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균 내 특정 단백질이 조직으로 파고드는 현상 등 밝혀내
전북대학교 이경태 교수팀(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이 곰팡이성 감염질환인 ‘크립토코쿠스증’ 조직 침습인자를 찾아 주목을 받고 있다.
호흡기를 통해 전신으로 감염되는 ‘크립토코쿠스증’은 연간 15만명 이상의 면역결핍 환자를 사망하게 하는 주요 원인이다.
하지만 면역이 정상인 환자에서도 그 수가 증가하고 있는데, 특히 코로나19를 겪은 이후에는 면역력 유무와 상관없이 전신 크립토코쿠스증을 겪는 환자 사례가 보고되고 있다.
이러한 가운데 전북대 교수팀은 크립토코쿠스증을 일으키는 원인균이 호흡기를 침습해 전신과 뇌로 감염되는데 중요한 기능을 조절하는 단백질에 대한 연구 성과를 발표했다.
진균 감염으로 유발되는 크립토코쿠스증은 사람과 동물 모두에게 감염될 수 있는 인수공통 질환으로, 폐렴과 기침, 발열 등의 증상을 동반하며 심한 경우 우리의 뇌 속까지 균이 침범한다고 알려져 있다.
이 교수팀은 연세대 반용선 교수 연구팀(생명공학과)과의 공동 연구를 통해 균 내의 액포 및 엔도솜 막에 존재하는 V형 ATP 가수분해효소 복합체를 구성하는 단백질인 Rav1이 폐의 세기관지로부터 조직 안쪽으로 진균이 침습하는 현상과 혈-뇌장벽 통과능을 조절한다는 사실을 밝혔다.
이 연구결과는 감염 미생물학 분야의 우수 국제학술지인 '플로스 패소전스(PLOS Pathogens, 분야 상위 9.5%)'에 게재됐다.
이경태 교수는 “이번 연구로 밝혀진 진균의 조직 감염 필수 침습 조절인자는 기존에 보고되지 않은 새로운 약물 타깃 후보로서 항진균제 개발 등에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