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7 17:17 (Fri)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문화 chevron_right 방송·연예
일반기사

정태원 "시원섭섭..'아이리스2'도 만들 것"

"첩보액션 드라마는 우리나라에 정착되지 않은 장르라 시행착오를 겪으며 성장할 수밖에 없습니다. 어려움이 많았지만 앞으로도 계속 한국형 첩보액션 드라마를 개척하겠습니다. '아이리스2'도 준비되는 대로 만들 겁니다."

 

SBS TV '아테나 : 전쟁의 여신'을 제작한 정태원(47) 태원엔터테인먼트 대표는 22일 연합뉴스와 전화통화에서도 변함없이 자신감에 넘쳐있었다.

 

 

 

25.9%로 호기롭게 출발한 드라마가 내리막길을 걷다 결국 첫회에 비해 반토막난 시청률로 전날 막을 내렸지만 그는 "평균 시청률 16.1%가 나쁜 것은 아니지 않냐"며 "'아이리스'보다 시청률이 안 나왔을 뿐이지 이 정도면 선전했다고 생각한다. 워낙 기대치가 높았던 것 같다"고 말했다.

 

한자릿대 시청률을 기록하는 드라마들도 종종 출몰하는 상황에서 그의 말처럼 평균 16.1%의 시청률은 나쁘지 않다.

 

그러나 '아테나 : 전쟁의 여신'이 145억 원을 투입해 만든 블록버스터고, 정우성, 수애, 차승원, 이지아 등 호화 캐스팅을 자랑한 드라마인 데다, 2009년 12월 39.9%로 막을 내린 '아이리스'의 번외편이라는 점에서는 상당히 아쉬운 것은 사실이다.

 

정 대표 역시 "시원섭섭하다" "많이 배웠다"는 말로 나름의 아쉬움을 잠시 표했지만 이내 드라마의 성과와 의미를 전하는 데 힘을 줬다.

 

다음은 정 대표와 일문일답

 

--시청률이 기대에 못 미쳤다. 이유는 뭐라고 생각하나.

 

▲기본적인 멜로의 틀을 버리고 선악 구도를 내세우면서 여성 시청자들을 놓친 것 같다. '아이리스'는 이병헌과 김태희의 멜로가 끝까지 갔지만 이번에는 그러지 않다보니 다른 드라마와 좀 달랐다. 새로운 시도였다고 생각한다. 멜로를 버리고 액션을 강화하니 남성 시청자들은 우리 드라마를 좋아했다. 시청층이 다양한 드라마가 양산돼야 하는 것 아닌가.

 

--스케일이 컸다. 사고도 많았지만 쪽대본 촬영 속에서도 무사히 막을 내렸다.

 

▲악조건이 많았다. '아이리스'와 달리 겨울, 연말에 촬영하면서 날씨와 장소 섭외 등에서 애를 많이 먹었고 일반 카메라가 아닌 레드원 카메라로 찍어 후반 작업에 많은 시간이 소요됐다. 무엇보다 '아이리스'보다 스케일을 키웠고 액션을 더 많이 준비했기 때문에 벌려놓은 게 많았다. 첩보액션 장르가 우리나라에 정착되지 않다보니 시행착오를 많이 겪어야했다. 내가 끝까지 스케일을 줄이지 않아 SBS에서 놀라더라. 시청률이 떨어지면 위축되기 마련인데 난 굴하지 않고 끝까지 스케일을 키워갔으니 놀랄 수밖에. 고마워하더라.

 

--액션에 '올인'했다.

 

▲총을 4만 발은 쏴댄 것 같다. 폭약을 얼마나 터뜨렸는지 말도 못한다. 전 세계를 오가며 부수고 폭발시켰다.(웃음) 그런데 안방극장에서는 액션이 너무 과다해도 역효과가 난다는 것을 알게됐다. 그렇게 많이 총을 쏠 필요가 없었다. 다음엔 드라마 위주로 작품을 만들겠다. 액션보다는 탄탄한 스토리가 우선이라는 것을 다시 한번 깨달았다. 많이 배웠다.

 

'아테나 : 전쟁의 여신'의 해외판은 스토리를 좀더 잘 따라갈 수 있도록 재편집할 것이고, 국내에서도 재편집해 케이블 채널에서 다시 방송할까 생각 중이다.

 

--'아이리스'보다 시청률은 낮았지만 돈은 더 벌었다고 하던데.('아테나 : 전쟁의 여신'의 '아이리스'의 후광을 톡톡히 누려 제작비 조달과 작품 수출 등에서 많은 이득을 본 것으로 알려졌다.)

 

▲광고가 20부 전체 완판됐다. 그 돈은 SBS가 버는 것이지만. 회당 제작비도 2억 2천만 원을 받았고 일본 등 해외에도 잘 팔렸다.

 

그런데 돈으로 자꾸 따지지 말자. 그만큼 많이 썼다. 나도 돈 조금만 들여서 작은 드라마 만들면 편하다. 액션을 많이 한다고 수출할 때 돈을 많이 받는 것도 아니다. 수출가는 비슷하다. 하지만 누군가는 한류의 새로운 시장을 개척해야하지 않나. 모두가 똑같은 것을 만들 수는 없지 않나. 세계시장을 향한 날개짓으로 봐달라.

 

--이 드라마의 가장 큰 성과는 뭐라고 생각하나.

 

▲배우들의 재발견과 새로운 스타 탄생 아니겠나. 정우성은 한국판 제임스 본드로 태어났다. 수애는 안젤리나 졸리 같지 않나? 추성훈이 배우로 데뷔했고, 가수 보아와 최시원, 최강창민 등도 연기자로서의 가능성을 보여줬다.

 

--'아이리스2'도 계획대로 만드나.

 

▲물론이다. 다만 준비를 좀더 해야겠지. 훨씬 더 탄탄한 스토리를 준비할 것이다. '아테나 : 전쟁의 여신'에서 김소연(북한 특수요원 김선화 역)이 복수를 다짐하고 사라지지 않았나. 그것이 '아이리스2'로 이어질 것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문화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