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진우 기자(교육부)
지난 3월이었다. 도교육청은 “세번이상 학교폭력이 발생하는 학교의 교장에 대해서는 삼진아웃제를 적용하겠다”며 학교폭력 근절을 다짐했다. 또 왕따·피해학생을 돕기 위한 학교폭력 SOS지원단 운영 및 품질모니터링 제도 신설 등을 통해 학교폭력 제로운동을 실현하고, 나아가 전북교육의 경쟁력을 높이고 교육수요자에게 만족감을 주겠다는 장밋빛 청사진을 그렸다.
그뿐만이 아니다. 교육당국은 해마다 관련대책을 줄기차게 내놓고 있다. 올상반기에도 사립학교에도 전문상담교사를 배치하고, 퇴직교원·퇴직경찰관 등으로 구성된 배움터지킴이를 배치하고, 피해학생들을 위해 민간경호업체의 신변안전서비스를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지역교육청별로 대책회의도 수시로 열고 있다.
하지만 이를 비웃기라도 하듯, 최근 전주시내 모중학생들이 인근의 동급생을 집단구타한 사건이 빚어졌다. 교육당국의 공언(公言)이 공언(空言)으로 전락한 셈이다. 그만큼 웬만한 대책으로는 끄덕도 하지않을 만큼 학교폭력이 뿌리깊게 박혀있다는 반증이겠지만, 이번 집단구타는 여러모로 씁쓸한 뒷맛을 남긴다.
해당 학교가 비교적 중산층이 모여사는 지역에 위치해 있어 비교적 ‘학교폭력 무풍지대’로 인식됐다는 점은 차치하고라도, 10여명이 1명을 둘러싸고 폭력을 행사한데다 실신한 피해학생을 방치한 채 달아났었다는 점은 나이어린 학생들이 저지른 행동이라고 치부하기 어렵다. 적지않은 학부모들이 집단구타 소식에 “마치 폭력수위가 높은 영화속의 한장면을 보는 듯하다”며 연신 한숨을 내쉰다. 이제는 이같은 어처구니 없는 학교폭력이 언제, 어디서든 불거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는 것이다.
모쪼록 가뜩이나 자녀들의 진로·입시에 노심초사하는 학부모들이 학교폭력에 대한 두려움이라도 잊었으면 하는 바람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