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6 21:14 (Thu)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정치 chevron_right 4·10총선
자체기사

군산·김제·부안갑 신영대 승리…“꾸준한 지역구 관리 뒷심발휘”

사실상 군산 경선 수도권은 물론 전주와도 큰 차이
전북정치에 비명친명 구분법 유효하지 않은 상황으로 변해
신영대 의원 당선 때부터 지역구 관리에 비중 높이 둬
조직력+일반 시민들과 이웃처럼 지내며 민원 해결
인지도와 조직력 함께 갖춘 김의겸 후보에 신승

image
신영대 후보

군산·김제·부안갑 더불어민주당 국회의원 후보 경선에서 지역구 현역인 신영대 예비후보가 지난 6일 승리했다. 이번 경선은 사실상 21대 국회 선거구인 군산지역 경선으로 신 후보가 강력한 경쟁자였던 김의겸 예비후보를 누를 수 있었던 배경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조직력과 국민들의 대외 인지도가 높은 김의겸 후보는 강적이었다. 보통 비례대표 출신 현역이 지역 기반이 약한 것과 달리 김 후보는 신 후보와 군산지역 정치권을 양분했을 정도로 세력을 키워왔다. 

7일 여의도 정가에 따르면 신 후보의 승리는 ‘이변 아닌 이변’으로 꼽히고 있다. 민주당 경선결과가 ‘친명횡재 비명횡사’로 압축되는 과정에서 공천권을 거머쥔 호남 정치인 중 유일하게 비명으로 분류된 인물이기 때문이다.

실제 민주당 4, 5, 6차 경선결과 군산에서 현역 비례대표 김의겸 후보와 서울 강북을에서 정봉주 후보와 결선을 치르게 된 박용진 후보(재선·서울 강북을)를 제외하면 대부분 친명계가 승리했다.

다만 전북에서는 일반적인 친명-비명구도는 통용되지 않는다는 게 군산·김제·부안갑 경선에서 드러났다. 신 의원 본인 또한 계파정치에 거리를 두고 4년간 의정활동을 해왔다. 그는 21대 국회에서 개딸들의 문자폭탄 세례도 받았으나 친명계와 날을 세우진 않았다. 

전북정치가 단순하게 친명, 비명 구분법도 통용되지 않는다는 게 지역정치권 관계자들의 전언이기도 하다.  

인구 30만 이하 도시의 경우 소위 ‘개딸’ 등 이재명 대표 핵심 지지층의 영향력이 상쇄됐다는 분석도 나온다. 전주을 선거구의 이성윤 후보가 결선투표 없이 과반 승리한 전주와는 경선 승리 방정식이 조금 다르다는 의미다. 전주의 경우 민주당 주류의 헤게모니와 민심이 비슷한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다. 그러나 중소도시는 초선 국회의원에 당선된 이후부터 지역구 관리에 큰 비중을 뒀던 현역 의원들이 유리했다.

신 후보는 2022년부터 지역구 활동 비중을 대폭 늘렸다. 그는 특히 의정보고회를 통해 자신의 공약 이행을 홍보하고, 주민들의 민원청취를 꾸준히 했다. 지역구 집중 전략은 박빙의 승부에서 신 후보가 신승하는데 주효하게 작용했다. 신 후보는 코로나19 사태가 완화된 2022년부터는 군산 27개 읍면동을 순회하면서 주민들을 최대한 많이 만나는 데 주력했다. 군산조선소 재가동, 전북대학교 병원 군산분원 건립 공약 이행도 경선 승리의 원동력이 됐다.

신영대 후보의 경선 승리로 전북정치권의 지형변화도 확연해졌다.

전북정치권은 사실상 도내에서 대학을 졸업한 운동권 출신과 서울에서 대학을 졸업한 운동권 출신, 그리고 퇴직 고위공직자 그룹으로 구분된다.

22대 총선에서는 전북대와 원광대를 나온 도내 대학 운동권 출신의 약진이 두드러지고 있으며, 이들 모두 재선과 3선이 유력해지면서 호남의 주류로 급부상했다. 이러한 현상은 2년 후에 있을 지방선거 구도와도 연관이 있다.

격전을 벌인 신 후보를 제외하면 전북대 출신인 김윤덕, 이원택 후보와 원광대 출신인 한병도 후보가 단수 공천을 받았다. 군산·김제·부안갑에서 승리한 신 후보 역시 전북대를 나온 586그룹이다. 

신영대 후보에게 잠시 제기됐던 현역 하위 20%설도 그가 공천권을 거머쥐면서 사실이 아닌 것으로 증명됐다. 이는 곧 경선을 앞두고 있는 현역 의원 중 하위 20%가 1명 이상 존재한다는 뜻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신영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정치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