의원이나 자치단체장을 외면하기 어려운게 엄연한 현실이지만, 향후 4년 뒤 총선때 자신의 조직으로 활동할 수 있는 소위 ‘친위부대’를 만들기 위해서다. 지역 정가에서는 “역량이 뛰어나도 총선 국면에서 자신을 돕지 않거나 반대편을 지지했을 경우 공천에서 배재될 수밖에 없는게 현실 정치”라고 진단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