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영업자 모임, 대형 수입·공급업체 A사 가격 후려치기 피해 호소
익산·김제지역 A사 직영 충전소만 비상식적으로 공장도 가격 판매
나머지 자영업 충전소, 어쩔 수 없이 마진 없이 손실 떠안으며 운영
익산지역 LPG 충전소 자영업자들이 국내 대형 LPG 수입·공급업체의 비상식적인 가격 인하 때문에 피해를 입고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LPG 충전소 자영업자 피해 대책 모임은 28일 익산시청 기자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내 대형 LPG 수입·공급업체인 A사가 가격 안정화란 미명 아래 지난 3월부터 갑자기 익산과 김제의 직영 충전소에서 LPG를 공장도 가격으로 판매하는 방식으로 가격 후려치기를 시작해 3개월 넘게 이어가고 있다”면서 “A사가 일방적으로 가격을 내릴 경우 타사 브랜드 자영업 충전소들도 이에 맞춰 내릴 수밖에 없는 구조여서, 자영업자들은 마진 없이 운영을 하고 하는 상황”이라고 주장했다.
이어 “충전소 운영비(고정비)가 전부 손실이 되는 상황인데, 언젠가는 수익이 날 것이라고 기다리며 버티고 있지만 지금의 상황이 앞으로 얼마나 더 이어질지 두렵고 무섭다”며 생존권 보장을 요구했다.
인근 전주나 군산과 달리 익산·김제지역의 A사 직영 충전소만 비상식적으로 공장도 가격 공급이 이뤄지고 있다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실제 이날 기준 한국석유공사 오피넷에 따르면 익산 21곳 중 5곳, 김제 10곳 중 4곳 등 익산·김제지역 약 30%를 점유하고 있는 A사 직영 충전소 9곳은 다른 지역과 달리 LPG를 공장도 가격인 리터당 839원으로 판매하고 있다.
이들은 “27일 기준 A사 충전소의 전국 평균은 리터당 968원인데 반해 익산·김제는 약 130원 가량 싼 839원”이라며 “겉으로는 가격 안정화 명목을 내세우고 있지만 숨은 목적은 지역 내 자영업 충전소를 길들이고 고사시켜 우월적 지위를 차지하고자 하는 의도”라고 주장했다.
또 “3년 전에도 똑같은 일이 벌어진 바 있는데, 당시 A사는 합당한 이유 없이 1년여에 걸쳐 시장가격이 아닌 헐값에 LPG를 판매하며 자영업자들을 압박했다가 어느 정도 자신들의 목적이 달성된 후에는 이전의 가격으로 회귀했다”고 피력했다.
이어 “소비자 입장에서는 보다 싼 가격으로 충전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지만, 이 상태가 지속되면 지역 내 자영업 충전소는 벼랑으로 내몰릴 수밖에 없고 이로 인해 시장질서가 파괴되면 그 피해는 고스란히 시민과 소비자에게 돌아갈 것”이라고 우려를 표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