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7 02:56 (Fri)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지역 chevron_right 익산
일반기사

익산시민 10명 중 9명 “기후위기 심각”

익산참여연대, 시민 정책평가단 338명 설문식 정책평가 결과 발표
응답자의 95%가 기후위기 상황 인식, 71%가 탄소중립 내용 이해
“시민 실천적 참여 중요, 익산시가 기후위기 대응 종합계획 수립해야”

익산시민 10명 중 9명이 기후위기 상황을 인식하고 있으며 탄소중립 실천을 위해 비용 부담과 불편을 감수할 수 있다는 입장인 것으로 나타났다.

27일 익산참여연대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우리의 역할’이라는 주제를 가지고 지난 19일부터 23일까지 시민 정책평가단 338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식 정책 평가 결과를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응답자의 95.26%가 극단적 날씨, 물·식량 부족, 생태계 붕괴 등 현재의 상황을 심각한 기후위기라고 답했다.

기후위기 대응의 핵심 내용인 탄소중립에 대해서는 뜻이나 의미를 알고 있다는 응답이 32.25%, 일부 의제와 쟁점에 대해 알고 있다는 답변이 24.85%, 다양한 의제와 쟁점을 알고 있다는 응답이 13.61% 등 70.71%가 그 내용을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탄소중립 달성을 위해 어느 정도까지 비용 부담과 불편을 감수할 수 있는지를 묻는 질문에는 현재 삶의 질 유지 수준에서 감수 42.60%, 현재 보다 삶의 질이 낮아지는 것까지 감수 27.81%, 나와 내 가족이 혜택을 받는 만큼 22.49% 순으로 응답했다.

또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현재 실천하고 있거나 앞으로 동참하고자 하는 활동은 장바구니·자전거 등 일상생활 친환경 실천 35.48%, 삶의 가치와 생활방식 변화 23.50%, 주변인에게 행동 권유 14.37%, 기후위기 학습 참여 9.58%, 저탄소 인증제품 구매 7.93%, 시민단체 기부나 행사 참여 4.94%, 친환경 에너지 기업 펀드나 기금 가입 2.54% 순으로 나타났다.

시민 정책평가단이 주최한 기후위기 대응 의제 발굴 리빙랩에서 제안한 9개 의제의 우선순위에 대해서는 일회용품 줄이기 30.77%, 분리배출 강화 10.50%, 대중교통 및 친환경 교통 강화 10.36%, 기후위기 대응 조례 제정 10.21%, 온실가스 흡수 도시숲 조성 9.47%, 온실가스 감축 예산제도 도입 7.84%, 온실가스 배출 규제 및 친환경 기업 지원 7.84%, 기후위기 전담부서 및 민관 거버넌스 구축 7.40%, 환경교육센터 설립 및 환경 전문강사 육성 5.62% 순으로 응답했다.

또 현재 기후위기의 책임에 대해서는 기업과 산업계 54.44%, 중앙정부 33.73% 일반시민 8.58% 순으로 답했고, 실효적인 탄소중립 정책으로는 재생에너지 확대 38.04%, 노후 석탄발전소 조기 폐쇄 및 신규 건설 중단 17.53%, 친환경 차량(전기차, 수소차) 확대 15.60%, 단계적인 탈원전 9.06%, 대중교통 인프라 확대 7.88%, 탄소소비세 도입 6.98%, 그린수소 확대 3.27%, 전기요금 인상 1.63% 등을 꼽았다.

이외에도 익산시가 기후위기 대응 및 탄소중립 정책을 추진하는데 필요한 정책이나 대안을 묻는 주관식 질문에도 113명이 응답하며 높은 관심을 보였다.

익산참여연대는 “기후위기 대응과 탄소중립은 매우 시급한 문제이고 국가와 지역사회의 협력과 시민의 실천적 참여가 매우 중요하며, 막대한 사회적 비용과 이해관계의 조정 등에 대한 사회적 합의를 위해서는 시민들의 높은 공감대와 참여가 필수적”이라며 “이번 시민 정책평가는 기후위기와 탄소중립에 대한 객관적인 인식 조사가 없던 상황에서 익산시의 정책 수립에 매우 중요한 자료가 될 것이다. 익산시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종합계획을 수립해야 하며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조례 제정 등 제도를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기후위기 #탄소중립 #익산참여연대 #시민정책평가단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지역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