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5 12:48 (Wed)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문화 chevron_right 이승우의 미술 이야기
외부기고

[이승우 화백의 미술 이야기] 그대, 이 세상의 괴로움을 아는가? - 루오1

image
조르주 루오, 그리스도의 얼굴/사진=죽전효주아녜스성당

신석정의 시 ‘비가悲歌’를 보자.

"루오의 그림처럼 어둡게 살아가지만,/눈부신 햇볕을 원하는 건 아니다.//꾀꼬리/옥을  굴리는 우는 소리보다는/차라리 가슴을 에어내는/귀,/촉,/도,/소리로 멍든 가슴을 채워달라.//저 검은/까마귀 떼가 지구 밖에서/하늘을 뒤덮는 건/차라리 견딜 수 있는 일이지만//안쓰러운 것들이/눈에 걸리는데/자꾸만 자꾸만/눈에 걸리는데,//그저/소라껍질을/스쳐가는 바람결처럼/차마 눈감을 수 없거늘,//아아/하늘이여/피가 돌 양이면,//저어 야물딱진/민들레꽃을 피워내듯이/어서 숨을 돌리게 하라.")('비가' 전문)

이 시는 어둠의 화가 루오의 정신세계를 전하고 있다.

어둠과 신성의 화가 루오. 그의 그림 ‘거울 앞의 창녀’는 울퉁불퉁한 얼굴과 찌그러진 젖가슴, 볼품없이 튀어나온 아랫배와 부어오른 큰 엉덩이를 추악하게 드러낸 채 온갖 부정한 피가 붉은색과 이미 썩은 듯한 녹색으로 마구 칠해져 있다. 그나마 음침한 어둠 속에서 그 존재를 속박이라도 하려는 듯이 검고 굵은 선으로 갇혀 있는 것이다. 

또한 거울 앞에 앉아 허망한 세월을 반추하는 그 창녀의 고독과 절망, 그리고 체념은 그저 암울하다고 할 수밖에 없다. 그는 그 창녀를 통하여 그림을 완성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완성할 수 없는 것의 어떤 궁극을 느끼라고 하는 것이다. 

그는 인생의 어두운 쪽을 응시하고 절규하지만 찬란한 빛을 계시받으려는 사람이다. 잘 다듬어진 목소리도 아니고 그렇다고 세련된 몸짓도 아닌 자기도 모르게 새어 나오는 숨죽인 울음소리를 그리려는 사람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조르주 루오 #그리스도의 얼굴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문화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