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8 00:22 (Sat)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오피니언 chevron_right 타향에서
일반기사

[타향에서] 무궁화가 주인인 여름꽃축제 없을까 - 박철곤

박철곤(전 국무총리실 국무차장)

지금 벚꽃이 한창이다.

 

남부 지역을 비롯한 일부 지역은 다소 철이 지나 꽃이 지거나 져가고 있지만, 전국이 가히 벚꽃밭이라 할 수 있을 정도로 벚꽃에 덮여 있고, 곳곳에서 벚꽃 축제, 벚꽃 놀이로 떠들썩하다. 쭉 뻗은 교외의 신작로, 잘 가꾼 공원과 유원지는 물론 산과 들, 학교와 골프장까지 어느 곳이 더 벚꽃으로 화사해 지는지 경쟁하는 듯하다.

 

벚꽃은 하나 하나의 개체는 그리 아름답지도, 화려하지도 않지만, 여러 작은 꽃들이 모여 이루는 군화(群花)는 참으로 화려하고 아름답다.

 

따스한 봄바람과 함께 오는 여러 화신(花信)들 중에서도 가장 확실하게 봄을 알리는 벚꽃,

 

대부분의 봄꽃들이 풀이나 작은 나무에서 피는데 비해 쉽게 자라는 큰 나무에서 피는 벚꽃은 나무 하나 하나가 큰 꽃송이가 되어 몇 그루만 있어도 일대가 커다란 꽃밭이 되는 듯 그 화려함이 발군이다. 이런 특성 때문에 각 지자체에서 다투어 벚꽃을 심다보니 어느 사이엔가 전국이 온통 벚꽃밭이 된 듯하다. 또, 이러한 특성이 일본 국민성을 가장 잘 나타낸다 하여 일본의 국화(國花)로 지정된 것으로 알고 있다.

 

벚꽃이 일본의 국화라 하여 벚꽃을 배척하거나 그 아름다움을 폄하할 필요는 없다. 확실하게 봄을 색칠하는 그 화사함을 실컷 감상하고 즐기면 된다.

 

다만 최근의 봄 풍경과 관련하여 몇가지 상념을 떨칠 수는 없다.

 

봄이되면 전국에서 벚꽃축제가 많이 열리고 그 외에도 여러 가지 꽃축제가 수없이 열린다. 산수유 축제, 진달래 축제, 철쭉제 등등… 참 다양한 축제들이 지자체 주관으로 열린다.

 

그러나 벚꽃과 이들 꽃들이 앞다투어 수놓는 우리네 강산의 풍경은 우리가 인식하지 못하는 사이에 많이 바뀐 듯하다. 내가 어릴적 부르던 동요 "고향의 봄"에는

 

"나의 살던 고향은 꽃 피는 산골 복숭아꽃 살구꽃 아기 진달래…"

 

이라고 하여 지금 곳곳에서 축제가 열리는 꽃들은 등장하지 않는다. 고향의 대표꽃이 바뀌고 고향의 봄 풍경이 바뀐 것이다.

 

봄 풍경이 바뀌었다 하여 그 또한 좋다 나쁘다 할 일은 아니다. 세월이 가면 강산의 모습도 바뀌는 것이니까.

 

그래도 단 하나 속 좁은 필자의 바램은 남는다. 어느 일부 지역에서라도 축제를 벌이는 꽃 옆에 우리꽃 무궁화도 함께 심는 성의를 바랄 수는 없을까? 봄 꽃들의 축제가 지나간 자리에 질박하지만 끈질긴 우리 민족같은 무궁화가 주인공이 되는 여름 꽃 축제는 불가능할까? 그러기 위해서 무궁화를 더 화려하게 개량하는 노력도 해야겠지?

 

먼 타향에서 고향 집앞 복숭아나무에 복사꽃이 피던 고향의 봄을 생각하면서 잠시 상념에 빠져본다.

 

/박철곤(전 국무총리실 국무차장)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오피니언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