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⑪ 음악감독 김백찬] 동·서양 음악 넘나들며 전통국악 현대적 재해석

다양한 장르 과감한 시도 전국 공연·영화계서 두각

무대는 사라져도 음악은 남는다. 지난 20일 한국소리문화의전당 모악당에서 만난 널마루무용단의 '부채, 춤 바람을 일으키다'에서 '보는 재미' 외에 '듣는 재미'로 숱한 갈채를 유도했던 게 음악이었다. 전통과 현대 사이의 지점에 위치한 음악은 과장보다는 절제로 기울이며, 고독과 우수까지 결을 그대로 살려냈던 것. 음악이 머리가 희끗희끗한 중년의 작품일 것으로 생각했으나 이제 막 서른을 넘긴 젊은 작곡가라는 점에서 놀라움은 더욱 컸다.

 

전국 공연·영화계에서 잘 알려진 음악감독 김백찬(32)은 이젠 괜찮은 '보증수표'로 통한다. 영화'쌍화점','구르믈 버서난 달처럼'에서 음악 작업에 참여했고, 경쾌한 국악 선율로 만든 지하철 환승역 음악'얼씨구야'로 대중들에게 알려졌으며, 9월 선보일 새만금 상설공연 창작음악과 도내 인디밴드'어쿠스틱'의 음악까지 다 그의 손을 거쳤거나 매만져지고 있는 작품들이다. 그러나 이 모든 작품이 한 가지로 정의되진 않았다. "어떤 무대이건 간에 제작진 의도를 충실하게 살려내는 게 최우선이다", "정의될 수 없는 다양한 소리의 실험을 해나가고 있다"는 말처럼 그의 곡은 극과 극을 오간다.

 

"영화음악은 액션영화에 더 잘 어울린다고 하고, 무용음악은 또 서정적이라고들 해요. 천차만별이죠, 뭐. (웃음)"

 

그럼에도 국악인들 스스로가 좋아하고 잘 할 수 있는 음악에 갇히지 않고 대중들이 환호할 수 있는 음악에 귀를 기울인다는 점에서 그의 음악은 '락'(樂)적인 요소가 다분했다. 그가 좋아하는 가야금은 물론 피리·타악·소금·기타 등 국악기와 양악기로 기쁨과 슬픔, 우울, 몽상까지 한데 버무려 총천연색으로 탈바꿈시키는 방식이다.

 

처음부터 국악 전공을 염두에 둔 것은 아니었다. 여섯 살 때부터 피아노를 시작으로 음악 이론, 동요 작곡, 시창 등을 고루 익혔고 전국어린이동요작곡대회에서 금상을 수상하는 등 일찌감치 작곡에 소질을 보였다. 서울국악예고(現 국립전통예술고)를 거쳐 전북대 한국음악과에 진학했고 군악대 입대 전 호기심 삼아 본 한국예술종합학교 입학시험에 덜컥 붙어 작곡가의 길을 걷고 있다.

 

전통적인 접근에 충실하는 국악계와 거리를 둔 그는 거꾸로 다양한 국악기와 서양악기의 조합으로 국악을 과감하게 재해석한다. "사람들이 눈길을 주지 않기에 직접 창작하고 가깝게 들려주면서 온몸으로 부딪치는 수밖에 없었다"는 이면엔 국악계가 '그들만의 리그'를 펼쳐서는 안 된다는 우려가 깔려 있다.

 

"'얼씨구야'는 본래 휴대전화 벨 소리로 만든 겁니다. 국립국악원이 추진한 '생활 속에 우리 국악' 창작사업에 제 벨소리가 채택되면서 지하철 환승 음악이 됐죠. 여기서 재밌는 것은 승객들의 반응이었어요. 처음엔 고개를 갸웃거리던 승객들도 쉽게 친숙하게 느끼더라는 겁니다. 국악이 대중 속으로 들어가는 통로를 더 자주 갖게 된다면 대중화가 어렵지 않겠다고 그 때 생각했어요. 그래서 어떤 장르 건 가리지 않고 시도하게 되는 것 같습니다."

 

곡에 따라 통째로 다시 창작해나가는 '재건축'도 있고, 구조 하나하나를 세심하게 손보는 '리모델링'도 있다. 그럼에도 모든 음악은 본격적인 공연을 올리기 한 달 전에 미리 나온다. 협업이라는 공연예술의 특성을 이해하고 일하는 파트너들을 배려하기 위해서지만, "연출자와 감독이 주는 영감을 통해 곡이 만들어진다"며 겸손해했다.

 

젊은 팬들은 감각적이고 세련된 그의 스타일에 두 손 들고 환영하겠지만, 완고한 애호가들은 이게 무슨 국악이냐며 눈살을 찌푸릴지 모른다. 그러나 해석의 자유를 넉넉하게 열어주는 그의 명민한 곡에 청중들이 먼저 기립박수를 쳐주는 흐뭇한 풍경을 기대해보고 싶다.

이화정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정치일반2035년 온실가스 감축 목표 '50∼60%' 또는 '53∼60%'로

군산군산시, 체납차량 야간 영치 단속 실시···고질·상습 체납 17대 적발

군산전북에서 가장 오래된 콘크리트 다리 ‘새창이다리’ 존폐기로

전시·공연부안여성작가 13명, 30일까지 제9회 단미회展 ‘Art Memory’

부안김양원 부안발전포럼 대표, 22일 「통쾌한 반란,함께 만드는 내일」 출판기념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