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비용항공사(LCC)인 이스타항공 내 종사자들의 불만이 커지고 있다. 이스타항공은 코로나19 여파로 지속되는 경영악화와 승객 감소로 지난달 국내·외 운항을 중단하면서 셧다운에 돌입했다. 이어 50%에 가까운 직원 감원과 함께 지난 2월 급여 60%를 체불했으며 3월과 4월에는 급여를 한푼도 받지 못했다.
노동자들의 고용 불안으로 이스타항공 조종사노조는 민주노총 전국공공운수노조에 가입하는 등 정리해고와 임금 문제 등에 적극 대응하고 나섰다. 사측은 정리해고 인원을 22%로 감축하기로 했다.
하지만 남아있는 인원에 대해 임금 30% 삭감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밝혔다.
결국 노사 간의 견해를 좁히지 못하고 당초 이달 24일 정리해고 직원 명단이 발표될 예정 이후 27일로 미뤄졌지만 한 차례 더 연기된 상황이다.
항공업계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지난 23일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승인받은 제주항공과의 인수합병 또한 시선이 곱지만은 않다.
제주항공은 정부로부터 인수 금융지원을 받고 있으며 현재 인수인계를 위한 업무 파악이 진행되고 있다.
최종 매각이 이뤄질 29일부터 이스타항공 측 필수 인력만 받아 상주할 것으로 보여진다.
하지만 인수하는 과정에서 정리해고는 일자리를 잃은 노동자들에게만 피해가 고스란히 전해질 수 밖에 없는 현실이다.
고용 승계 문제가 없을 것이라는 이스타항공 고위 경영진들의 입장과 전주시가 해고 없는 도시를 선언한 것과 달리 도내 종사자들이 벼랑 끝에 내몰리고 있는 것.
이스타항공 조종사노조 박이삼 위원장은 “인수합병으로 인한 시너지 효과도 있겠지만 어떤 목표를 가지고 결정을 내린 것인지, 득실 문제도 생각을 해봐야 한다”며 “인수 과정에서 정리해고와 구조조정을 부추긴다면 인수합병의 목적이 반하게 되는 것이다”고 지적했다.
이어 “항공업계가 정말 어려워서 그런 건지 기업 매각을 위한 정리해고인지 철저한 조사가 요구된다”고 강조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