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에 있어 촌스러움과 세련됨의 경계는 무엇일까. 이 질문에 대한 답은 서양화가 선기현(·전북예총 회장)씨의 개인전에서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지난 30일 전북예술회관에서 개막한 개인전에서 또 한 번 색을 가감없이 풀어놓았다.
"내 본업이 그림이여. 이걸 열심히 해야지."
캔버스마다 총 천연색이 가득 메웠다. 도무지 어떤 내용을 그린 것인지 알 수 없었다고 불만 섞인 장난을 내놓던 지인들이 "아, 이제서야 뭔 말 하는 줄 알겠네"라고 웃으며 농을 건넸다. 그러자 "그림이 어렵다고 호통치는 양반들 때문에 이번엔 쉽게 그려낸 것"이라고 맞받아쳤다. 특히 정형화된 색감을 배제하고 자신만의 감성으로 내놓은 그의 사계절은 영혼이 자유로운 예술가의 DNA를 보여주는 듯 하다.
평소 사람들을 잘 아우르면서도 중요한 순간엔 빠른 결단력을 발휘하는 그답게 개성있는 색을 한껏 풀어내면서도 꽉 매운 화폭에 조화롭게 표현한 캔버스를 두고 진동규 시인(한국문인협회 부이사장)은 "평소 기현이의 활달한 성품이 잘 드러난 작품"이라고 했다.
20년 넘게 김두해 전북미술협회 회장과 이흥재 전북도립미술관 관장과 삼인전을 해온 이들은 그의 작품 세계 뼛속까지 누구보다도 잘 알고 있는 지기들. 이흥재 관장은 "상당수 작가들이 과감하게 색 쓰는 데 두려움을 느끼는 데 반해 선기현 회장은 그걸 뛰어넘는 시도를 매번 해왔다. 보통 '째쟁이'가 아닌 셈"이라고 했다.
이날 개막식에는 김남곤 전북일보 사장, 장명수 전 전주문화재단 이사장, 안홍엽 필애드 대표를 비롯해 진동규 한국문인협회 이사장, 이광진 한국공예문화협회 이사장, 김두해 전북미술협회 회장 등이 참석했다. 전시는 6일까지 전북예술회관에서 계속된다. 이화정 hereandnow81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