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자체기사

익산 청소년 문화의 거리 “반쪽짜리”

청소년 문화예술 활동 거점 및 차 없는 거리 조성에 19억 원 투입
오임선 익산시의원 “당초 기대와 달리 가로 정비 수준” 개선 촉구

image
익산시가 19억 원을 들여 영등동 로데오 거리 일원에 조성한 청소년 문화의 거리(왼쪽)와 경기도 광명의 철산 문화거리/사진 제공=익산시의회
image
오임선 익산시의원

익산시가 영등동에 조성한 청소년 문화의 거리가 지역 청소년들이 꿈과 끼를 발산하는 복합문화공간이 될 것이라는 당초 기대와 달리 인근 상가를 위한 가로 정비 수준에 머물러 있어 개선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오임선 익산시의원은 10일 제261회 익산시의회 제1차 정례회에서 5분 자유발언을 통해 청소년 문화의 거리의 문제점과 개선 필요성을 강조했다.

오 의원에 따르면, 익산시는 지난 2022년부터 총사업비 19억 원을 들여 영등동 배스킨라빈스 뒤 로데오 거리 일원에 청소년 문화의 거리를 조성했다.

청소년들의 다양한 문화생활을 지원할 수 있는 공간 및 걷고 싶은 거리(차 없는 거리)를 조성해 지역 청소년들의 문화예술 활동 거점으로 삼는다는 게 당초 계획이었지만, 차 없는 거리는 10m 이상의 도로 폭과 인근 상가 주차 문제로 인해 무산되고 대신 위험한 일방통행로가 됐다.

청소년 쉼·놀이 공간 제공 및 참여 플랫폼 역할을 위한 특화 공간은 누구나 자유롭게 드나드는 능동적인 공간이 아니라 수동적인 교육 공간처럼 꾸며져 있고, 실제 프로그램도 교육 위주로 구성돼 있어 기존 청소년수련관이나 청소년문화의집의 분관 수준이라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게다가 매년 1억 3000만 원의 예산을 들여 민간위탁으로 운영되고 있는데, 시내 중심에 있음에도 청소년들이 잘 알지 못하거나 기존 청소년수련관처럼 동아리에 가입해야 이용할 수 있다는 인식이 적잖은 실정이다.

이에 대해 오 의원은 “타 자치단체의 경우 도심에 실내 공간과 더불어 야외 광장까지 확보해 스트리트댄스 페스티벌이나 버스킹을 여는 등 청소년들이 에너지를 마음껏 발산하는 장이 되고 있는 반면, 십수 억 원이 들어간 영등동 거리는 어떤 실정인지 사진으로만 봐도 알 수 있는 상황이며 인근 상가를 위한 가로 정비일 뿐이지 청소년 거리라고 전혀 느껴지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또 “청소년 문화의 거리에서 어울림 축제 등 야외 행사를 하려고 해도 주변 상가에 스터디카페가 포진해 있어 여간 힘든 일이 아니다”라며 “당초 계획 대비 눈에 띄는 성과는 없고 반쪽짜리로 전락해 버린 것 같은 거리를 개선해 진정으로 청소년들을 위한 공간으로 만들기 위해서는, 지역 주민과 문화예술단체를 참여시켜 다양한 문화행사를 기획·운영하고 학교 연계를 통해 청소년들이 쉽게 참여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송승욱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군산“군산~목포 철도, 국가철도망에 반드시 반영돼야”

익산숲이 일상이 되는 녹색정원도시 익산

문학·출판전주문인협회 ‘다시 읽는 나의 대표작’

문학·출판교육 실종 시대에 던지는 질문, 신정일 ‘언제 어디서나 배웠다’

교육일반전북교육청, ‘깜깜이 5급 승진’ 의혹 해소 촉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