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민예총, 道에 소신행정 주문
전북문화재단 설립을 추진하던 전북도가 지난해 도의회에서 예산이 삭감된 후 갑자기 입장을 바꿔 갈팡질팡하면서 도내 문화예술계가 갈등과 혼란에 휩싸이고 있다. 그동안 숱한 논의 끝에 전북도는 올해 출범을 목표로 추진해오다 지난해 일부 도의원들과 문화예술 기득권자들이 반대하는 모습을 보이자 눈치보기로 일관하면서 시간만을 낭비, '보신행정의 전형'이라는 비판에 직면하고 있다.
전북도 관계자는 27일 "문화재단 출범 원칙에 변함이 없으나, 언제 어떤식으로 태동할지 단정하기 어렵다"며 "내년 본예산에 반영한다는 보장은 없다"고 밝혔다. 이는 전북도 안팎에서 문화재단 설립에 대한 부정적 기류가 확산되고 있음을 반증하는 것이다. 그동안 많은 토론과 보고서를 통해 문화재단 출범 결론을 내리고도 수년을 끌어왔던 전북도가 또다시 다양한 견해를 하나로 수렴해 추진하려는 소신행정을 하지않고 눈치보기에 급급한 상황이다.
이같은 현상은 일부 기득권 상실을 우려한 문화특권층이 일부 도의원들을 동원해 반대하면서 나타난 것으로 전북도의 소신 행정이 아쉽다는 지적이다. 문화예술계 안팎에서는 "전북도가 문화재단의 출범시기와 역할을 놓고 결론 없는 논의만 반복하면서 문화예술계의 갈등과 억측만 증폭시키고 있다"며 "도정 책임자인 도지사가 하루 빨리 출범 여부는 물론 구체적인 로드맵을 소신있게 밝혀야 한다"고 입을 모으고 있다.
전북도가 문화재단 설립을 추진하다 지난해부터 미온적인 태도로 돌아선 것은 "문화재단을 만들면 문화예술계의 밥그릇 싸움으로 번지면서 시끄럽기만 할 것"이라는 우려가 바탕에 깔려 있다. 재단 출범과 관련해 일부 문화예술인들은 △ 문화재단의 독립성 △ 구체적인 기능과 역할 △ 문화권력화 및 옥상옥 변질 가능성 △ 예산 확보의 어려움 등을 제기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문화재단을 띄울 경우 전북도는 자칫 논란의 중심에 설 수 있기 때문에 차일피일 미루면서 '시간 벌기'를 하고 있다는 게 중론.
이처럼 전북도가 문화재단 출범 여부에 대해 결론을 내지 못한 채 '보신행정'으로 일관하자 도내 문화예술인들이 폭발하고 나섰다. (사)전북민예총(회장 진창윤)은 27일 도청 기자실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도지사는 문화재단 설립 의지를 명쾌히 밝히고 조속히 추진해야 한다"고 강한 어조로 주문했다. 지난해 도의회가 여론 수렴 등의 이유로 문화재단 설립 예산(5억)을 삭감한 이후 전북도가 차일피일 '언제, 어떻게 출범시키겠다'는 로드맵 없이 손을 놓고 있는 데 대해 도지사가 직접 명쾌한 입장을 밝힐 것을 주문한 것이다.
진창윤 회장은 "관료행정의 한계로 인해 통합적인 시스템을 갖춘 문화재단이 필요하나, 도가 어정쩡한 입장을 취해 문화예술계의 갈등만 확산되고 있다"며 조속하면서도 분명한 결단을 촉구했다. 그는 이어 전북민예총이 전북예총(회장 선기현)과 함께 문화재단 출범의 추진체로서 문화예술인들의 의견을 모으고, 여론을 확대해 나가겠다는 의지도 밝혔다. 도정 최고 책임자의 소신있는 답변이 주목되는 상황이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