UPDATE 2025-11-09 16:48 (Sun)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오피니언 chevron_right 그래픽 뉴스

제조업체 경제심리 두달째 호전

기업의 경제심리에도 훈풍이 불었다.한국은행이 29일 내놓은 '2013년 1월 기업경기실사지수(BSI) 및 경제심리지수(ESI)를 보면 제조업의 1월 업황 BSI는 전월보다 2포인트 오른 70으로 나타났다.이는 지난해 12월에 이어 두 달 연속 개선된 것이다. 상승세가 연달아 이어진 것은 작년 1~4월 이후 처음이다.BSI는 100을 넘으면 경기를 밝게 전망하는 기업이 그렇지 않은 기업보다 더 많다는 의미다. 100을 밑돌면 그 반대다.한은 기업통계팀 이성호 차장은 "실물이 나아졌을 수도 있고 막연한 기대감일 수도 있다"며 이는 1월 지표가 나와봐야 확인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기업규모별로는 대기업의 업황 BSI가 74로 넉 달 연속 증가했다. 중소기업도 66으로 전월보다 3포인트 올랐다.수출ㆍ내수로 구분하면 수출기업의 업황 BSI가 72로 1포인트, 내수기업이 69로 3포인트 상승했다. 제조업체의 매출 전망인 매출 BSI는 80으로 전월보다 2포인트 개선됐다. 생산량 증감의 척도인 생산 BSI는 85로 3포인트 올랐고 설비투자 증감을 나타내는 설비투자실행 BSI도 90에서 94로 뛰었다.제조업체의 경영 애로사항으로는 내수부진(22.9%)이 전월(25.0%)에 이어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다. 최근 외환시장 불안으로 환율을 꼽은 답변도 전월의 8.8%에서 13.1%로 대폭 늘었다. 연합뉴스

  • 오피니언
  • 연합
  • 2013.01.30 23:02

15·16·17대 정부 출범초 아파트 값 상승

다음 달 25일 18대 대통령 취임식을 한 달여 앞두고 부동산시장이 어떤 흐름을 보일지 관심이 주목되고 있다.부동산 시장에서는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취득세 감면을 재추진하고 있는데다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도 부동산 거래를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해 새 정부 정책에 대한 기대감이 크다. 부동산114(www.r114.com)는 역대 정부 출범 초기(1분기) 아파트 값 흐름을 조사한 결과 15대 김대중 정부, 16대 노무현 정부, 17대 이명박 정부 등이 출범한 해 1분기 전국 아파트 값이 일제히 상승했다고 22일 밝혔다.상승률은 15대 4.7%, 16대 1.48%, 17대 0.99% 등이다. 김대중 정부 때는 외환위기 이후 주거환경 악화에서 벗어나기 위해 주택시장 정상화 정책을 추진해 아파트 값이 올랐다.노무현 정부는 집값을 잡기 위한 강한 규제책을 폈지만 집권 초기 집 값은 오히려 상승세를 이어갔다. 규제 완화 정책을 추진한 이명박 정부 출범 초기 역시 오름세였다.그러나 각 정부가 출범한 해 1년 동안 아파트 값은 다른 흐름을 나타냈다. 규제 완화 정책을 폈던 15대(1998년)와 17대(2008년) 정부의 출범 연도 아파트 값은 각각 4%, 1.46% 하락했다. 반면 규제 강화에 나선 16대 정부가 출범한 2003년에는 13.36% 상승했다. 연합뉴스

  • 오피니언
  • 연합
  • 2013.01.23 23:02

작년말 외국인 상장채권 91조 보유

국제 금융시장이 요동치면 우리나라에 유입된 외국인 채권투자자금이 대부분 빠져나갈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은행이 양적완화로 풀린 글로벌 유동성이 빠르게 회수될 수 있다며 경고하고 나선 터라 급격한 자본유출에 따른 금융불안을 막기 위한 당국의 조치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된다. 한국금융연구원 박해식 선임연구위원ㆍ박성욱 연구위원은 20일 `외국인 채권투자 확대 부작용 점검' 보고서에서 이같이 밝히며 "자본이동의 반전 위험을 낮출 수 있도록 외국인의 장기 투자를 유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2012년 말 현재 외국인은 총 91조원 규모의 우리나라 상장채권을 갖고 있다. 이는 사상 최대다. 미국의 양적완화(QE)가 시작된 직후인 2008년 말 37조5천억원에 견줘 배 이상 늘었다.이들은 "금융위기 이후 국내로 유입되는 외국자본의 유형이 은행차입 위주에서 주식ㆍ채권 투자자금 위주로 전환하며 우리나라는 여전히 자본 이동이 반전할 위험에 노출돼 있다"고 우려했다.실제로 2009년부터 작년 7월까지의 외국인 채권투자와 국내외 지표의 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이 기간 외국인 투자자금 변화의 91.5%는 글로벌 금융여건 변동에 따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국내 여건으로 설명되는 자금은 8.5%에 불과했다.연합뉴스

  • 오피니언
  • 연합
  • 2013.01.21 23:02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