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수도권이자 호남유일 후보.. 27~28일 수도권 경선 끝으로 마무리
광주·전남서 당선 가능성 높인 후 윤영찬과 단일화, 5위 안착 가능성
재경 호남인 지지율 쏠릴지 여부 관건... "전북출신 당원들 지지 기대"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가 오는 27~28일 서울·경기 수도권 경선만을 남겨둔 가운데 비수도권·호남 유일 최고위원 후보인 송갑석 의원(광주 서구갑)의 지도부 입성 여부에 촉각이 모아지고 있다.
송 후보의 최고위원 당선은 여러 가지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데, 5명의 선출직 최고위원 중 마지막 자리를 둘러싼 경쟁이 친이재명계의 압승이냐, 비이재명계의 견제 구도 구축이냐를 결정하는 분수령으로 평가된다.
25일 정치권에 따르면 비명계 최고위원 후보였던 윤영찬 의원이 후보직을 사퇴하고 송갑석 후보와 사실상 단일화를 하면서 재경 호남인들의 분산됐던 표심이 결집될 것으로 보인다.
일종의 연대를 이뤘던 친명계 최고위원 후보들에 비해 각자도생 방식으로 선거 운동을 했던 비명계가 최근 뭉치면서 전당대회 막판 '비명 표심'이 송 후보에 쏠릴 것으로 관측되고 있다.
박용진 당 대표 후보와 윤영찬 후보 등도 경선 초반과는 달리 송 후보와 공감대를 더 크게 형성하고, 당내 견제구도 만들기에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고민정 의원이 당선권에 접어든 만큼 1인 2표 중 1표가 송갑석 후보에게 돌아갈지가 관건이다.
앞서 송 후보는 지난주 호남 순회경선에서 득표율을 4%대 초반에서 9.09%로 크게 끌어올렸다. 송 후보는 ‘당선권’을 목전에 두고 박찬대 후보와 경쟁하고 있다.
송 후보는 전북에선 기대했던 만큼 성과를 거두지 못했지만, 윤영찬 의원과 함께하면서 수도권에 거주하는 호남 출신 대의원·당원들의 선택지가 줄어들었다. 또 윤 의원의 지지 선언 이후 청와대 출신 친문 그룹과 ‘부엉이 모임’등 수도권을 지역구로 하는 의원들이 연대하면서 경선 초반에 비해 경선 레이스에 탄력이 붙은 상황이다. 당헌 80조 개정이 부결된 것도 당내 견제구도 고개를 들고 있다는 방증이다.
역대 전당대회에서 대의원과 권리당원의 투표 성향 차이가 있어, 대의원투표에서 비수도권 출신이자 호남 단일후보인 송 후보에게 유리하게 작용할 가능성도 있다. 아울러 한병도, 서삼석 의원에 이어 송 후보마저 최고위원에 낙선할 경우 전북은 물론 호남정치권이 민주당 내에서 가지는 영향력이나 비중은 지금보다도 줄어들 수밖에 없다. 최고위원이 되기 위해선 당내실력자에게 줄을 서야 한다는 인식이 강해질수록 지역정치권이 독자적인 목소리나 소신은 묻힐 우려도 나온다. 특히 앞으로 호남에선 선출직 최고위원을 배출하기 점점 어려워지면서 전북 국회의원의 경우 중진이라도 최고위원에 명함도 못 내미는 상황이 점점 심화될 것으로 분석된다.
이날까지 최고위원 선거 당선권에는 정청래(득표율 26.40%), 고민정(23.39%), 서영교(10.84%), 장경태(10.84%), 박찬대(9.47%) 후보가 이름을 올리고 있다. 이 중 비명계로 분류되는 후보는 고민정 후보 한 명으로 비명 성향 대의원들은 당선권에 근접한 송 후보와 고민정 후보에 1표씩 행사할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호남(광주·전남·전북)이 다른 지역에 비해 대의원이 상대적으로 많은 가운데 대의원투표가 당초 현장에서 ARS 투표로 변경된 점도 송 후보에겐 불리한 점은 아니라는 평가다. 대의원투표는 전당대회 당일인 28일 후보 연설이 끝난 직후 2시간 동안 진행된다.
수도권 당원 중 호남출신 비율은 최소 30% 이상인 것으로 파악되고 있는데, 이중 캐스팅 보트는 전북출신 당원들의 선택이다.
송갑석 후보는 이날 전북일보와의 통화에서 “누가 균형발전과 비수도권 그리고 소외된 호남인들을 제대로 대변할 수 있을지 제대로 평가해달라”면서 “당 지도부가 획일적이거나 호남인들의 정서와 배치될 경우 당의 위기가 찾아왔다. 특히 지금의 민주당의 상황은 제왕적 총재시절에도 없던 일이다. 이 때문에라도 다양한 민심과 시각, 그리고 견해를 지도부에 전달하기 위해선 저 송갑석과 같은 사람도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호남 단일 후보로서 전북출신 당원들의 지지와 성원을 잊지 않겠다"며 "최고위원으로 일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면 소외된 비수도권 국민들의 민심을 반영하는 데 더욱 힘쓰겠다"고 약속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