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6 06:05 (Thu)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외부기고

[전북일보 신춘문예 작가들이 추천하는 이 책] 이영종 시인, 신형철 '인생의 역사'

시인이 겪은 시들

image
인생의 역사 표지/사진=이영종 시인 제공

신형철의 <인생의 역사>를 읽다가, 여기까지 와버렸습니다. 가사와 해석이 있고 이왕이면 테너가 부르는 게 좋을 것 같아서 이걸 보냅니다. 예이츠가 '솔리 마당 아래에(Down by the Salley Gardens)'로 다듬어 내놓은 아일랜드 민요입니다. 미성의 팝페라 임형주가 불렀고요. 

She bid me take love easy, as the leaves grow on the tree; 

그녀는 나뭇잎이 자라는 것처럼, 사랑을 천천히 하라고 말했지요. 

And on my leaning shoulder she laid her snow-white hand.

나의 비스듬한 어깨 위에 그녀는 눈처럼 하얀 손을 올려놓았어요. 

‘easy’를 ‘쉽게’라고 번역하는 경우가 많아요. 그런데 사전을 보면 ‘take it easy’는 ‘일을 쉬엄쉬엄하다’라는 의미입니다. 서두르지 말라는 말은 작위(作爲)를 부리지 말라는 말이겠죠. 상대가 필요한 것을 가만히 살펴보라는 뜻이겠죠. “릴케는‘아티카의 묘석에 새겨진 인간의 몸짓’을 보라고 권유합니다. 상대방의 어깨에 조심스럽게 손을 올린 연인들의 모습을. 릴케는 그 연인들에게서 절제하는 사랑의 역설적 깊이를 보았어요. 그가 말하는 절제란 사랑이 탕진되지 않도록 가장 ‘아름다운 거리’를 유지하는 기술일 것입니다.” 

허나 첫 시선의 놀라움과 창가에서의 그리움을 이겨 내고, 함께 거닐던 ‘첫’ 산책, 단 한 번뿐이던 그 정원에서의 산책을 견뎌냈을 때, 연인들이여, 그때에도 너희들은 ‘영원한’ 연인으로 남아 있을 것인가?

너희들이 발돋움하며 입술을 맞대고 서로 마실 때. 아, 얼마나 그때 기이하게도 마시는 자는 그 행위로부터 멀어져 가는가! (릴케, 「두이노의 비가 中 제2비가」 중). 

끌림이 비애랍니다. 사랑에 몰입하는 순간, 끝으로 달려간다고 해요. 이 매혹적인 사랑을 어떻게 해야 할까요? 다시 ‘아름다운 거리’군요. 참, 어렵습니다. 사랑 못할 것 같아요. 사랑은 내리는 눈발을 잡으려고 이리저리 뒤채지 않는, 쌓인 눈발이 햇볕과 교감하여 수증기가 되어 날아가도록 해주는 바위라고 말하는 것 같아서요. 

실존이란 어떤 존재자가 실재와 상호작용할 수 있는 능력입니다. 내가 사랑하는 존재가 그를 둘러싸고 있는 실재에 순하게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아름다운 거리’를 지키는 것, 그것이 사랑이라고 말하는 것이죠. 좋아하는 마음을 심장처럼 숨겨 둘까, 말로 할까, 고민하는 어느 시가 떠오릅니다. 저는 눈 속에 숨겨 두라고 말하고 싶어요. 뭐, 자기도 모르게 조금씩 흘러넘치는 것이야 어쩔 수 없을 테니까요. 후회 하나 하겠습니다. 가까이 지내라고 은행나무 암수의 손을 묶어준 것입니다. 손잡지 않아도 넉넉히 아름다웠는데 말입니다. “천사가 껴안으면 바스러질 뿐인 우리 불완전한 인간들은 내가 사랑하는 사람이 진정으로 존재할 수 있도록 그를 ‘살며시 어루만지는’ 법을 배워야 합니다. 그것이 인간의 사랑이 취할 수 있는 최상의 자세일 것이기 때문이죠. 사랑의 관계 속에서 인간은 누구도 상대방에게 신이 될 수 없어요. 그저 신의 빈자리가 될 수 있을 뿐.”  

이영종 시인은

2012년에 '전북일보' 신춘문예로 등단했으며, 아르코문학창작기금에 선정되어 2023년에 첫 시집 <오늘의 눈사람이 반짝였다>를 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인생 #역사 #민요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문화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