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7 18:20 (Fri)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정치 chevron_right 보도
보도자료

문대통령 “‘세계 7대 우주 강국’ 도약… 우주개발에 과감히 투자”

‘누리호’ 1단부 최종 연소시험 참관… “대한민국 우주시대 눈앞에”
“2022년 달 궤도선 발사, 2030년 달 착륙”… 우주개발 역량 강화
“국가우주위원장 총리로 격상… 스페이스 엑스 같은 기업 나오도록”

문재인 대통령이 25일 오후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 연구동 관람대에서 누리호 1단 종합연소시험 참관을 위해 대기해 있다. /사진=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이 25일 오후 전남 고흥군 나로우주센터 연구동 관람대에서 누리호 1단 종합연소시험 참관을 위해 대기해 있다. /사진=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은 25일 “이제 대한민국의 우주시대가 눈앞에 다가왔다”며 “우리도 우리의 위성을 우리가 만든 발사체에 실어 우주로 쏘아 올릴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문 대통령은 이날 전남 고흥 나로우주센터를 방문해 국내 독자개발 한국형 발사체인 ‘누리호’ 종합연소시험을 참관하며 “한국형 우주발사체 ‘누리호’ 1단부 최종 종합연소시험에 성공했다. 드디어 오는 10월 누리호는 더미 위성을 탑재해 우주로 떠날 수 있게 됐다“며 이같이 말했다.

누리호는 1.5t급 실용위성을 600∼800㎞ 상공의 지구 저궤도에 진입시킬 수 있는 발사체로, 이날 추력 75t급 액체엔진 4기를 클러스터링한 1단부의 마지막 연소시험이 성공적으로 이뤄졌다.

이어 문 대통령은 “한국형 발사체 개발 성과를 바탕으로 도전적인 우주탐사 사업을 적극 추진하겠다”며 “민·관의 역량을 더욱 긴밀히 결집하고, ‘세계 7대 우주 강국’으로 확실하게 도약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내년에 달 궤도선을 발사하고, 2030년까지 우리 발사체를 이용한 달 착륙의 꿈을 이루겠다”고 밝혔다.

다양한 인공위성 개발과 활용에 박차를 가하기로 했다.

문 대통령은 “이제 인공위성으로 길을 찾고, 환경과 국토를 관리하는 시대”라며 “앞으로도 6G 시대를 열어갈 통신위성 시범망, 자율주행차와 드론 산업에 필수적인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 국방 우주력 강화를 위한 초소형 군집위성시스템 구축으로 인공위성 기술력을 계속 키워나가겠다”고 말했다.

민간의 우주개발 역량 강화도 언급했다.

문 대통령은 “‘스페이스 엑스’와 같은 글로벌 우주기업이 우리나라에서도 생겨날 수 있도록 혁신적인 산업 생태계를 조성할 것”이라며 “출연연구기관이 보유한 기술을 단계적으로 민간에 이전하고, 우주산업 클러스터 구축과 우주서비스산업 활성화를 위한 제도 개선을 차질없이 추진하겠다”고 했다.

이어 “정부는 국가우주위원회 위원장을 국무총리로 격상할 것”이라며 “민·관의 역량을 더욱 긴밀히 결집하고, ‘세계 7대 우주 강국’으로 확실하게 도약하겠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준호 kimjh@jjan.kr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정치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