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6 04:49 (Thu)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경제 chevron_right 경제일반
자체기사

한우 값 폭락했는데 소비자 체감은 '글쎄'

지난해보다 도매 평균 가격은 내려갔지만 소비자 가격은 올라
가처분 소득은 2.0% 증가했으나 한우 구매량은 전년보다 감소

image
지난 9일부터 11일까지 농협 하나로마트 전주점에서 한우 소비를 위한 '한우 100마리 파격 할인 행사'가 열렸다.

#전주시 완산구 서신동에 사는 주부 송 모 씨(55)는 설 명절 때 귀향하는 가족들을 위해 한우갈비찜을 준비하기로 하고 대형마트를 찾았지만 너무나 비싼 가격 때문에 LA갈비로 대체하기로 했다.

송씨는 신문이나 방송 등에서 한우가격이 폭락해서 농가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는데 소비자가격은 오히려 오른 것 같다도매가격이 내렸는데 소매가는 오른다는 게 말이 되냐. 근본적으로 문제가 크다고 지적했다.

#완주군 용진읍에 사는 정 모 씨(61)도 "최근 한우 값이 폭락했다는 뉴스를 보고 마트에 찾았는데 뉴스에서 보고 들은 것과 달리 한우 값이 크게 떨어진 것 같진 않다. 가족들과 한우를 즐기기 위해 마트를 찾았는데 가격을 보니 쉽사리 카트에 담을 수가 없었다"고 전했다.

한우 값이 폭락하면서 축산농가들의 시름이 깊어지고 있지만 소비자들이 체감하는 소고기 가격 하락 효과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살과 가공 등 수많은 단계를 거쳐야 소비자들 식탁에 오를 수 있는 복잡한 유통구조가 원인으로 꼽힌다.

축산물품질평가원 고시 기준 지난 1일부터 15일까지 호남권 한우 도매 평균 가격은 1kg18705원이다. 지난해 같은 기간 가격은 1kg22883원으로 20% 가까이 하락했다.

하지만 전북소비자정보센터에서 집계한 소비자 가격은 각각 평균 8306, 77067원으로 오히려 지난해보다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송씨와 정씨의 경우처럼 소비자들은 한우 값이 폭락했다는 소식에 주변 대형 쇼핑몰이나 전통시장을 찾지만 저렴한 가격으로 한우를 구입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도내 대형 쇼핑몰, 전통시장도 전년과 비교해 소폭 하락하거나 상승해 도매가격 하락의 영향이 미치지 않고 있다.

지난해 12월 농촌경제연구원이 발표한 '최근 한우 가격 하락 원인과 전망' 분석에 따르면 전 세계적으로 금리 인상과 물가 상승 등 경기 침체 우려로 소비 심리가 크게 위축된 것으로 보인다. 가처분 소득은 2021년보다 2.0% 증가했으나 가정 내 한우 구매량은 전년보다 감소했다는 게 연구원의 말이다. 지난해 10월 소비자 심리 지수가 88.8로 전년 대비 16.9% 하락하며 한우 소비도 줄었다는 것이다.

축산농가와 소비처·판매처의 목소리도 크다. 축산농가는 한우 값은 떨어질 대로 떨어진 것이 사실이라는 입장이다. 소비처·판매처에서 가격을 내리지 않으니 소비까지 이어지지 않는다는 의견이다

반면 정육점 등을 운영하는 소비처·판매처는 생산 및 출하, 도축·가공, 소비 등 최고 8단계의 유통·가공 단계를 거치며 수수료와 중간 이윤이 더해져 가격을 내릴 수 없다고 설명했다.

전주의 한 시장에서 정육점을 운영하는 상인 A씨는 "개인 영업점이 하루이틀 전에 한우를 계약해서 판매하는 것은 아니다최소 한두 달 전에 이미 다 계약을 한 상태일 텐데 당시 가격은 저렴하지 않았기 때문에 지금 당장 한우값이 폭락했다고 해서 당장 소비자 가격을 내릴 수 없다" "·소매 거치면서 수수료, 중간 이윤 붙으면 어쩔 수 없이 우리도 먹고살아야 하니까 가격을 큰 폭으로 내리기는 힘들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한우 #축산물품질평가원 #전북소비자정보센터 #농촌경제연구원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경제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