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월호 참사 7주기 앞두고 지난해 12월 완공, 1기 교육시작한 전북해양안전체험관 가보니...
전북도교육청 전국시도교육청중 처음으로 교육시설인 체험관 문 열어
부안 서림고 학생들 조난, 객실 체험, 버스 비상탈출, 선박 비상탈출 등 9개관서 사고상황 체험
50억원 예산으로 해양수련원 옆에 지어, 일반인 확대도 검토
“당황하지 말고 구명조끼는 소지하되, 입지 마세요. 객실에서 구명조끼를 입은 채로 침수되면 물살에 휩쓸릴 수 있으니 나와서 입어야 됩니다”
13일 오전 부안 변산면 전북도교육청 전북학생해양수련원 해양안전체험관 내 선박사고 대응교육실.
부안 서림고 학생 3명이 사고가 난 선박 안 객실처럼 실제로 이리저리 기울어지는 체험실에서 균형을 잡고 서 있었다.
기울어지는 방 속에서 웃음을 보이던 학생들은 방안 마이크를 통해 들리는 수련 지도사의 말에 사뭇 진지한 표정을 지었고 5분여 뒤 방의 움직임이 멈추자, 한쪽 통로를 따라 구명조끼를 손에 쥔채 차례대로 나왔다. 대피훈련 과정에서 연기가 뿜어져 나오자 한 학생은 놀라 소리를 지르기도 했다.
오는 16일 세월호 참사 7주기를 사흘 앞둔 날인 13일 수련원내 체험관을 찾았다. 4월은 도교육청 세월호 참사 추념의 달이기도 하다.
이날은 체험관이 지난해 12월 개관한 후 첫 1기 교육생들인 부안 서림고등학교 학생 35명이 교육을 받았다.
버스 사고 시 차량문이 열리지 않을 경우 탈출 방법을 배우는 체험구역에서는 버스 창문을 형상화한 스크린 한쪽을 모형 비상망치로 깨고 탈출하는 체험도 실시됐다.
안동원 수련 지도사는 “차량문이 열리지 않을 때 창문으로 탈출하는데 가운데보다는 모서리를 깨는 것이 더 쉽게 깨지고 탈출하기도 용이하다”고 설명했다.
이날 부안 서림고 학생들은 소 그룹으로 나눠 9개 체험 시설을 돌아가면서 2시간동안 해양사고 탈출체험, 인명구조 실습교육, 4DX 영상관 영상시청, 연안 테트라포드 사고 등 해양안전 체험교육을 받았다.
2학년 김은비 학생은 “일어나지 않는 것이 가장 좋지만, 언제 당할지 모르는 사고들에 대한 대응교육, 그것도 평소 접하기 힘든 교육을 받을 수 있어 좋았다”고 말했다.
인솔교사 박진주 교사는 “체험관이 문을 열었다는 말을 듣고 신청했는데, 아이들에게 정말 많은 도움이 된 것 같다”고 말했다.
이 체험관은 기존 수련원 옆에 51억원의 예산으로 지어졌는데, 교육시설로 해양안전체험관이 지어진 것은 전북이 전국 17개 시·도교육청 중 처음이다.
김정기 체험관 원장은 “세월호 참사 당시 학생들이 이 같은 교육을 받았더라면 희생자들이 더욱 적었을 것이라는 아쉬움은 모두 느끼고 있을 것”이라며 “도내 학생들과 교직원 등을 상대로 해양안전교육을 실시하는 한편, 도민 등 일반인들을 상대로 한 교육을 진행하는 것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