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5 23:05 (Wed)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문화 chevron_right 이승우의 미술 이야기
외부기고

[이승우의 미술이야기] 우진문화공간, 이올 작가 '돐' 전

image
이올 작가 작품/사진=이승우 작가 제공

전시장에 들어서자 우선 시야를 꽉 차게 만드는 팔각조형물의 대형 초상화들이 있다.

우선 이 팔각기둥을 돌고, 다음에 벽면의 그림들을 보며, 철학자의 후손이었던 아일랜드의 프랜시스 베이컨(Francis Bacon 1909,~1992)과 앵포르멜의 선구자였던 장 포트리에(Jean Fautrie 1898~1962), 그리고 휴머니즘의 깊은 철학을 표현하였던 조르쥬 루오(Georges Rourault 1871~1958)와 우리나라 현대미술의 거장이었던 박서보 선생의 젊은 날의 그림 제목‘원형질’이라는 단어들과 인물들이 생각났다.

사상은 뚜렷한데 붓질은 거칠기만 해서 무척 속도감이 있고 자유로웠다. 이 세상에 존재하는 규칙과 제도와 상식을 파괴하는, 작가의 화가 난 내면을 표현하는데 어울리는 붓질은 정말 미쳤다는 생각이 들 만큼의 속도가 넘치는 붓질이었다.

그가 아이의 돌을 주제로 정한 사상과 일맥상통하는 가히 광란에 가까운 속도감의 붓질이다.

아이는 돌잡이 때부터 부모가 원하는 상식을 교육받는다. 명주실이나 연필 등을 놓고 무엇을 선택하느냐에 따라 나름대로 의미를 부여하며 즐긴다.

그러면서 제도와 규칙, 그리고 상식 있는 어른으로 키워져 가는 현실을 고발하고 있다. 작가는 이런 현실에 분노하며 붓을 들었다.

이런 생각과 몸짓은 경험이 많은 자칭 어른도 하기 어려운데 아직 아이도 없는 30대 중반의 어린 새댁이 해냈다는 것이 도무지 믿어지지 않는다.

그림을 전시한 방법도 너무 특이하다. 중앙의 팔각기둥은 150F(227,3×181,8Cm)크기의 캔버스를 이어서 기둥을 만든 것이다.

그리고 그림이 더 잘 보이게 하는 조명도 그림마다 다르다. 신기하게도 조명이 어두워 잘 보이지 않는 그림도 오늘 보니까 가까이 가면 다 보인다는 사실을 알았다.

이토록 심오한 삶의 철학과 지혜에 나도 모르게 감탄한다.

흔하디흔한 돌쟁이 아이의 웃는 표정은 없었다. 뭔가의 고뇌에 가득찬 어린 돌잡이의 원초적 표정뿐이다.

미술의 기본인 창작은 같이 살아가는 일반인들과 똑같은 규칙과 제도 또는 상식의 선에서는 이루어질 수 없을 것이다.

그래서 그런 것들이 우리 미술인들에게 권장되는 것이다.

무리를 지어가는 사람들을 저만치 떨어져서 응시하고 관조하고 있는 것이다. 미술이란 그런 것인지를 알고 있는 것이다. 부럽다.

참고로 이올 작가의 집안은 대부분 미술인이다. 아빠, 엄마, 형제자매, 신랑까지 모두 미술대학 출신이다. 

그렇지만 시댁은 차고 넘치는 재력이 있는 집이기에 그림 같은 거 그리느라고 애써 머리를 감싸지 않아도 된다.

그런데도 하물며 본인이 느낀 부조리를 이 사회에 고발까지 하고 있다.

그렇지만 아이러니하게도 이 작가는 아주 몸에 익은 예절과 타인에 대한 배려로 주변의 사람들에게는 행복감을 준다. 가냘픈 촛불이 주위를 밝히듯.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우진문화공간 #이올 #돌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문화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