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화학물질 취급공장 관리사각](상) 현황
 최근 전북지역에서 화학물질 유출사고가 잇따르면서 도민들이 불안해 하고 있다. 갈수록 공장은 노후화되고 새로운 산업단지가 들어서는 상황 속 예방책 강화가 필요하지만 사고는 줄지 않고 되레 늘어나고 있다. 이에 두 차례에 걸쳐 화학물질 유출사고에 대한 현황과 문제점, 대안에 대해 짚어본다.<편집자 주> 전북지역내 화학물질 유출사고 건수가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집계됐다. 6일 전북특자도소방본부에 따르면 최근 5년 간(2019년~2023년) 발생한 도내 화학물질 유출사고 건수는 모두 41건이다. 연도별로는 2019년 6건, 2020년 4건, 2021년 10건, 2022년 7건, 2023년 14건으로 나타났다. 또 전북환경청에 따르면 전북지역에서 유해화학물질을 취급하는 공장은 총 642곳이며, 지역별로는 군산 188곳, 익산 180곳, 완주 85곳, 정읍 28곳, 김제 22곳, 부안·남원 8곳, 고창 6곳, 임실·장수·무주 각 3곳, 진안·순창 각 1곳이다. 특히 공장이 밀집해 있는 군산지역에서 지난해 발생한 화학물질 유출사고는 13건이었다. 이 중 공장에서 발생한 유출사고는 11건이었으며, 사고원인의 대부분은 시설관리 미흡이었다. 실제 지난해 11월 26일 군산 오식도동에 위치한 SM스틸 군산공장에서 황산과 불산 혼합물 10리터 가량이 유출됐다. 앞서 9월 9일에는 군산 OCI군산공장에서 질산과 불산이 섞인 폐혼합유가 3톤가량 유출됐다. 5월 염소가스, 6월 클로로에틸렌 카보네이트, 7월 암모니아가스 8월 황산가스 등의 유출사고가 발생했다. 이같은 상황 속 최근에는 군산화학물질 취급 공장에서 화재가 발생, 유출 사고로 이어질 뻔한 경우도 있었다. 지난 4일 오전 8시 50분께 군산시 소룡동에 위치한 공장에서 불이 났다. 해당 공장에서 취급 중인 화학물질은 총 6종으로 포름알데히드, 메탄올, 수산화나트륨, 염산, 개미산, N,N-다이소프로피아미노에탄올 등이다. 해당 물질들은 노출될 시 건강상에 큰 피해를 입을 수 있으며, 해당 공장의 화학물질 최대 저장 수량은 546톤에 달한다. 빠른 진화로 다행히 유출사고는 발생하지 않았지만, 자칫 대형 유출사고로 이어질 수 있었다. 지난해 한 달에 한 번 꼴로 화학물질 유출사고가 발생했던 군산산업단지 인근 주민들은 ‘고향을 떠난다’고 말할 정도로 지역내 비판과 불만이 거세지고 있다. 군산시 소룡동에 거주하는 강모 씨(30대)는 “잊을만하면 날아오는 화학물질 유출사고 문자에 최근에 이사를 결정했다”면서 “군산산업단지에서 일을 하고 있고 태어난 동네이기에 이곳에 집을 구했지만, 이렇게 위험한 곳에서는 더 이상 살 수 없을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고, 곧 아이가 태어나는데 건강과 안전문제를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고 토로했다. 이같은 상황속 도내 화학물질 취급 공장들은 더욱 늘어날 예정이다. 지난해 7월 군산새만금산업단지는 이차전지 특화단지로 지정됐다. 이에 기업들의 투자 발표가 이어지고 있고, 화학물질을 사용하는 공장 또한 기하급수적으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공장단지의 확대는 화학물질 유출사고의 위험성이 동반됨에 따라 화학물질취급 공장들의 예방 대책 강화와 관리규정 강화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우석대학교 소방방재학과 공하성 교수는 “화학물질 유출사고는 발생할 시 엄청난 피해를 불러일으킨다”며 “현재 소방의 인력으로는 모든 업체를 점검하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 하기에 대행업체 고용이나 개별 공장의 처벌 규정 신설 등 대책을 강구해야 한다”고 제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