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자체기사

대선 후보 전북 방문 때 도내서 관련 검색 늘어

전북일보 구글 트렌드 활용 한달간 지수 분석
이재명·윤석열·심상정 전북 방문 이후마다 검색량 증가
특히 안철수와 단일화 이후 尹 후보에 대한 관심도 늘어
지역별로 李 후보가 순창, 尹 후보 고창서 검색 빈도 높아

image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왼쪽)와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가운데), 심상정 정의당 대선 후보(오른쪽). /전북일보DB

제20대 대통령 선거가 눈앞으로 다가온 가운데 전북에서는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후보가 큰 관심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선거 막판 야권 단일화를 이뤄낸 국민의힘 윤석열 후보 역시 매서운 추격세를 보이고 있어 초박빙 선거 구도 속 어떤 결과가 나올지 귀추가 주목된다.

7일 전북일보가 구글 트렌드를 활용해 최근 한 달간(2월 7일부터 3월 5일까지) 이재명, 윤석열, 심상정 단어의 전북 지역 검색량 지수를 비교한 결과 이 후보가 평균 54를 기록했다.

윤석열 후보는 이보다 22가 낮은 32, 심 후보는 51이 낮은 3로 나타났다.

구글 트렌드는 특정 기간, 지역의 구글 검색량을 수치화한 데이터로 100에 가까울수록 검색 빈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전북의 경우 윤 후보가 3일을 제외하고 모두 이 후보보다 낮은 기록을 보였다. 전반적으로 낮은 수치를 기록한 심 후보는 1일을 제외하고 모두 10 미만의 검색 빈도를 보였다.

사실상 전북에서는 이 후보와 윤 후보의 양강구도가 매우 고착된 모습이다.

후보들의 검색 빈도는 전북 방문 여부에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됐다.

먼저 지난달 12일 윤 후보의 전북 방문 이후 16에 불과했던 전북 지역 검색 빈도는 13일 44로 증가했다.

또 2월 15일에는 윤 후보의 전북 재방문 소식이 전해지면서 검색 빈도가 52로 치솟았다. 반면 같은 날 이재명 후보 검색 빈도가 39에 그쳤다.

상승세를 보이던 윤 후보의 관심도는 지난달 19일 이재명 후보가 전북을 방문하면서 급격히 떨어졌다.

image

이 후보가 전북을 방문한 2월 20일 그의 검색 빈도는 61, 윤 후보는 31로 기록됐다.

또한 방문 이후인 2월 21일에는 이 후보가 61, 윤 후보가 14로 격차가 더욱 벌어졌으며 2월 말까지 격차가 커졌다.

특히 이번 선거 최대 변수로 여겨졌던 국민의당 안철수 전 대선 후보와의 단일화 내용도 관심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분석됐다.

2월 13일 윤 후보의 단일화 제안에 검색 빈도는 윤 후보가 44, 이 후보가 36으로 집계됐다.

윤 후보와 안 전 후보가 단일화에 성공 지난 3일에도 윤 후보의 검색 빈도가 67, 이 후보 60보다 7을 앞섰다.

image

이 밖에도 양 후보에 대한 관심도는 지역별로도 차이가 있었다.

이재명 후보에 대한 관심도는 순창군과 부안군, 완주군, 남원시, 전주시에서 높았다.

윤 후보에 대한 관심도는 고창군, 김제시, 정읍시, 익산시, 군산시에서 높게 나왔다.

이들 시군 중 고창군의 경우 윤 후보에 대한 검색 비율이 67%로 지역 내 유일하게 60% 이상의 기록을 보였다.

구글 트렌드는 검색량을 기반으로 하는 만큼 선거 막판 여론조사 공표가 금지된 상황에서 민심을 예측할 수 있다는 평가가 나온다. 

하지만 후보들을 검색하는 이유가 긍정적인 내용 외에도 부정적인 내용을 기반한 검색도 있을 수 있는 만큼 검색량을 무조건 지지로 보기 어렵다는 관측도 있다.

엄승현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전주‘전주 실외 인라인롤러경기장’ 시설 개선…60억 투입

영화·연극제27회 전주국제영화제 한국영화 출품 공모 시작

김제김제시 종자산업 혁신클러스터 조성 ‘파란불’

금융·증권미 증시 덮친 'AI 거품' 공포…한국·일본 증시에도 옮겨붙어

문화일반세대와 기록이 잇는 마을…부안 상서면 ‘우덕문화축제’ 열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