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선 이후 日 아베·아소 접견에서 인식 드러내
(서울=연합뉴스) 김남권 기자 = 박근혜 대통령이 3ㆍ1절 기념사에서 바람직한 한일 관계 구축을 위한 방안으로 '역사 직시→신뢰 구축→화해와 협력의 미래'가 불가피하다는 점을 강조할 것으로 27일 알려졌다.
일본 정부에 대해 지난 역사를 공정하고 객관적으로 바라볼 것을 촉구하고 이것을 기반으로 양국간 신뢰가 쌓이면서 자연스럽게 서로 화해하고 협력하는 미래로 나아갈 수 있다는 점에 무게를 둔다는 것이다.
흡사 북한의 비핵화 진전 등으로 남북한간 신뢰가 점진적으로 쌓이면 경제 등의 분야에서 남북관계 정상화와 발전을 꾀하겠다는 박 당선인의 안보 구상인 '한반도 신뢰 프로세스'를 한일 관계에 적용시키는 듯한 대목이다.
이번 3.1절 기념사는 일본이 지난 22일 '다케시마(竹島·일본이 주장하는 독도 이름)의 날' 행사를 사실상 중앙정부 행사로 치르면서 한일 관계가 또다시 냉각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오는 상황에서 박근혜 정부 5년간 대일 관계의 기조를 예상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된다.
3.1절 기념사는 최근 박 대통령이 당선인 시절과 취임식 이후 일본 외교사절과의 간담회에서 한 언급 등의 연장선에서 작성될 것으로 예상된다.
박 대통령은 당선인 시절인 지난달 5일 아베 신조 일본 총리 특사단을 접견한 자리에서 "역사를 직시하면서 화해와 협력의 미래를 지향하고, 이를 위해 양국간 꾸준히 신뢰를 쌓아나가는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또 취임식 당일인 25일 축하 사절로 온 아소 다로 일본 부총리를 접견한 자리에서도 "양국이 화해와 협력의 미래를 지향해 나가야 함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역사문제 등 현안들이 미래지향적인 양국 관계 발전을 가로막고 있는 것은 안타깝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진정한 우호관계 구축을 위해서는 역사를 직시하면서 과거의 상처가 더이상 덧나지 않고 치유되도록 노력하고, 피해자의 고통에 대한 진심어린 이해가 있어야 한다"고 언급했다.
이와 관련, 박 대통령을 잘 아는 인사들은 "이 두 발언이 일본에 대한 박 대통령의 최근 생각을 가장 잘 표현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박 당선인은 3.1절 기념사에서 일본과 미래로 나아겠다는 의지를 표명하되 이를 위해 일본이 역사를 직시함으로써 신뢰를 구축해야 한다는 점도 같은 무게로 강조할 것으로 관측된다.
이런 가운데 일본 정부의 최근 '독도 도발' 사태에도 불구하고 박 대통령은 3.1절 기념사에서 일본 정부에 대해 공개적 비판은 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 같은 접근은 양국간 꼬인 실타래를 푸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보인다.
박 대통령측 인사들 사이에서는 지난해 8월 이 전 대통령이 독도를 전격 방문하면서 양국간 외교관계가 급속히 악화한 점을 반면교사로 삼아야 한다는 의견도 적지 않은 것으로 알려졌다.
박 대통령 역시 현실적으로 국제무대에서 한일간 협력이 필요한 상황에서 외교 관계 역시 문제를 풀어가는 방향으로 가야지, 그 반대로 가서는 안된다는 인식을 가진 것으로 전해졌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