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11-06 06:50 (Thu)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문화 chevron_right 전라감사 100인 열전

[전라감사 100인 열전] 세종의 장인 심온 사건으로 희생된 박습

박습(朴習, 1367~1418)은 태종 15년(1415) 3월에 전라감사로 부임하여 그 해 11월경 이임하였다. 그는 전라감사 재임시 김제 벽골제를 수축하였으며, 세종이 즉위하던 해에 형조판서에 올라 세종의 국구 심온 사건에 연루되어 상왕 태종에 의해 억울한 죽임을 당했다. 박습은 태종과 같은 해 과거시험에 급제하였던 동방급제자요 태종대 원종공신이었다. 박습은 함양 박씨로 아버지는 이부 상서 박덕상(朴德祥)이고, 할아버지는 호부 상서 박원렴이며, 증조부는 병부 상서 박인계이다. 박습의 아들 박의손은 문과에 급제하여 사헌부 감찰을 지내고 아버지 박습이 처형된 후 죽임을 당했다. 박의손의 4대손 박대립(朴大立)은 퇴계 이황의 문인으로 문과에 급제하여 선조 때 좌찬성을 지냈다. 박습은 1383년(고려 우왕 9) 과거시험에 동진사(同進士) 19위로 급제하였다. 이때 그와 같이 합격한 동방급제자들이 태종 이방원, 양녕대군의 장인 김한로, 세자 방석의 장인 심효생 등이다. 김한로가 을과 1등 장원, 심효생이 을과 2등 방안(榜眼, 차석), 이방원은 병과 7등으로 급제하였다. 당시에는 갑과가 없어서 을과 1등이 장원이다. 동진사는 갑과, 을과, 병과로 나누면 병과에 해당한다. 동방급제한 이들의 운명은 새왕조 개창후 정치적 혼돈기에 기구하게 얽혔다. 심효생은 전주출신으로 개국공신이 되어 세자 방석의 장인이 되었는데 1차 왕자의 난 때 정도전과 함께 이방원세력에 의해 살해되었다. 양녕대군은 태종에 의해 세자에서 폐위되고, 그 장인 김한로는 나주로 유배되었다. 박습은 태종이 양위후 세종의 장인 심온을 제거하면서 희생되었다. 박습은 태종과 나이도 같았고, 태종을 왕위에 올린 원종공신이었다. 박습은 좌간의ㆍ우산기 등 대간직을 지내고 국왕의 비서인 동부승지 등을 역임한 후 태종 11년에 강원감사로 나갔다. 태종 12년에는 명나라에 사신으로 다녀왔다. 전라감사에 임용된 것은 태종 15년 2월 19일이며, 전라도 임지에 부임한 것은 3월이다. 이후 8개월정도 전라감사로 재임하다가 그해 11월경에 이임하였다. 전라감사로서 그의 가장 큰 치적은 김제 벽골제(碧骨堤)를 수축한 일이다. 『태종실록』, 15년 8월 1일, 전라감사 박습은 김제 벽골제를 수축하는 일과 왜구에 대비해 연해 3읍의 성을 수축할 것을 아뢰었으며, 태종은 벽골제를 우선 수축하라고 명하였다. 박습이 올린 소에, 벽골제 뚝을 쌓은 곳이 길이가 7천 1백 96척이고 넓이가 50척이며, 수문이 네 군데인데, 가운데 세 곳은 모두 돌기둥을 세웠고 뚝 위의 저수한 곳이 거의 일식(一息)이나 되고, 뚝 아래의 묵은 땅이 광활하기가 제(堤)의 3배나 됩니다.라고 하였다. 박습은 행정구역도 개편하여, 능성현 임내(任內)인 철야현을 남평현에 병합하고, 태인현의 치소(治所)를 거산역에 옮겼으며, 장사현의 치소를 무송현으로 옮겼다. 그는 또 전라감사 재임 중에 제주도의 말을 잘 키웠다고 하여 포상을 받기도 하였다. 박습은 태종 16년에는 호조참판에 올랐으며, 이듬해 경상감사를 지내고 대사헌에 임용되었다. 양녕대군을 폐위하기 직전 태종 18년 5월에 형조판서에 임용되었고, 이해 8월 태종이 세종에게 양위한 직후 병조판서에 제수되었다. 이 병판 임용이 그의 운명을 바꾸어 놓았다. 태종은 공신과 외척을 제거하여 정치적 안정을 이룩하고, 새왕조 정치체제의 기틀을 정립하였다. 태종의 외척제거는 그의 재위 4년에 이르러, 이전에 사병혁파에 따르지 않았던 왕실의 겹사돈 이거이ㆍ이저 부자를 제거하는 데서 시작되었다. 이거이의 아들은 태조의 큰딸 경신공주와 혼인하였고, 다른 아들 이백강은 태종의 큰 딸 정순공주와 혼인하였다. 태종은 민씨 처남 넷을 또 모두 처단하였다. 태종 6년, 태종이 양위파동을 일으켰을 때 이를 적극 반대하지 않았다고 하여 민무구ㆍ민무질이 유배되었다가 태종 10년에 자진의 명을 받고 죽었으며, 민무휼ㆍ민무회는 불충한 말을 했다고 하여 태종 15년에 유배되었다가 이듬해 자진의 명을 받고 죽었다. 태종비 원경왕후 여흥민씨 민제의 딸이고, 민제는 태종과 하륜을 연결시킨 인물이다. 태종 8년 민제가 죽은 후 그 아들들도 운명을 달리했다. 태종의 외척제거는 민씨처남들을 죽이는데서 그치지 않았다. 태종 18년 세자를 충녕으로 바꾸고 왕위를 양위한 후 상왕으로서 세종의 장인 심온을 처단하였다. 당시 심온은 왕의 국구에다가 벼슬이 영의정이었다. 그가 중국 사신으로 떠날 때 그를 마중하느라 한양이 텅텅 비었다고 하였다. 사건의 발단은 병조참판 강상인에게서 시작되었다. 태종이 세종에게 왕위를 양위하였지만 군사권은 내주지 않았다. 태종은 군사권을 가지고 22살의 세종에게 정치적 경험을 쌓게 하였다. 왕은 세종이지만 군사는 태종에게 보고해야 했는데, 강상인이 그렇게 하지 않았다. 왕이 군사권이 없다는 것은 비정상적인 체제로 논란의 소지를 안고 있었다. 태종은 결국 이를 문제삼아 병조참판 강상인만이 아니라 병조판서 박습을 처형하였다. 강상인과 박습은 태종과 매우 가까운 사이였다. 태종이 강상인에게, 너는 나를 30년이나 따라 다녔다고 하였다. 그럼에도 태종은 외척 제거를 위해 이들을 죽음으로 몰았다. 이들은 죽어야 할 죄가 있었던 것이 아니었다. 강상인은 거열형으로 처형되면서, 내가 무슨 죄가 있어서 죽이냐고 울부짖었다. 태종은 강상인과 박습을 죽이고 중국 사신으로 갔다 오는 심온을 이 사건과 연루시켜 바로 잡아들여 처형하였다. 강상인은 이미 죽어 대질할 수도 없었고, 심온은 이를 부인하였다. 유정현이 공의 지위와 권세로 보아 승복하지 않을 수 없다는 것을 알지 않냐고 했고 이에 심온은 승복하였다. 태종으로서는 정치적으로 부담이 큰 심온을 제거해야 했고, 그 발판으로 강상인과 박습을 먼저 희생시켰다. 태종은 냉혈적이었다. 세상에는 억울한 죽음도 있다. 박습의 자손들은 세조 때에 벼슬에 나오는 것이 허용되었다. 심온의 아들 심회는 성종 때 영의정을 지냈다. <끝>

  • 문화일반
  • 기고
  • 2021.03.22 17:56

[전라감사 100인 열전] 전라도와 인연이 깊은 유관

유관은 조선건국후 17번째 전라감사로 태종 5년(1405) 7월에 부임하여 이듬해 2월에 이임하였다. 전라감사를 거쳐 벼슬이 우의정에 이르렀으며 세종대 청백리에 녹선되었다. 전라도와 인연이 깊은데, 부안 우반동에서 실학을 개창한 반계 유형원이 그의 후예이다. 반계가 우반동으로 낙향한 것은 유관의 사패지가 있었던 것에 인연한다. 전남 영암의 모산유씨 영의정 유상운, 좌의정 유봉휘 부자도 유관의 후예로, 유관이 전라감사를 지내면서 인연을 맺어 그의 장자가 모산에 뿌리를 내렸다. 유관(柳寬, 1346~1433)의 본관은 문화, 초명은 관(觀), 자는 몽사(夢思)ㆍ경부(敬夫), 호는 하정(夏亭)이다. 고려 명종 때 정당문학을 지낸 유공권의 6대손이며, 아버지는 삼사판관 유안택이다. 이름자를 觀으로 쓰다가 세종 8년(1426) 그 아들 유계문이 충청감사로 임용되자 관찰사의 관자가 유관의 이름 관자와 같다고 하여 寬으로 고치었다. 1371년(고려 공민왕 20) 문과에 급제하였으며, 조선건국후 개국원종공신에 책봉되었다. 대사성, 강원도 관찰사를 지내고 태종 원년 사헌부 대사헌에 임용되어, 승려 수를 줄이고 5교 양종을 폐할 것을 상소하는 등 불교를 적극 배척하였다. 태종 2년 계림부윤으로 나갔다가 무고를 당해 그의 본향 황해도 문화현에 유배되기도 하였다. 태종 5년(1405) 전라도관찰사에 임용되었으며, 태종 6년 예문관 대제학, 태종 7년 형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태종 9년 예문관 대제학으로 지춘추관사를 겸해 『태조실록』 편찬을 주관하였다. 세종 6년 우의정에 올랐으며, 『고려사』를 개수하여 올렸다. 세종 8년 1426년, 81세에 우의정으로 치사하여 88세에 졸하였다. 유관은 태종 5년(1405) 7월 8일에 전라도관찰사에 제수되어 7월 26일에 전라도 임지로 부임하였다. 후임 전라감사 박은이 이듬해 2월 29일에 부임한 것으로 보아 이때에 유관은 이임한 것으로 보인다. 그는 7개월 정도 전라감사로 재임하였으며, 지방장관으로서 당시 선정을 베풀었던 것으로 보인다. 세종이 내린 제문에 남쪽 지방에 순무하니 사람들은 (유관을) 자르지 말라는 노래를 불렀도다라고 하였다. 당시 전라도 사람들의 사정이 배우 곤궁하였다. 감사 부임 직전 메뚜기떼가 기승을 부렸고, 태풍이 몰아쳐 많은 사상자가 발생하였다. 같은 해 9월에는 대간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전라, 경상, 충청도의 전답 측량이 이루어져 민폐가 컸다. 유관은 성품이 청렴하고 청빈하여 세종 때 청백리로 녹선되었다. 성현은 『용재총화』에서, 유정승은 청렴하고 검소하여 두어 칸의 초가에서 지내면서도 태평이었다 몸가짐을 필부와 같이하고 사람이 찾아오면 겨울에도 맨발로 짚신을 끌고 나가 보며, 때로는 호미를 가지고 채마밭을 돌아다니면서도 전혀 수고롭게 여기지 않았다고 하였다. 우산으로 지붕에 새는 비를 가렸다는 유명한 일화는 서거정의 『필원잡기』에 실려 있다. 한달이 넘도록 장마가 졌는데, 삼대처럼 집에 비가 줄줄 새었다. 유관이 우산을 잡고 비를 가리며 부인을 돌아보고 말하기를, 우산이 없는 집은 어떻게 견딜꼬. 하니, 부인이 대꾸하기를, 우산 없는 집에는 반드시 미리 방비가 있을 것입니다하니 껄껄 웃었다. 서울 낙산 자락에 이수광이 『지봉유설』을 지은 초가삼간 비우당(庇雨堂)을 복원해 놓았다. 이 자리는 유관이 우산으로 비를 가리며 살았다는 집터이다. 유관은 이수광의 외가 5대조가 된다. 비우당은 겨우 비나 가리는 집이라는 의미이다. 성호 이익은 유관의 청렴을 정승의 손에 작은 우산 하나 들렸으니/ 지붕이 새는 비를 막기에 부족해서라 라고 노래하였다. 반계 유형원은 유관의 후예로 부안 우반동으로 낙향하여 실학의 문을 열었다. 그가 우반동에 자리한 것은 유관의 사패지로 전해지는 그 선조들의 땅이 우반동에 있었기 때문이다. 유관에게 맹문ㆍ중문ㆍ계문 세 아들이 있었으며, 맹문과 계문 두 아들이 문과에 급제하였다. 반계는 유계문의 후예이다. 반계의 8대조가 되는 유계문은 문과를 거쳐 충청감사와 형조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반계의 아버지 유흠이 당쟁에 희생되어 이른 나이에 죽자 할아버지 유성민이 부안 우반동으로 내려가 잡목이 무성한 골짜기를 개간해 전답을 일구고 살았다. 우반동 하면 부안김씨를 떠올리지만 그 이전이 이미 유성민이 우반동에 들어가 살았다. 유성민은 부안김씨 김홍원에게 토지 30결을 매매하였는데 그 매매문기에 이 땅을 유관이 개국공신으로 태조로부터 받은 사패지라고 하였다. 반계는 이런 인연으로 우반동으로 내려가 그의 실학사상을 20여년에 걸쳐 집대성하여 반계수록을 편찬하였다. 유상운은 숙종 때 영의정을 지냈고, 유상운의 아들 유봉휘는 경종대 신임사화 때 소론 4대신의 하나로 좌의정을 지냈다. 유봉휘는 숙종 23년 문과에 급제하고도 글이 격식에 맞지 않았는데 유상운의 아들이어서 급제했다고 하여 합격이 취소되었다가 숙종 25년 다시 문과에 응시해 급제하였다. 모산유씨(茅山柳氏)는 유관의 장남 유맹문의 후예들이다. 유맹문은 문과에 급제하여 예조참판을 지냈다. 그 유맹문의 후예들이 전라도 나주 모산리(현 영암군 신북면 모산리)에 대대로 세거하여 모산유씨(茅山柳氏)로 불렸다. 모산마을은 유상운과 유봉휘가 부자간에 정승을 지내 부자(父子) 정승마을이라고 한다. 모산유씨들이 이 자리에 터를 잡게 된 것은 유관이 전라감사로 있으면서 이곳 경치에 반하여 아들 유맹문에게 정자를 짓게 한 것에 유래하였다. 유관의 명으로 지었다는 영팔정(詠八亭, 전라남도기념물 105호)이 마을에 있으며, 마을 입구에는 유관 신도비와 유상운 신도비가 있다. 영팔정을 중건한 인물이 영의정을 지낸 유상운이다. /이동희(예원예술대학교 교수, 전 전주역사박물관 관장)

  • 문화일반
  • 기고
  • 2021.03.15 17:51

[전라감사 100인 열전] 양녕대군 폐세자를 주청한 유정현

유정현은 고려말 전라도안찰사와 조선건국후 태조대 전주부윤을 역임하고, 태종 4년(1404) 전라감사에 임용된 전라도와 인연이 깊은 인물이다. 조선건국후 공신이 아닌 순수 관리출신으로 영의정에 올랐으며, 태종의 뜻을 받들어 양녕을 폐위시키고 충녕을 세자에 올렸다. 유정현(柳廷顯, 1355~1426)의 본관은 문화, 자는 여명(汝明). 호는 월정(月亭)이다. 첨의중찬을 지낸 유경(柳璥)의 4대손이며, 아버지는 문화군(文化君) 유구(柳丘)이다. 경기도 안양이 출신지라는 말이 있는데, 그의 묘소가 안양 동안구 비산동에 있다. 그는 과거시험을 거치지 않고 음사(蔭仕)로 등용되어 전라도안렴사를 지내고, 양근군(楊根郡) 수령과 대간인 장령ㆍ집의, 국왕의 비서인 좌대언 등을 역임하였다. 공양왕 4년(1392)에 정몽주 일파로 몰려 유배되었다가 조선 개국 후 풀려났다. 태조 2년 그의 두 아들이 감시(監試)에 합격하였다고 하여 직첩을 돌려받았다. 조선건국후 태조 3년 상주목사에 임용되었고, 이후 병조전서ㆍ완산부윤 등에 제수되었다. 그가 두각을 나타내는 것은 태종대 이후이다. 태종 4년 전라도관찰사에 임용되었고, 이후 경기도관찰사ㆍ충청도관찰사ㆍ판한성부사ㆍ형조판서ㆍ예조판서ㆍ대사헌ㆍ이조판서 등을 지냈다. 이어 태종 16년 5월 좌의정에 올랐으며 그해 11월에 영의정에 제수되었다. 세종 원년 대마도 정벌 때에는 삼군도통사로 활약하였다. 그는 세종 18년 6월 양녕을 폐세자하고 충녕을 세자로 올리고 난 후에 영의정에서 물러났다가 세종 즉위년에 다시 영의정에 임용되어 세종 6년까지 재임하였다. 태종말에서 세종초까지 8년여를 영의정으로 재임한 것이다. 세종 6년 영돈령부사에 임용되고, 세종 8년 3월 좌의정에 임용되었다가 그해 5월 사직하였으며 며칠 후 졸하였다. 유정현은 고려말 우왕 11년(1385) 가을과 겨울 추동번(秋冬番)으로 전라도안찰사에 임명되었으며, 조선건국후 태조대에 전주부윤을 역임하였다. 전라감사에는 태종 4년(1404) 3월 10일 임명을 받고 4월 5일 전라감사로 부임하여 8월 27일경 이임하였다. 4개월 정도 짧은 기간 전라감사로 있었다. 태종은 유정현을 비롯해 각 도의 신임 관찰사들에게, 나라를 다스리는 사람은 인구의 많고 적은 것을 몰라서는 안 된다. 경들은 군현을 순행하면서 조사하여 후일의 물음에 대비하라.고 명하였다. 그가 부임한 직후인 태종 4년 4월 25일 의정부에서 전국의 전답과 호구수를 아뢰었는데, 전라도는 전답이 17만3990결, 호수가 1만5703호, 인구수가 3만9151명이었다. 이 수치는 당시 전국의 전답 78만2543결의 22%, 호수 15만3404호의 10%, 인구 32만2786명의 12%에 해당한다. 전라도의 토지는 전국의 1/4정도이고, 이에 반해 호수와 인구수는 1/10정도이다. 이 수치가 역을 당당하는 남자들만을 조사하는 등 정확한 것은 아니지만, 전라도가 경제적으로 윤택하고 살기 좋았음을 보여준다. 태종은 국왕 중심체제 육조직계체제를 그의 재위 14년에 완성하고 이어 18년에 양녕을 폐하고 충녕을 세자로 봉한 다음 양위하였다. 태종의 뜻을 받들어 이를 주도 했던 사람이 유정현이다. 태종 18년 6월 2일에 태종이 양녕을 폐세자 시킬 뜻을 비치자 당시 영의정 유정현과 좌의정 박은은 백관을 이끌고 양녕을 폐할 것을 주청하였다. 다음 날 양녕을 폐하고 누구를 세자로 삼을 것인가를 태종이 묻자 한상경 이하 군신들이 양녕의 아들을 세우자고 하였으나 태종의 의중을 읽은 유정현은 박은과 함께, 어진 사람을 택해야 한다고 진언하였다. 태종비는, 형을 폐하고 아우를 세우는 것은 화란(禍亂)의 근본이 된다고 반대하였다. 태종이 어진 사람을 골라 아뢰라고 명하자, 유정현은 아들을 알고 신하를 아는 것은 군부(君父)와 같은 이가 없습니다.라고 하였다. 태종이 효령은 자질이 미약하고, 중국사신을 접대하려면 술을 좀 해야 하는데 한 모금도 못하고, 충녕은 총명하고 학문을 좋아하여 병이 날까 염려될 정도로 밤새 책을 읽으며, 술은 잘못하지만 적당히 마시고 그친다면서 충녕을 세자로 정하겠다고 하였다. 그러자 유정현 등이 신 등이 이른바 어진 사람을 고르자는 것[擇賢]도 또한 충녕대군을 가리킨 것입니다.라고 하였다. 유정현은 태종대 2인자 하륜과 세종대 2인자 황희 중간에서 영의정으로 8년간 재임하면서 태종대에서 세종으로 넘어가는 과도기를 성공적으로 이끌었던 재상이다. 지금까지 태종에서 세종대 정치를 논할 때 하륜과 황희를 대표적으로 생각했지만 그 중간에 유정현의 역할을 빼놓을 수 없을 것 같다. 유정현은 태종이 총애한 태종의 사람인 것 같다. 태종은 정치적 혼돈을 수습하고, 세종을 세워 새 시대를 열어가는 구도를 짤 때 이 일을 맡아 수행할 적임자로 공신이 아니면서 역량을 갖춘 유정현을 택하였던 것 같다. 고려말 태종과 유정현은 관직생활을 같이하여 절친했다고 한다. 또 태종과 유정현은 친인척이 된다. 태조의 이복형 완풍대군 이원계의 딸이 변중량에게 시집갔다가 유정현에게 재가하였다. 『세종실록』, 세종 8년 유정현의 졸기에, 사람됨은 엄의 과단(嚴毅果斷)하고 검약 근신(儉約謹愼)하여, 일을 조리 있게 처리하고 논의에 강정(剛正)하여 피하는 바가 없었다. 태종이 양녕을 폐하고 나라의 근본을 정하지 못하매, 여러 사람의 의논이 의심스럽고 위태하게 여겼는데[疑危] 정현이 맨 먼저 어진 이를 택해야 된다는 의논을 내었다. 임금이 그의 소신을 중히 여겼으나, 정치를 함에 가혹하고 급하여 용서함이 적었고, 집에서는 재물에 인색하고 재화를 늘이어 비록 자녀라 할지라도 일찍이 마되[斗升]의 곡식이라도 주지 않았으며, 오랫동안 호조를 맡고 있으면서 출납하는 것이 지나치게 인색하였다.라고 하였다. 시호는 정숙(貞肅)이다. /이동희(예원예술대학교 교수, 전 전주역사박물관 관장)

  • 문화일반
  • 기고
  • 2021.02.25 16:36

[전라감사 100인 열전] 소를 타고 다니며 더디게 살려 했던 이행

△ 이행의 가계와 외가 평해 황씨 이행(李行)은 고려 공민왕 원년(1352)에 태어나 조선 세종 14년(1432)에 졸하였다. 그의 본관은 여주이며, 자(字)는 주도(周道), 호는 기우자(騎牛子)ㆍ백암거사(白巖居士)ㆍ일가도인(一可道人)이다. 호 기우자는 소를 타고 다녀서 붙여진 것이다. 이행의 가문은 고려말 신진세력으로 그의 아버지는 충주목사를 지낸 이천백으로 충목왕대 정치도감에서 활약한 개혁세력이며 공민왕대 홍건적 침입시 전사하였다. 어머니는 평해 황씨로 황서의 딸이다. 평해는 지금의 경상도 울진이다. 이행의 외가는 평해지역에 상당한 세력기반을 가지고 있었다. 이행은 개경에서 태어났으나 홍건적 침입 때 외향인 평해로 피신하였으며, 이곳에서 성장하였고, 관직에 진출한 후에도 낙향하여 오랫동안 평해에 은거하였다. 유배도 울진으로 왔다. 그의 행보에 외가 평해는 기반이 되었다. △ 호 기우자와 평해 월송정 평해 월송정은 그가 소를 타고 노닐던 곳으로 그가 지은 월송정 시가 편액으로 걸려 있다. 지난 2019년 바다로 둘러싸인 월송정 가는 소나무숲길에 비를 세우고 기우자길로 조성하였다. 월송정 가까이에 백암온천이 있다. 그의 또 다른 호 백암은 온천이 있는 백암산에서 가져온 것이다. 그의 외가는 백암산 기슭 날라실(飛良縣) 마을에 있었다. 월송정에서 10리쯤 떨어진 마을이다. 그는 달밤이면 소를 타고 월송정에 가서 노닐곤 하였다. 권근은 「기우설(騎牛說)」에서 나의 벗 이공 도주(李公道周, 이행)가 평해에 살면서, 매양 달밤이면 술을 가지고 소를 타고서 산수 사이에 놀았다 무릇 물체를 볼 때 빠르면 정(精)하지 못하고 더디면 그 묘한 것을 다 볼 수 있다. 말은 빠르고 소는 더딘 것이라 소를 타는 것은 곧 더디고자 함이다 소를 타는 즐거움을 그 누가 알랴.라고 하였다. △ 학문이 출중했던 개혁세력 이행은 공민왕 20년(1372)에 과거에 급제하여 예문관 한림에 임용되고 이어 춘추관 수찬이 되었다. 이후 고려 조정에서 좌사의대부, 지신사(도승지), 경연 참찬관, 이조판서, 예문관 제학 등을 지냈다. 조선건국후 계림윤, 전라도관찰사, 예문관대제학, 판한성부사, 형조판서, 완산부윤, 개성유후 등을 지냈다. 그는 학문과 문장에 뛰어났다. 고려말 1386년(우왕 12) 탐라가 자주 반란을 일으키자 전의부정으로 탐라에 가서 성주 고신걸의 아들 고봉례를 볼모로 데리고 와서 이를 수습하였다. 1388년 7월 사전(私田)의 폐단을 논하는 상소를 올렸으며, 8월에는 관제 개혁과 인사의 공정도 건의하였다. 권신들의 정치 농단을 해결하는 방안으로 전하께서 마음을 맑고 깨끗하게 하시고 공(公)으로써 하시고 사(私)를 멸하시라고 하였다. 1390년 공양왕 2년에 윤이이초 옥사에 연루되어, 이색과 함께 청주 옥에 갇혔다가 풀려났고, 공양왕 4년에는 정몽주를 살해한 조영규를 탄핵하였다. 고려가 망하자 그는 황해도 강음 예천동에 은둔하여 두문동 72현으로도 불린다. △ 태조가 우왕과 창왕을 죽였다고 사초에 기록 이행은 태조 2년 정도전 등이 <고려사>를 편찬할 때 태조가 우왕과 창왕을 죽였다는 고려시대의 사초를 그대로 넣었다는 무서(誣書) 사건으로 탄핵을 받아 장 1백대에 가산을 적몰당하고 경상도 울진으로 유배되었다. 이듬해 10월 태조 탄신일이라고 하여 풀려났다. 이 사초사건은 태종 14년(1414) 5월 <고려사>를 개수 할 때 또 불거졌다. 이응이 말하기를 , 신이 듣건대, 태조 때에 정도전ㆍ정총ㆍ윤소종이 고려의 실록을 수찬하자 여러 사관이 모두 사초를 고쳐서 바쳤으나, 오로지 이행만은 그렇게 하지 않았기 때문에 감옥에 갇히는 것을 면치 못하였습니다라고 하였다. 그의 강직함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기도 하지만, 또 한편으로 조선이 이런 기록을 실록에 남겼다는 것도 대단한 일이다. 이 일은 세종대에 또 한번 언급되는데, 세종이 사관이 죽으면 바로 사초를 거둬들이려 하자 사관들이 이렇게 되면 나라 백성이 이행을 거울삼아 반드시 직필하지 아니할 것이다.라고 반대하여 세종이 뜻을 거두었다. △ 전라감사와 전주부윤 역임 이행은 태종 3년(1403) 1월에 전라감사로 부임하여 그 다음 해 4월경에 이임하여 1년 3개월 정도 재임하였다. 전라감사 재임시 전주, 여산, 익산 등 14개 고을의 가뭄이 극심해 콩도 심지 못할 정도였다. 또한 조선초 빈발하였던 왜구의 침입과 약탈이 이때 더욱 심해 그로 인한 피해도 컸다. 태종 4년 1월에 경상감사 남재와 함께 병으로 사직하였는데 이런 사태와 관련이 있을 것 같다. 그는 또 태종 13년 4월에 전주부윤에도 임용되었다. △ 여언(餘言) 이행은 또 차에도 조예가 깊었다. 성현이 찬한 『용재총화』에 보면 그는 성현의 선조 성석인과 친했다. 이행은 물맛을 분간할 수 있었는데, 충주(忠州) 달천수(達川水)를 제1로 삼고, 금강산에서 나와 한강 가운데로 흐르는 우중수(牛重水)를 제2로 삼고, 속리산의 삼타수(三陀水)를 제3으로 삼았다. 그는 또 태종 17년(1417) <농상집요> 에서 양잠방(養蠶方)을 뽑아내어 판각해, 양잠업의 발전에도 기여하였다. 세종 14년 81세로 졸였다. 시호는 문절(文節)이다. 문집으로 1872년에 편찬한 『기우집』이 전한다. 장자 이척은 제학(提學)을 지냈다. 이행은 장자가 죽어 말년에 차자 이적(李迹)의 집에서 기거하였는데 그의 사후에 이적과 장손 이자(李孜), 서자 몽가(蒙哥) 간에 재산분배를 놓고 불화가 일었다. 이자는 양녕대군의 사위이고 이자의 외조카가 한명회이다. 이행의 장자 계열은 세종대 훈척세력으로 자리하여 성종대 망족(望族)이라고 이를 만큼 성장하였다. /이동희(예원예술대학교 교수. 전 전주역사박물관장)

  • 문화일반
  • 기고
  • 2021.02.01 18:07

[전라감사 100인 열전] 부자간에 전라감사를 지낸 함부림과 함우치

함부림과 함우치는 부자지간으로 아버지 함부림은 정종 2년에, 아들 함우치는 세조 7년에 전라감사로 부임하였다. 함부림은 신흥세력으로 이성계를 왕으로 추대하여 개국공신 3등에 책봉되었으며, 8도 감사를 두루 역임하고 형조판서에 올랐다. 형조의랑으로 삼척에 파견되어 왕씨일족을 제거하였고, 1차 왕자의 난 때 방석을 세자로 옹위했다는 혐의를 받고 파직되었다. 함우치는 성종 즉위후 좌리공신 4등에 책봉되었으며 형조판서에 올랐다. △ 개국공신에 책봉, 왕씨 일족 제거 함부림(咸傅霖)은 고려말 공민왕 9년(1360)에 태어나 조선초 태종 10년(1410)]에 졸하였다. 그의 본관은 강릉이며, 자(字)는 윤물(潤物), 호는 난계(蘭溪), 시호는 정평(定平)이다. 그의 아버지는 검교중추원학사 승경(承慶)이다. 함부림의 동생 부열(傅說)은 조선건국에 반대하였으며 공양왕 묘소 아래에 묻혔다. 함부림 출생에 관해 개국 공신인 정도전, 조영규, 하륜 등과 함께 차씨 집안 서녀(庶女)의 자손들이고, 이런 출생을 감추기 위해 하륜 등이 차원부와 그 일족 70여명을 죽이고 해주 신광사에 보관되어 있는 차씨족보목판을 불태웠다고 한다. 그런가 하면 이것이 차씨들에 의해 조작된 것이라는 반론도 있다. 함부림은 고려말 우왕 11년(1385) 문과에 급제하여 예문검열(藝文檢閱)에 등용되었다. 고려말 무신들이 궁내의 세력을 믿고 문신들을 멸시하였는데, 함부림은 조금도 굽히지 않고 무신들과 맞서다가 파직되었다. 공양왕 4년(1392) 태조를 추대하는 모의에 참여하여 예조의랑(議郞)에 발탁되고, 개성소윤으로서 개국 공신 3등에 책봉되었다. 태조 3년(1394) 4월 왕씨 일족을 제거하기 위해 관원들을 삼척, 강화, 거제도에 보낼 때 함부림은 형조의랑으로 삼척에 파견되어 이 일을 주도하였다. 고려의 마지막 왕 공양왕은 삼척으로 배소를 옮겼다가 이 때 두 아들과 함께 죽임을 당했다. 공양왕의 묘소는 고양에 있지만 삼척에도 있다. △ 전라감사로 부임하여 선정을 베품 함부림은 정종 2년(1400) 1월 24일에 전라감사로 부임하여 다음해 태종 1년 3월까지 재임하였다. 재임기간이 1년 2개월 정도 된다. 태종 1년 1월에 다시 안렴사제로 돌아가 조휴(趙休)가 전라도안렴사로 제수되었으나 부임은 3월에 하였다. 전라감사 재임 중에 그는 <석전의식(釋奠儀式)>간행을 추진하여 후임인 조휴와 전주판관 허조(許稠)에 의해 간행을 보게 되었다. 권근의 『양촌집』에 <석전의식>의 발문이 전한다. <용재총화>, <연려실기술> 등에 전라감사 때 기생과 얽혔던 일화가 전한다. 그가 젊었을 때에 화류계에서 방랑하였으나, 직무에 임해서는 신중하였고 일을 잘 처리하였으며, 전라감사로 선정을 베풀어 소문이 자자하였다. 전주기생을 사랑하여 한양으로 올라가면서 호패를 주고 몰래 따라오라고 하였다. 기생이 전주부윤 이언에게 이를 고하고 하직인사를 올리니 이언이 함부림을 절조 있는 선비로 여겼는데 하품의 인물이라고 욕하였다. 당시 사람들이 모두 함부림의 솔직함을 좋아하고 이언의 빡빡함을 비웃었다. <태종실록>에 실려 있는 그의 졸기에 전라감사로서 치적을 엿볼 수 있는 대목이 있다. 그의 성품을 논하면서, 함부림은 강직하여 지키는 바가 있고, 조정에 서서 과감하게 말하고 업무 처리에 민첩하여, 이르는 곳마다 직책을 잘 수행하였다. 경기, 충청, 전라, 황해 도관찰출척사와 동북면 도순문찰리사를 역임하였는데, 청렴결백한 것으로 자임하여 감사의 위엄을 떨치고, 일찍이 굽히거나 흔들리지 않으니, 부내(部內)가 두려워하고 복종하였다.라고 하였다. 18세기 이덕무의 『청장관전서』에 보면 8도의 감사를 모두 지낸 사람은 함부림과 반석평(潘碩枰) 두 사람뿐이라고 하였다. △ 방석을 세자로 옹립했다는 혐의로 파직 태종 2년(1402) 도관찰사제가 복구되면서 충청도 관찰사에 임명되었다. 태종 3년(1403) 예문관 제학에 임명되고, 이어 참지의정부사에 제수되어 명성군(溟城君)에서 동원군(東原君)으로 개봉(改封)되었다. 함부림은 태종 5년(1405) 대사헌으로 있을 때, 앞서 제1차 왕자의 난 때, 정도전과 더불어 왕자 방석을 옹립하였다는 혐의로 탄핵을 받고 파직되었다. 태종 10년 형조판서에 임용되었으나 곧바로 파직되어, 그해 51세로 죽었다. 그는 태종 10년에 정몽주의 행장을 지었다. △ 쓸쓸했던 말년 그의 말년은 쓸쓸했다. 함공이 만년에 병이 잦았다. 4남 1녀로 딸 하나가 있었는데 딸이 먼저 죽었다. 이때에 술과 여자를 멀리하여 첩도 두지 않았다. 아들들은 외방에 나가고 집안에 돌봐줄 사람이 없자 식사의 공궤를 거르는 일이 여러 번 있기에 이르렀다. 전에 친하였던 여의(女醫)가 이 소문을 듣고 찾아가 보니 공이 남루한 옷을 입고 초석(草席)에 길게 누워 있는데 다만 하인 한사람만이 곁에 모시고 있을 뿐이었다. 여의가 말하기를 어르신 같은 호걸이 어찌 이와 같이 곤궁하게 되었습니까하니 공이 한 마디 말도 없이 똑바로 쳐다보면서 눈물을 흘릴 뿐이었다. <용재총화>와 <연려실기술>에 전하는 일화이다. 그의 묘소는 서울시 강동구 고덕중학교 운동장 부근에 있다가 고덕지구 택지 조성사업으로 1982년 이천시 호법면 안평리 산 105번지로 옮겼다. 여기에는 그의 부조묘도 있다. 함부림은 김제시 진봉면 두곡서원에 정몽주, 강원기와 함께 배향되었는데, 1970년에 서원을 복설하면서 배향에서 빠졌다. △ 그의 아들 함우치 함우치(咸禹治, 1408~1479)의 자는 문명(文命), 호는 송담(松潭)이다. 문음으로 벼슬에 나와 고부군수, 나주목사, 동부승지, 함길도감사, 대사헌, 충청감사 등을 역임하였다. 이후 세조 7년 7월 9일에 전라감사에 부임하였으며 이듬해 5월 15일 대사헌이 되어 상경하였다. 부자간에 전라감사를 지낸 사례 중의 하나이다. 전라감사 재임시 중국에서 귀환한 사람들을 전라도로 보내어 거주하게 하였는데, 이들 중국인들에게 생활의 방편을 마련해 주고, 혼인을 시켜 주는 등 잘 돌보아 주었다. 전라감사 역임후 대사헌, 경상감사, 형조참판을 지내고 성종 즉위후 형조판서에 올랐으며 좌리공신 4등에 책봉되어 참찬으로 전보되었다. 시호는 평양(平襄)이다.

  • 문화일반
  • 기고
  • 2021.01.11 16:45

[전라감사 100인 열전] 전주출신 전라감사 이백유

△전주 마전출신의 신진사대부 이백유는 고려말 조선초의 문신으로 공민왕 1년(1352)에 태어나 정종 1년(1399) 48세로 졸하였다. 그는 본향도 전주이고 살기도 전주에 살았다. 전주이씨는 전주최씨, 전주유씨와 함께 전주를 대표하는 3대성씨이다. 전주이씨라고 하면 조선을 창업한 태조 이성계를 떠올리지만, 이백유 집안은 그의 증조부 이문정을 대표로 하는 가문으로 조선왕실과는 다른 가계이다. 이백유 집안은 전주 효자동 마전(馬田, 마랏)에서 대대로 세거하여 세칭 마랏(말안)이씨라고 한다. 마전이라는 지명은 지세가 달리는 말이 밭에 내리는 형국이라고 하여 붙여졌다. 이백유가 개국공신이 되어 전라감사로 오자 많은 사람들이 찾아와 삼밭[麻田]이 마소 매는 밭으로 바뀌어 마전(馬田)이 되었다는 얘기도 있다. 지금의 문학로(文學路)라는 도로명은 그 집안에서 세운 정자 문학대에서 따온 것이다. 이백유의 초명은 재(才)ㆍ자유(子愉)이다. 그의 조부는 정당문학 이문정(李文挺)으로 고려말 과거에 급제하여 벼슬에 나갔으며 마랏이씨의 중시조로 받들어지고 있다. 아버지는 검교중추부사 이몽(李蒙)이고, 어머니는 전주최씨로 고려말 문과에 장원급제하고 직제학을 지낸 최용갑(崔用甲)의 딸이다. 부인은 해주 오씨 군수 오사운(吳士雲)의 딸과 파평 윤씨 진사 윤승열(尹承烈)의 딸이다. 마랏이씨의 유적으로 이문정이 낙향하여 건립하였다는 문학대가 있고, 이문정ㆍ이백유ㆍ이경동ㆍ이목 등을 모신 황강서원이 있다. 황강(黃崗)은 이문정의 호이다. 문학대와 황강서원은 도문화재로지정되어 있다. 이백유를 모신 부조묘 양후사(良厚祠)가 그 중심적 위치에 있다. 문학대는 완산동 곤지산 아래에 있다가 마전마을로 옮겼으며, 신도심이 개발되면서 황강서원 뒤 현재의 자리로 이전하였다. △조선 개국공신 책봉과 전라감사 임용 이백유는 이색의 문인으로 공민왕 20년(1371) 문과에 급제하여 공양왕 2년 우상시(右常侍)를 지내고 예조판서에 올랐다. 1392년 7월 배극렴, 남은 등과 함께 태조 이성계의 집으로 찾아가 그를 왕으로 추대하였다. 조선 건국후 개국공신 3등에 책봉되어 완성부원군(完城府院君, 완산군)에 봉해졌다. 그가 전라감사로 부임한 것은 44살 때인 태조 4년(1395) 2월 26일이다. 『호남도선생안』에 을해년 2월 26일 하계(下界)로 기록되어 있다. 하계는 전라도로 들어왔다는 것이다. 전라감사 이임에 대해서는 같은 해 8월 30일 한성윤으로 상경했다고 기록되어 있다. 6개월간 전라감사로 재임하다가 한성윤이 되어 한양으로 올라간 것이다 <태조실록>에 보면, 그가 전라감사 재임 때 황군서(황희의 부)가 도안문사로 제주에 다녀와 암말이 줄어드는 폐단을 아뢰어 마른 말고기 진상을 그만두게 한 일이 있다. 또 왜구에 항거한 완산의 절부 임씨 정문을 세운 일도 있었다. 상피제로 인해 출신지역의 지방관으로 임용될 수 없는데 이백유는 전라도출신으로 전라도관찰사에 임용되었다. 조선왕조 5백년간 전라도 출신 전라감사는 12명에 불과하다. △전라도출신 개국공신들의 혼맥 이백유는 태조 7년 8월 1차 왕자의 난 때 정도전 일파로 지목되어 외방에 부처되었다가 풀려나 이듬해 정종 원년 고향인 전주에서 세상을 떠났다. 향년 48세의 짧은 생애였다. 후에 양후(良厚)라는 시호가 내렸다. 조선건국후 정국에서 주목되는 것은 이백유 만이 아니라 전라도출신 개국공신세력들이 1차 왕자의난 때 대부분 축출되었다는 것이다. 전라도출신 개국공신을 꼽으라면 이백유, 심효생, 오몽을 등을 꼽을 수 있고, 장지화와 정용수도 전라도출신으로 추정된다. 심효생은 세자 방석의 장인으로 본향은 순천이지만 그 선대에 전주로 이주하였다. <씨족원류>를 통해 이들의 혼맥을 보면 전주최씨 최용갑을 중심으로 연결되어 있다. 최용갑은 전주최씨 최아의 아들로 고려 충숙왕 때 문과에 장원급제하고 직제학에 올랐으며 그 부인은 우주황씨 황공로의 딸이다. 이백유의 외조부가 최용갑이며, 고모부는 전주유씨의 시조 유습의 아들 유극강이다. 심효생은 유습의 사위이며 최용갑의 처이질(아내 자매의 아들)이다. 오몽을은 최용갑의 조카사위이다. 개국원종공신에 책봉된 우주황씨 황거중은 최용갑의 처조카이다. 이백유는 또 개국공신 조견과 동서지간으로 조견의 친형이 조선창업의 핵심인물 조준이다. △전라도출신 개국공신들의 실각 이렇게 전라도출신 개국공신들이 혼맥으로 연결되었고, 이들은 또 전주의 대표적 사족 이씨, 최씨, 유씨 등과 중첩되는 혼인관계를 맺고 있다. 우주황씨 세력도 주목된다. 이들 전라도출신 개국공신들이 1차 왕자의 난 때 대부분 축출되었다. 방석의 장인 심효생과 인친 장지화, 오몽을 등이 죽임을 당하였으며, 이백유는 유배되었다가 이듬해 죽었다. 정용수는 왕자의 난은 피했으나 태조의 측근으로 조사의난에 연루되어 유배되었다. 이러한 전라도출신 개국공신세력의 실각은 전라도의 운명을 가름하였던 것이 아닌가 한다. 조선건국에 전라도세력이 참여하지 않았던 것이 아니라, 전주의 토착세력들이 혼맥으로 연계되어 조선창업에 적극 참여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런 상황은 심효생의 사위 방석이 세자로 책봉되는 데까지 이르렀다. 그러나 정도전세력이 실각하고 방석이 죽임을 당하면서 전라도출신 개국공신세력들은 대대적으로 숙청되었다. 전주와 전라도가 조선왕실의 고향이면서도 조선초 중앙정계에 두각을 나타내지 못한 것은 이런 권력재편 과정에서 밀려난 데 기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다가 성종대이후 사림들이 중용되면서 호남사림들이 중앙에 적극 진출하여 선조대 정국의 주도적 위치에 올랐던 것 같다. /이동희(전주역사박물관 관장)

  • 문화일반
  • 기고
  • 2020.12.14 17:54

[전라감사 100인 열전] 개국 1등공신 조박

조박은 태조 3년(1394) 4월에 전라감사로 부임하여 태조 4년(1395) 2월에 파직되었다. 그는 조선건국후 개국 1등공신에 책봉되어 1차 왕자의 난 때 세자 방석을 죽인 주모자로, 2차 왕자의 난을 진압하고 태종을 왕위에 올리는데 공헌하여 정사공신 1등, 좌명공신 4등에 연이어 봉해졌다. 그러나 정종의 편에 섰다가 태종대 공신호를 박탈당하고 세종대 그 손자가 과거시험에도 응시하지 못하는 지경에 처했다. 조박과 태종은 동서지간이다. △권문세족의 후예로 태종과 동서지간 조박(趙璞, 1356~1408)의 본관은 평양, 자는 안석(安石), 호는 우정(雨亭)이다. 고려후기 권문세족의 후예로 문하시중 조인규의 4세손이며, 아버지는 전의령(典儀令) 조사겸이다. 그의 고조부 조인규는 몽고어 통역관으로 출세해 최고의 수상 자리까지 오르고 충선왕의 장인이 되었다. 그 가문은 본래 미천했으나 조인규 당대에 권문세가의 반열에 올라 왕실과 혼인할 수 있는 재상지종(宰相之宗) 15개 가문에 들었다. 조인규의 아들 조서, 조련, 조연수(조후), 조위 등도 모두 재상에 올라 가문을 번성하게 하였다. 조박은 조연수의 손자이다. 조박의 장인은 여흥부원군 민제로, 조박과 태종은 동서간이다. 민제의 첫째딸이 조박의 부인이고, 둘째 딸이 태종비 원경왕후이다. 조박의 졸기에, 태종이 잠저에 있을 때 가장 친하고 오랜 사이었다고 하였다. 그런가 하면 조박의 아들 조신언(趙愼言)은 2차 왕자의 난을 일으킨 회안대군 이방간의 사위이다. △개국ㆍ정사ㆍ좌명 3공신에 책봉 조박은 고려말 우왕 8년 문과에 급제하였다. 역성혁명파로 정몽주에 의해 청주목사로 ㅤ겨 났다가 조선이 건국되면서 예조전서로 개국공신 1등에 책봉되었다. 태조 7년 1차 왕자의 난때 조박은 이거이, 이백경(이저) 등과 함께 사람을 시켜 세자 방석을 살해하였다. 당시 방석이 태조와 함께 있다가 하직인사를 올리는데 실록에 다음과 같이 묘사되어 있다. 방석이 울면서 하직하니, 현빈(賢嬪, 방석의 비)이 옷자락을 당기면서 통곡하므로, 방석이 옷을 떨치고서 나왔다. 조박은 1차 왕자의 난 때 정도전 세력을 제압한 공으로 정사 1등공신에 책봉되었다. 정도전의 『삼봉집』에 보면 과거시험 보러가는 조박을 위해 쓴 조생의 부거를 전송하는 서(送趙生赴擧序)라는 글이 있다. 고려말에 둘은 꽤나 가까웠던 사이였다. 태종 즉위 후 조박은 태종을 옹립한 공으로 좌명 4등공신에 책봉되었다. 조박은 문신으로 조선개국후 3공신에 모두 봉해진 유일한 인물이다. 조선초 3공신에 모두 책봉된 인물은 조박을 비롯해 이화ㆍ이지란ㆍ조온 등 4인뿐인데 조박을 제외한 다른 3인은 무신이다. △정종의 편에 서 태종과 갈등 그는 몇차례 유배를 갔다. 방석과 방번이 살해되던 날 이거이는 방번의 기생첩 중천금을 취하고, 그 아들 이백경(이전)은 방석의 시첩 기생 작은효도를 취하고, 조박은 방석의 시첩 기생 효양을 취하였다. 이저는 태조의 부마이다. 정종 원년 조박이 대사헌이 되어 이저를 아버지 이거이가 관계한 여자를 취하여 천상(天常)을 어지럽혔다고 공격하려다가 누설되어 노모가 사는 이천으로 유배되었다. 정종 2년에는 조준을 탄핵하다가 또 이천으로 유배되었다. 태종 7년에는 왕세자를 명나라 황실의 딸과 혼인시키려는 논의에 참여했다가 양주로 유배되었다. 조박은 태종 8년(1408) 호조판서를 지내고 동북면도체찰사가 되었다가 53세의 나이로 죽었다. 그가 죽은 이듬해에 족매(族妹)인 유씨 소생 불노(佛奴)를 정종의 원자로 삼으려 했던 것이 불거져 공신녹권이 추탈되고, 그 자손은 벼슬에 나갈 수 없는 금고(禁錮)에 처해졌다. 세종 4년에는 그의 공신녹권이 소각되었다. 불로를 원자로 칭하는 것은 곧 왕위를 정종의 아들로 잇겠다는 포석이다. 조박은 정종의 편에 서 있었다. 태종이 정종에게 청하여 송도로 천도하게 한 것이 조박이라고 한 말도 이런 사실을 담은 것이다. 조박은 1차 왕자의 난까지 태종과 뜻을 같이 하였으나 정종 즉위후 태종과 갈등관계에 놓였다. 이로 인해 조박의 자손들도 벼슬에 나아가지 못하였다. 세종대에 손자 조묵이 과거에 응시하고자 하였으나 불허되었으며, 문종대에 증손 조영달과 조흥종 등이 갑사(甲士)의 취재에 나가게 해줄 것을 청하였으나 이 또한 불허되었다. 조박은 조선초 3공신에 모두 책봉된 인물이었지만 정종의 편에 서면서 그 후손들까지 벼슬길이 막혀 버렸다. △전라감사로서 치적과 그에 대한 평 조박은 개국공신으로서 태조 3년 4월에 전라감사로 부임하여 10개월을 재임하다가 이듬해 2월 농사철이라는 이유로 군사 점고에 응하지 않았다가 파직되어 공주에 안치되었다. 전라감사 재임 당시의 일로는 태조실록에, 전함을 만들어 왜구를 막은 판개성부사 정지의 집을 정표(旌表)한 것만 전한다. 태종실록, 그의 졸기에 재주가 탁이(卓異)하여 여러 사람에 뛰어났다.고 하고, 일찍이 양광도를 안무(按廉)하고, 전라도와 경상도를 관찰(觀察)하고, 서북면을 순문(巡問)하였는데, 처결하는 것이 물 흐르듯이 하여 조금도 의심되지 않으니, 부내(部內)가 이를 칭찬하였다라고 하였다. 조선초의 대학자 권근은 「평원군 조공 박의 시권(詩卷)의 발」에서 조박을 다음과 같이 평하였다. 옛날에 내가 처음 급제하여 벼슬할 때에 관동(冠童) 6~7명이 와서 글을 배웠는데, 지금 평원군 조공 안석이 가장 연소하고 명민하였으나, 세가(世家)의 자제임을 자부하지 않았다. 그는 아무리 심한 비가 내려도 맨발을 꺼리지 않고 오므로 내가 몹시 애중하였다. 사사로이 시험을 보일 때에도 그 문장이 화려하고 내용이 생동하여 볼 만하므로, 나는 매양 평점(評點)을 더하여 권장하였다. 이 글은 『양촌집』에 실려 있다. /이동희(전주역사박물관 관장)

  • 문화일반
  • 기고
  • 2020.11.23 17:43

[전라감사 100인 열전] 조선건국후 첫 전라감사 안경공

1388년에 신설된 도관찰출척사제는 조선건국 직전인 1392년 공양왕 4년 4월에 다시 안렴사제로 돌아갔다. 그러면서 이원이 전라도안렴사로 부임하여 조선건국직후까지 재임하였으며, 이어 김희선이 조선건국후 전라도안렴사로 처음 부임하였다. 태조 2년에 도관찰출척사제가 회복되어 조선건국후 첫 번째 전라도관찰사로 부임한 인물이 안경공이다. △전라도안렴사 이원과 김희선 이원(李原)은 어려서 매부인 권근에 배웠으며 정몽주에게서도 배웠다. 17세 어린 나이로 문과에 급제하여 조선건국 직전인 공양왕 4년 5월에 25세의 젊은 나이로 전라도안렴사에 임용되었다. 그해 7월에 태조 이성계가 즉위하였으나 각 지방의 수령들은 그대로 근무하라는 명이 내려 이원도 10월까지 재임하였다. 2차 왕자의 난 때 이방원을 도와 좌명공신 4등에 책봉되었으며, 태종 17년 이조판서를 거쳐 우의정에 올랐으며 세종 3년 좌의정에 임용되었다. 세종 8년 많은 노비를 불법으로 차지했다는 혐의와 함께 부자 상인 내은달(內隱達)의 딸을 첩으로 들이려고 홍여방과 다투다가 발각 되어 여산으로 유배되었다가 배소에서 죽었다. 김희선(金希善)은 조선건국후 처음 임용된 인물로 가선대부 형조전서로 전라도안렴사를 겸하여 태조 원년(1392) 10월에 부임하였다. 문신으로 의학을 집대성하여 조선초 의학계에 큰 족적을 남겼다. 전라도안렴사로 있으면서 태조 2년 도평의사사에 청하여, 각도에 의학교수를 보내어 계수관마다 하나의 의원을 설치하게 하였다. 태조 6년 제생원 설치 일을 맡았고, 정종 원년에 <향약제생집성방(鄕藥濟生集成方)>을 완성하여 강원도관찰사 재임시 출간하였다. 이 의약서는 총 30권으로 일부가 지금까지 전해져 보물로 지정되어 있다. 대사헌. 경상도관찰사, 형조ㆍ호조 판서 등을 역임하였다. △조선건국 후 첫 번째 전라감사 안경공(安景恭, 1347~1421)은 태조 2년 안렴사를 혁파하고 다시 도관찰출척사를 설치함에 따라 조선건국 후 전라도관찰사로 처음 임용된 인물이다. 그는 태조 2년(1393) 10월에 전라감사로 부임하였으며, 이듬해 3월 부친상을 당해 이임하였다. 본관은 순흥. 자는 손보(遜甫). 조부는 문정공 안축, 아버지는 문간공 안종원이다. 할아버지 안축은 성리학을 들여온 안향과 3종(8촌)간으로 문과에 급제한 후 원나라 과거에도 급제하였고, 벼슬이 첨의찬성사에 올랐으며, 안향과 함께 소수서원 배향되었다. 아버지 안종원도 문과급제자이며 강릉부사 때 은덕을 베풀어 부민들이 생사당(生祠堂)을 지어 모셨다. 안종원의 네아들 중온, 경량, 경공, 경검 등도 모두 문과에 급제하였다. 그의 집안은 고려말 신흥명문가로 전라도와 인연이 깊다. 아버지 안종원이 전주사록과 남원부사를 지낸 것을 비롯해 아우 안경검은 우왕대에 전라도안렴사를 지냈으며, 손자 안숭효는 조선 건국 후 세조대에 전라감사를 역임하였다. △승지로 조선건국에 참여한 개국공신 안경공은 고려말에 문과에 급제한후 경상도안렴사를 지내고, 전법판서로 있으면서 윤이이초 옥사에 연루된 사람들을 두둔한 정몽주를 탄핵하였다가 오히려 좌천되었다. 이듬해 1392년 조선건국 한달 전쯤인 6월 19일에 좌승지에 제수되어 태조 이성계를 추대하고 개국공신 3등에 책봉되었다. 태조가 7월 17일 즉위하고 28일 즉위교서를 반포하는데, 당시 안경공이 도승지로서 이 교서를 읽었다. 조선건국후 좌승지에서 도승지로 승진된 것이 아닌가 한다. 승정원 도승지는 지금의 청와대 비서실장과 같은 자리이다. 그 도승지 아래가 좌승지이다. 그가 고려말 국왕의 근신으로서 태조를 추대하고 공신에 책봉되었다는 것은 내밀한 곳에서 조선 창업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였을 것임을 짐작하게 한다. 조선건국직후부터 이듬해 2월 대사헌으로 옮길 때까지 도승지를 역임하였다는 것도 주목된다. 그는 태조 2년 대사헌을 지내고 전라감사에 임용되었다. <태조실록> 3년 3월조에 그가 전라감사로서 수군첨절제사 김빈길 등이 왜선 3척을 섬멸하였다고 보고한 것으로 보아 조선초 전라도에 왜구출몰이 여전했던 것으로 보인다. 전라감사 시절 행적은 <세종실록> 세종 3년 그의 졸기에, 일찍이 경상전라황해도의 안찰사가 되어 너그럽고 간명(簡明)하여 까다롭게 굴지 아니하였다라고 평해 놓고 있다. 태종 6년 판한성부사(현 서울시장) 등을 지냈다. △정도전 등의 감형을 청하다 태종 11년 8월 안경공은 정탁ㆍ유창ㆍ조견ㆍ한상경ㆍ조온 등 개국 공신들과 더불어 1차 왕자의 난 때 주살된 정도전ㆍ남은의 죄를 감해 줄 것을 청하였다, 만일 이 무리가 없었다면 태조가 누구와 더불어 개국하였겠습니까?라고 하였다. 이 일로 인해 안경공 등 개국공신 일행은 대간의 탄핵을 받았다. 다음 달 9월에 태종이 탄핵 받은 공신들을 직사에 나오라고 명하여 풀렸으나, 이후 태종 16년에 대제학에 특별 임용된 것 말고는 이렇다 할 벼슬을 하지 못하였다. 안경공은 태조의 측근이었지 태종과는 거리가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태종대에 1차 왕자의 난 때 주살된 정도전 등의 죄를 감해달라는 개국공신들의 요청이 있었다는 것이 놀랍다. 안경공은 이 일로 태종의 미움을 받고 더 이상의 요직에 오르지 못하였던 것 같다. <세종실록> 세종 3년 그의 졸기에, 사람됨이 단정하고 근엄하다라고 하였고, 그의 시호는 양도공(良度公)인데, 이에 대해서도 온순하고 착하고 좋아하고 즐겨하는 것이 양(良)이고, 마음이 능히 의로운 일을 좇는 것이 도(度)이다라고 하였다. / 이동희 전주역사박물관장

  • 문화일반
  • 기고
  • 2020.11.03 17:51

[전라감사 100인 열전] 태종대 2인자 하륜

하륜(河崙, 1347~1416)은 정안대군 이방원을 왕위에 올리고, 새왕조의 기틀을 마련한 태종의 핵심측근이다. 정도전이 조선을 창업하고 건국직후 국정을 끌어간 태조대 2인자이고, 황희가 영의정을 18년간이나 하면서 유교사회를 구축한 세종대 2인자라면, 하륜은 태조와 세종을 잇는 그 중간에서 건국직후의 혼돈을 수습하고 새왕조의 정치체제를 구축한 태종대 2인자이다. 하륜은 『태종실록』에 510번이나 등장한다. △고려말 전라도관찰사 부임 하륜은 고려말 최유경, 노숭, 김사안에 이어 공양왕 3년 9월 22일에 전라도 도관찰출척사로 부임하여 이듬해 4월에 교체되었다. 『고려사』에 그가 전라감사로 있으면서 했던 일이 두 가지 나오는데, 『서경』의 「무일(無逸)」ㆍ「입정(立政)」편을 쓴 족자 2벌을 바친 것과 주문공(朱文公)의 「인자설(仁字說)」을 써서 병풍을 만들어 바친 것이다. 이 둘은 서로 연관되어 있는 일로, 공양왕은 성현들의 귀감이 될 만한 말을 모아 보내니 항상 좌우에 두고 성찰하겠다고 하였다. 하륜이 전라감사로 있으면서 왜 이런 족자와 병풍을 공양왕에게 바쳤는지는 알 수 없다. 다만 공양왕이 선위하고 태조 이성계가 새왕조의 왕위에 오르기 몇 달 전이라는 점에서, 공양왕의 부덕을 탓하는 정치적 함의를 담은 것이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 △가문과 출생비화 하륜(1347~1416)의 본관은 진주, 자는 대림(大臨), 호는 호정(浩亭), 아버지는 순흥부사 윤린(允潾)이다. 그는 당대의 권세가 이인임의 조카사위이다. 그의 장인이 이인임의 동생 이인미이다. 하륜이 과거시험에 합격할 때 시관인 좌주(座主) 이인복이 하륜을 높게 보아 동생 이인미에게 사위로 삼도록 하였다. 하륜은 탁월한 재능으로 권세가 집안의 사위가 된 것이다. 그런데 『차문절공유사(車文節公遺事)』에 하륜이 연안차씨 서녀의 자손이라고 나온다. 문절공은 차원부로 정몽주, 이색 등과 함께 성리학으로 명성이 높았으며, 고려의 수절신 두문동 72현의 하나이다. 이 책에는 또 조선건국세력 정도전, 조영규, 함부림 등도 차씨 집안의 서족(庶族)이라고 하였다. 하륜은 자신의 출생비화를 감추기 위해 태조 7년 자객을 보내 차원부와 그 일족 70여명을 살해하고 해주 신광사에 보관 중인 차씨족보 목판을 모두 불태웠다고 한다. 이런 출생비화가 차씨들에 의해 날조된 것이라는 주장도 있다. △이인임 측근에서 역성혁명세력으로 하륜은 1365년 19살에 문과에 급제했다. 이인임이 실각하면서 그 일족으로 몰려 유배되었다가 위화도회군후 복관되어 1391년 전라도관찰사에 임용되었다. 그는 이색의 문하생으로 동문들인 정몽주, 이숭인, 권근 등과 조선건국에 반대하다가 어느 시점엔가 역성혁명대열에 참여하였다. 하륜은 조선건국에 별다른 공을 세우지 못했으며, 새왕조 창업후에도 정도전과 갈등으로 정권에서 소외되었다. 명나라에서 표전문제로 정도전을 불러들이자 하륜은 정도전을 명으로 보내야 한다고 하여 정도전세력의 반감을 샀다. 하륜은 또 조선건국후 무학대사가 추천한 공주 계룡산 천도를 반대하고 무악(지금의 서울 연희동 일대)을 주창하였으나 중앙에서 멀고 터가 좁다는 반대에 부딪쳤다. 결국 정도전이 추천한 한양이 도읍지가 되었다. △태종을 왕위에 올린 정사ㆍ좌명공신 1등 하륜은 태종 이방원의 사람이 되면서 부각되었다. 『태종실록』 총서에 보면, 그가 이방원의 장인인 민제에게 내가 사람을 상 본 것이 많지마는, 공(公)의 둘째 사위 같은 사람은 없었소. 내가 뵙고자 하니 공은 그 뜻을 말하여 주시오.라고 부탁하여 태종과 인연을 맺었다. 이후 하륜은 정안대군 이방원의 책사이자 최측근으로서 태종이 왕위에 오르는데 결정적 역할을 다하였다. 『태종실록』의 그의 졸기에 보면, 하륜은 정도전일파를 미리 칠 것을 태종에게 건의하고, 1차 왕자의 난 때 충청도 관찰사로서 한양으로 올라와 정도전세력을 제압하는데 공을 세워 정사공신(定社功臣) 1등이 되고 진산군에 봉해졌다. 하륜은 2차 왕자의 난 때 회안대군 방간 세력을 제압하고 태종을 왕위에 오르게 한 공으로 좌명공신(佐命功臣) 1등에 책봉되었다. 그는 건국후 정권을 장악하였던 정도전세력을 제거하고, 이어 정종의 양위를 받아 태종을 왕위에 올린 1등 공신이었다. △새왕조의 기틀을 구축한 태종대 2인자 태종은 공신들을 대대적으로 숙청하고 새왕조의 정치체제를 마련하였다. 태종 5년에 6조의 권한을 강화시켜 재상들에게 집중된 군력을 분산시키고, 14년에 마침내 왕이 국정을 주도하는 육조직계제를 확립하였다. 하륜은 태종을 도와 이런 정치개혁을 단행해 간 주역이었다. 하륜은 정종대에 이미 우정승이 되어 정승반열에 들어섰고, 태종 2년에는 좌정승에 올랐으며, 태종 9년에는 영의정에 올랐다. 하륜은 신문고를 설치하고 종이 화폐 저화(楮貨)를 발행하는데 앞장섰으며, 태종 9년 영춘추관사로서 『태조실록』 편찬을 지휘하였다. 하륜은 태종 16년 나이 70으로 관직에서 물러났다가, 그해 10월 함길도 선왕의 능침을 순심하고 돌아오는 도중 정평(定平)에서 11월 6일 졸하였다. 태종의 묘정에 배향되었으며, 문집으로 『호정집』이 있고,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그의 묘역은 진주에 있다. 『태종실록』, 그의 졸기에서 그를 평하기를 천성적인 자질이 중후하고 온화하고 말수가 적어 평생에 빠른 말과 급한 빛이 없었으나, 관복 차림으로 묘당에 이르러 의심을 결단하고 계책을 정함에는 헐뜯거나 칭송한다고 하여 조금도 그 마음을 움직이지 않았다.고 하였다. 그의 졸기에 아들로 적자 구(久)와 서자 장(長)ㆍ연(延)ㆍ영(永) 등이 나오는데, 17세기에 편찬된 만성보 『씨족원류』에 그 손자 복생( 福生)에 가서 적손이 끊긴 것으로 되어 있다. /이동희 전주역사박물관장

  • 문화일반
  • 기고
  • 2020.10.20 16:02

[전라감사 100인 열전] 고려말 첫 번째 전라도관찰사 최유경

고려는 건국직후 정국의 혼돈으로 성종 2년(983)에 가서야 지방에 12목을 설치하고 지방관을 파견하였다. 이후 고려 지방제는 10도제를 거쳐 5도 양계제로 정립되었다. 5도에는 5,6품의 하위직인 안렴사(안찰사)를 파견하여 군현을 규찰하도록 하였다. 고려시대에 이미 도제가 만들어졌지만, 그것은 도의 영역이 설정된 것으로 지방장관에 의해 일도가 통제되는 행정도제는 아니었다. 오늘날과 같은 행정도제는 고려말에 탄생하였다. 1388년 창왕 즉위년 안렴사를 혁파하고 2품 이상의 대신급 도관찰출척사(都觀察黜陟使)를 신설한 것이 그것이다. 그리고 이런 지방제 개편은 위화도회군 세력에 의한 것이었다. 이성계세력은 1388년, 우왕 14년 5월에 위화도에서 회군하여, 6월에 우왕을 폐위시키고 창왕을 세웠으며, 8월에 도관찰사제로 지방제를 개편하였다. 도관찰사로 개편에는 위화도회군세력이 지방통치의 문란을 바로 잡으면서 토지제 개혁을 성공적으로 완수하려는 목적이 있었다. 『고려사절요』에 보면, 도관찰사 개편후 첫 관찰사들을 임용할 때 토지를 다시 측량하게 하였다고 나온다. 공양왕 3년 과전법을 완성한 후, 이듬해 조선 개국을 몇 개월 앞두고 관찰사제를 폐지하고 안렴사제로 다시 돌아 간 것도 주목된다. △첫 번째 전라도관찰사 최유경, 그 가문 고려말 관찰사제로 개편된후 첫 번째 전라도 도관찰출척사로 부임한 인물이 최유경(崔有慶)이다. 『고려사』에 1388년 8월 최유경을 전라도도관찰출척사로 임용하는 기사가 나오고, 전라감사 명부 『호남도선생안』(1875년 중수)에도 도관찰출척사 최유경 무진 9월 하계(下界) 기사 10월 체(遞)라고 수록되어 있다. 무진년은 1388년이고 기사년은 1389년이다. 8월에 임용되어 9월에 전라도 임지에 부임한 것이다. 최유경(1343~1413)은 전주최씨이다. 최씨는 이씨, 유씨와 함께 전주를 대표하는 성씨이다. 최유경 집안은 이미 전주를 떠났지만 그 뿌리를 전주에 두고 있다. 최유경은 조선초의 관찬사서 『신증동국여지승람』 전주부의 인물편에 실려 있지 않다. 『씨족원류』에 보면, 최유경은 최순작의 후예로 최재(崔宰)의 아들이다. 최재는 『고려사』 열전에 수록될 만큼 대단한 인물로 문과에 급제하고 밀직부사에 올랐으며 완산군에 봉해졌다. 최유경의 어머니는 군부정랑(軍簿正郞) 박윤류(朴允?)의 딸이다. 최유경에게는 사위(士威)ㆍ사의(士儀)ㆍ사규(士規)ㆍ사강(士康)ㆍ사용(士庸)ㆍ사흥(士興) 6아들이 있었다. 최사위는 한성부윤, 최사의는 판돈령부사, 최사규는 사헌부지평, 최사강은 좌찬성, 최사용은 첨지중추부사에 오르는 등 현달하였다. 최사흥은 현감을 지냈다고 하며 효자로 이름이 높아 최유경과 함께 진천군 문백면에 부자 효자문이 세워져 있다. 최유경의 자(字)는 경지(慶之), 호는 죽정(竹亭)이다. 과거를 거치지 않고 음직으로 벼슬에 나왔으며, 1372년(공민왕 21) 판도좌랑에 임명되고, 이후 장령, 전법총랑 등을 지냈다. 양광도안렴사로 부임하여서는 불법적인 토지 점유를 바로잡고, 노비로 전락한 자들의 원래 신분을 회복시켜 주는 등 전민(田民) 변정(辨整)에 힘썼고, 공주목사로 부임해서는 왜구를 격퇴하는 공을 세웠다. 최유경은 당대의 세도가들과 대척점에 서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위화도회군을 우왕에게 알리고도 개국원종공신에 책봉 최유경의 이력에서 특히 주목되는 것은 위화도회군 때의 행적이다. 1388년 5월 위화도 회군 때 그는 서북면 전운사 겸 찰방(西北面轉運使兼察訪)으로 있었다. 그는 이성계 세력이 위화도에서 회군하자 그 사실을 곧바로 우왕에게 달려가 알렸다. 『태조실록』 그의 졸기에 오로지 최유경은 말을 달리어 성주(成州)에 이르러 위주(僞主,우왕)를 뵙고 변란을 고하고 수종(隨從)하여 서울로 돌아왔다.라고 하였다. 그런데 그 다음이 문제다. 그는 회군에 반하였음에도 2개월 후 전라도 관찰사로 임용되었다. 도관찰사는 회군후 지역을 장악하고 토지제 개혁을 해나가야 하는 자리였다. 그가 이성계세력과 연계되지 않고서는 생각하기 힘든 일이다. 최유경은 전라도관찰사를 마치고 동지밀직사사에 임용되었으며, 조선개국후에는 개국원종공신에 책봉되었다. 그는 위화도회군 때 우왕 측에 있었으나 이후 회군세력과 같이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이렇데 된 데에는 태조 이성계의 총애가 작용하였던 것 같다. 최유경은 회군사실을 고변한 일로 역성혁명 세력에게 두고두고 견제되고 배척되었다. 회군 때의 일로, 개국원종공신 책봉을 반대하는 자들이 있었으나 태조가 그 충의를 칭찬하고 반대를 물리쳤다. 태조는 회군 때의 일을 임금을 위한 것이라 하고, 그가 포치(布置)하는 재주가 있다고 하였다. 포치란 사람들을 적절하게 배치하는 것이다. 최유경이 태조의 총애를 받은 데에는 신덕왕후 강씨와의 관계도 있지 않은가 한다. 그는 태종대에 벼슬에서 물러나는데, 『태종실록』에 보면 태종이 대언(승지) 김여지에게 옛날 재신 최유경이 조정에서 말하기를, 제릉(齊陵)은 제사할 것이 없다.고 하였으니, 이것은 간인(奸人)의 꾀임에 빠진 것이다.라고 하였다. 제릉은 태종의 어머니 신의왕후 한씨의 능이다. 최유경은 강씨부인 쪽에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물론 그의 졸기에 태조에게 정릉만 후하게 한다고 아뢰었다는 기사도 있다. 그러나 태종이 그런 말을 하고, 태종대에 최유경이 파직되고 낙향한 것은 곧 그가 강씨쪽 인물이었음을 시사한다. 숭례문 상량묵서. △전주부성 축성 여부와 숭례문 축조 최유경의 전라도 도관찰출척사 재임시 주목되는 것은 전주부성 수축여부이다. 1734년 전주부성을 새로 쌓은 관찰사 조현명이 「풍남문기」에서 전주부성이 위화도 회군 때 축성되었으며 이 일을 관찰사 최유경이 주관하였다고 한다고 기록해 놓았다. 그런데 1767년 대화재로 민가 일천여호와 남문과 서문이 불타서 관찰사 홍낙인이 남문과 서문을 새로 짓고 각각 풍남문, 패서문이라 이름하고는, 「패서문기」에서 전주부성을 언제 처음 쌓았는지 모른다고 하였다. 조현명의 말과 홍낙인의 말이 서로 다른 것이다. 그럼 어떻게 된 것일까? 『고려사』에 보면 우왕 때 전주성이 왜구에 점령되고 불탔다는 기사들이 나온다. 즉 최유경 이전에 이미 전주성은 있었다. 따라서 최유경이 전주성을 새로 쌓은 것은 아니다. 기존의 전주성을 보수 내지 고쳤거나, 아니면 최유경이 후에 한양도성을 축성하고 숭례문을 건립하는 책임자로 역할을 했음으로 전주성을 처음 쌓았다고 잘못 전해진 것이 아닌가 한다. 그는 성리학자이면서 토목에 밝았던 것으로 보인다. 『태조실록』, 태조 5년 기사에 성문 제조(城門提調) 최유경이라고 나온다. 당시는 한양도성을 축성할 때이다. 1962년 숭례문(남대문)을 해체 복원하면서 상량묵서가 발견되었는데, 거기에 1396년, 태조 5년 10월 6일 판사 가정대부 중추원사 최유경 부판사 전가선대부 개성부윤 이지호 (洪武 二十九年 丙子 十月初六日 判事 嘉靖大夫 中樞院使 崔有慶 副判事 前嘉善大夫 開城府尹 李之浩 ) 라고 쓰여 있다. 최유경은 숭례문을 축조한 책임자였다. △조선건국 후 관직과 사신의 평 최유경은 조선건국후 태조대에 경상도도관찰출척사, 중추원사, 경기ㆍ충청도 도체찰사, 경기도 우도 도관찰출척사를 지냈다. 태종대에 참찬의정부사에 올랐으며 명나라에 정조사(正朝使)로 다녀왔다. 태종 3년 사헌부의 수장인 종2품 대사헌에 올랐다가 이듬해 대간의 탄핵을 받고 파직되었다. 곧바로 판한성부사에 임용되었고, 태종 6년 참찬의정부사를 역임하고 관직에서 물러났다. 충북 진천군 초평면 죽정마을로 낙향하여 호를 죽정이라고 하고 말년을 보내다가 71세로 운명하였다. 『태종실록』, 그의 졸기에 시호를 평도(平度)라고 하였으니, 기개가 있어서 용감히 말하고 남에게 굽히거나 아첨함이 없는 것을 이름이다. 두루 중외에 이름을 드날려서 사람들이 청렴 정직하다고 칭찬하였다.라고 하였다. 태종 때 청백리에 녹선(錄選)되었으며, 그의 아들 최사의도 청백리에 녹선 되었다. 묘소는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공세동에 있으며, 충북 청주시 송천서원(松泉書院)에 제향되었다. /이동희 전주역사박물관 관장

  • 문화일반
  • 기고
  • 2020.10.06 16:25

[전라감사 100인 열전] 프롤로그 - 연재를 시작하며

이동희 전주역사박물관 관장 전라감영이 복원되면서 전주와 전북의 역사적 위상이 새롭게 조명되고 있다. 본보는 전라감영 복원을 계기로 전라감영을 이끌었던 전라도 관찰사들의 활동상을 들여다보는 기획을 마련했다. 원고 집필은 전주 역사를 꿰뚫고 있는 이동희 전주역사박물관장이 맡았다. 이동희 관장은 2005년부터 전주역사박물관장으로 재직하면서 박물관 차원의 전라도천년사 연구에 열정을 쏟아왔다. 이 관장은 전라감사 100인 열전을 통해 전라감사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전라도지역사와 민족사를 풀어 볼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이 기획은 격주로 연재된다. △전라감영의 복원 복원된 감영 건물은 전라감사 집무처 선화당을 비롯하여 감사의 제2정청이라고 할 수 있는 관풍각, 감사의 처소 연신당, 감사 가족의 살림집 내아, 선화당으로 들어가는 내삼문, 행랑채 등이다. 앞으로 감영의 서편 영역과, 남쪽편 영역까지 단계적으로 순조롭게 복원되어 전라감영의 온전한 모습을 갖추어 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 전라감영은 전주와 전북의 정체성이라고 할 수 있다. 전주는 통일신라 때 행정의 중심지로서 주(州)가 설치된 이래 고려시대와 조선시대를 거쳐 지금에 이르기까지 전라도 내지 전북의 중심 거점도시로서 위상을 이어오고 있으며, 그 중심에 전라감영이 있다. 전라감영은 문화관광시설로서만이 아니라 그 대단했던 감영의 역사를 오늘에 되살려 전주와 전북 사람들의 자존감을 높이고 지역을 끌어가는 보다 크고 근본적인 것이다. △전라감영의 설치 지방장관격인 관찰사가 임용되어 일도를 통괄하는 감사제가 마련된 것은 고려말이다. 1388년, 창왕 즉위년에 위화도회군세력이 정치권력을 장악하고 지방제를 정비하면서 안찰사를 혁파하고 도관찰출척사를 신설하여 일도를 통괄하게 하였다. 이러한 고려말의 도관찰사제가 조선건국후 감영제로 이어졌다. 고려의 안찰사는 5,6품의 하위직으로 6개월을 임기로 일도를 순력하며 군현 수령들을 규찰하는 봉명사신격의 관리였다. 고려시대에 도제(道制)가 마련되었지만 지방장관이 임용되어 일도를 통괄하는 행정도제는 아니었다. 행정도제로서의 도(道)는 고려말 대신급의 도관찰출척사가 신설된 것에서 비롯되어 조선건국후 새왕조의 지방제로 확립되었다. 전라감영은 처음부터 전주에 설치되었다. 그것도 고려조 전라도안찰사영이 전라감영으로 이어졌다는 점에서 역사성이 더 깊다. 고려시대 안찰사의 역할이 확대되면서 군현을 순력하다가 머무는 본영 안찰사영이 설치되는데, 전라도안찰사영은 전주에 설치되었다. 전라감영은 조선건국후 그대로 전주에 설치되어 임진왜란후에도 경상감영, 충청감영과 달리 다른 군현으로 이전되지 않고 전주에 있었다. △전라감영의 관아시설 전라감영 관아건물들이 건립되는 것은 조선후기의 일이다. 선화당도 선조대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조선건국후의 감영운영은 고려 안찰사에 이어 도관찰사가 감영에 머물지 않고 군현을 순행하면서 도정을 처결하는 행영제(行營制)였다. 따라서 별도의 감영시설이 필요 없었다. 임진왜란을 거쳐 17세기에 감사가 감영에 머물며 도정을 처리하는 유영제(留營制)로 개편되면서 관아건물들이 들어서게 되었다. 이번에 복원된 연신당도, 내아도 마찬가지이다. 감사가 머물게 되면서 가족을 데려올 수 있게 되어 내아가 필요했고, 감사의 처소 연신당도 필요했다. 대형 병풍형지도 「전주부지도」와 「완산부지도」에 나타난 전라감영의 모습은 모두 조선후기 유영제하의 전라감영이다. 유영제 하에서 전라감영 동편에 선화당을 비롯한 전라감사 영역이 자리했고, 지금 평지로 남아 있는 서편에 감사의 도정을 보필하는 아전들의 관서 영리청을 비롯한 실무관서들이 자리했다. 대사습놀이의 주역 통인청도 전라감사 영역 서쪽 가까이에 있다. 남쪽편 현 완산경찰서 자리에 감사의 군사권을 보좌하는 중군의 집무처 주필당을 비롯한 군사시설과 감영사무를 담당하는 아전들이 집무처 작청 등이 자리했다. 전라감영의 특색으로 논해지는 문화시설인 종이를 관리하는 지소, 책 출간을 관장하는 인출방, 약재를 관리하는 감사의 보좌관 심약의 집무처 심약당 등은 서편에 있었다. 남쪽편의 서쪽으로는 부채를 만드는 선자청이 자리했다. 전라감영의 서편과 남쪽편이 복원되어야 하는 이유이다. 전체부지를 복원하는 것이고 모든 건물을 복원하는 것은 아니다. △전라감사와 감영 조직 전라감사는 종2품의 문관직이다. 정3품의 통정대부가 부임한 경우도 많고, 또 문관이 아닌 무관이나 음관이 임용된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이 문관이다. 전라감사의 임용실태를 조사해 보면, 임용시 품계가 종2품이 47%로 절반정도이고, 정3품 당상관 통정대부가 전체의 37%로 매우 많은 수를 차지하고 있다. 전라감사의 출신은 문과출신이 전체의 90%에 이른다. 전라감사의 보좌관으로는 종5품의 도사, 정3품 당상관 무관 중군, 종9품의 심약과 검율이 있다. 도사는 감사를 보좌하면서 또 한편으로는 감사를 견제하는 역할이 있었으며, 지방관들의 고과를 매기는 포폄에도 참여하였다. 심약은 약재와 의료를 보좌하고, 검율은 법률을 보좌하였다. 종5품의 판관은 엄밀한 의미에서 감사의 도정 보좌관은 아니고, 전라감사가 전주부윤을 겸하면서 실질적으로 전주부의 일을 맡아 보는 관리이다. 감영에는 이들 보좌관 외에 행정실무를 담당하는 아전들이 있었다. 아전에는 도정을 보필하는 영리(營吏)와 감영사무를 담당하는 인리(人吏)가 있다. 18세기말 『전라감영지』에 보면 영리는 39명이고, 인리는 149명이었다. 이외에 심부름 등 미천한 잡무를 맡아 하는 사령은 18명이고, 죄인을 다루는 군뢰(軍牢)는 115명이며, 호위와 전령격인 순영수(巡令手)는 30명이다. 기생은 31명이고, 노비는 54명(남자종 41명, 여자종 13명)이다. △전라감사로 부임한 총인원 전라감사 명부로는 대표적으로 전북도청에 소장된 『호남도선생안』과 『관찰선생안-호남』 등이 있다. 『호남도선생안』은 1875년에 작성된 필사본으로 이후에 부임한 감사들도 추기되어 있다. 고려말에 도관찰사로 개편된 후 첫 번째 전라감사는 1388년에 부임한 최유경이다. 이로부터 고려말까지 전라도관찰출척사로 부임한 인원은 4명이고, 1392년 조선건국 직전에 다시 안찰사제로 돌아가 임용된 인물이 1명이다. 1392년 조선건국후부터 1895년 23부로 개편될 때까지 임용된 전라감사는 안렴사 2인을 포함해 총 467명이다. 이후 23부제하에서 전주부관찰사, 남원부관찰사, 나주부관찰사, 제주부관찰사로 총 7명이 부임하였다. 1896년 13도제로 개편되어 전라북도관찰사로 임용된 인물이 10명, 전라남도관찰사로 임용된 인원이 13명으로 이를 합치면 23명이다. 조선건국후의 전라감사, 1895년 23부제하의 관찰사, 1896년 분도후의 관찰사를 다 합쳐보면 조선시대 전라도지역에 관찰사로 부임한 연인원은 총 497명이다. 이 숫자는 미부임자를 제외한 것이며, 중임을 포함한 연인원이다. △전라감사 열전 집필 방안 전라감사 100인 열전을 연재하는 것은 이를 통해 전라감사를 이해할 수 있고, 조선의 역사도 바라볼 수 있다고 생각되었기 때문이다. 전라도천년사 연구의 하나로 전라감사의 이력들을 정리하면서 그런 생각이 들었다. 전라감사에 대한 이해와 더불어, 앞서 살다간 사람들의 이야기와, 전라도지역사와 민족사를 전라감사를 통해 풀어 볼 수 있을 것 같았다. 본 연재는 그런 생각을 가지고 시작하게 되었다. 전라감사 중 선별하여 연재하겠지만, 여기에서 빠졌다고 하여 전라감사로 주목받지 못한다는 것은 전혀 아니다. 지면과 시간이 제한되어 있음으로 모든 전라감사를 다 소개하지 못하고, 100인정도를 선정해 기술할 뿐이다. 이번 연재는 전라감사를 대표하는 인물들을 소개하는데 목적이 있는 것이 아니라 전라감사 이야기를 하고자 하는 것이다. 전라감사를 대표하는 인물들만을 소개하는 것도 아니고, 또 대표적인 인물로 보기에 어렵더라도 감사 이야기를 위해 필요한 경우 연재에 포함시키고자 한다. 연재에서 빠진다고 하더라도 오해가 없기를 바란다. △이동희 전주역사박물관장은 전주어진박물관장을 겸하고 있으며, 현재 전라북도 문화재 위원, 전북사학회장, 전북박물관미술관협의회장을 맡고 있다.

  • 문화일반
  • 기고
  • 2020.09.22 16:31
문화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