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전북의 토속적인 멋과 맛 신진탁씨 수필집 ‘토향 이야기’ 출간

평양냉면·개성탕반과 함께 조선시대 3대 음식이었던 전주비빔밥이 어떻게 시작됐으며, 맛의 최고 비결은 무엇일까. 전주의 특산물인 부채와 한지가 어떻게 유명해졌으며, 오늘날 어떤 의미를 담고 있나. 전라도의 이질풀에 일제가 눈독을 들인 사연과, 전주에 가면 ‘여시 코빼기를 당한다’는 사연은 어떻게 나왔나.

 

40년간 교직생활을 정년퇴임으로 접고 숲해설가로서 제2의 삶을 살고 있는 학천(鶴天) 신진탁씨가 잊혀져가거나 소실되고 있는 지역 문화에 대한 안타까움과 애정을 담은 수필집을 냈다. ‘토향(土鄕)이야기’다.(신아출판사)

 

토향의 멋과 맛, 지혜, 향기, 슬기, 아름다움, 희망 등 8개 분야로 나누어 전북의 토속적인 멋과 맛, 선조의 슬기와 지혜를 재조명하고 되새기는 글들로 구성했다.

 

저자는 “현세의 시각으로서는 크거나 화려하지도 않고 매혹적인 향내도 풍기지 못하지만 그래도 젊잖은 듯, 잔미운 듯, 선조들의 얼이 담겨 빛나고 경이로움을 수줍게 나타내는 유산 앞에 겸허하고 엄숙한 마음으로 토향 이야기를 담아보려 했다”고 서문에서 밝혔다.

 

8장에서 다룬 전주 한옥마을의 회화나무, 남고산성의 동지꽃, 덕진공원에 있던 마지막 스무나무 등 ‘잊힌 것들’에서 저자의 저술 의도를 읽게 한다.

 

시집 ‘하늘을 껴안고 싶은 바위’, 수필집 ‘노을을 닮아 튀는 얼굴’, 소설‘백두대간’ 등을 저술했다. 전북주례협회장, 숲생태지도자협회 전북회장 등을 지냈다.

김원용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2035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 '50∼60%' 또는 '53∼60%'로

군산군산시, 체납차량 야간 영치 단속 실시···고질·상습 체납 17대 적발

군산전북에서 가장 오래된 콘크리트 다리 ‘새창이다리’ 존폐기로

전시·공연부안여성작가 13명, 30일까지 제9회 단미회展 ‘Art Memory’

부안김양원 부안발전포럼 대표, 22일 「통쾌한 반란,함께 만드는 내일」 출판기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