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자 촉진지구 최초 입주기업 가동중단 / 市, 보조금 지원·무분별 유치전략 도마위
남원시 투자유치 촉진지구(송동면 신평리)에 처음 입주한 (주)엠피온스가 최종부도 처리된 것으로 확인됐다.
울산에 본사를 두고 인조대리석 원료에 사용되는 유기과산화물을 생산해 국내와 해외에 제품을 공급한 케미컬 전문기업인 이 업체는 260억원을 투입해 2012년 4월17일에 남원공장 준공식을 갖고 본격적인 가동에 들어갔다.
하지만 가동 1년여만에 자금난으로 공장 가동이 멈췄고, 직원 수도 대폭 줄었다.
당초 기업유치 목표인 고용창출 및 지역경제 활성화는 전혀 기대할 수 없는 상황에서, 남원시는 공장 재가동에 촉각을 곤두세울 수 밖에 없었다.
이런 실낱같던 희망은 무너졌다. 자금난을 극복하지 못한 엠피온스는 공장 준공식을 개최한지 1년5개월만인 지난 9월25일에 부도가 났다.
이에대해 엠피온스 이병희 대표이사는 지난 18일 본보와의 통화에서 "거래처 부도로 인해 자금난이 왔다.
남원과 울산 공장을 분리해 새로운 회사명으로 공장을 재가동하고 공동대표 체제로 공장이 운영될 수 있도록 하겠다"며 "내년 1월부터는 공장이 재가동될 수 있도록 자금유치에 주력하겠다"고 해명했다.
전북일보가 지난 8월29일자 보도를 통해 자금난으로 공장 가동을 중단한 엠피온스 문제를 다뤘을 때에도, 이 대표이사는 본보를 찾아 "국내·외 투자자금 유치로 올해 안에 남원공장은 재가동될 것"이라는 입장을 피력한 바 있다.
남원시는 엠피온스 문제와 관련해 "법정관리 또는 파산절차가 진행될 것으로 예상된다. 남원시는 법정관리와 파산절차의 경우로 나눠 대응해 나갈 것이다. 투자보조금 지원에 대한 채권확보 차원에서 토지 및 건물에 대해 근저당(14억원)을 설정했고 남원시는 3순위에 해당된다. 경매 때에는 채권단으로 참여할 계획"이라는 입장이다.
이를놓고 도내 금융권 및 법조계 관계자는 "남원시의 예상처럼 법정관리 또는 파산절차가 진행된다면, 이 업체 대표의 해명이 현실적으로 실현될 가능성은 희박하다"는 견해를 보였다.
# 엠피온스 문제는 지역 내 뜨거운 논란으로 이어질 전망이다.
그 이유는 △이 업체가 남원시로부터 상당한 혜택을 받고 입주했다는 점 △12억원 이상의 남원시 지원이 이뤄졌다는 점 △남원시의 최대 기업유치 전략이 결과적으로 실패로 돌아갔다는 점 등과 연관돼 있기 때문이다.
그렇다면 이 업체는 남원시로부터 어떤 혜택을 받았을까.
시는 2008년 1월25일에 이 업체와 남원공장 신설을 위한 투자협약을 체결한 뒤, 같은해 3월에 이 업체의 공장 부지를 전국 최초로 '투자유치 촉진지구'로 지정받았다.
시는 지구 지정에 따라 각종 인·허가를 위한 용역과 부지매입 대행 등의 지원을 실시했다.
또 이 업체에 대한 남원시의 재정적 지원은 역대 최대 규모라 할 수 있다.
인·허가 등 각종 용역비 1억5000만원, 투자보조금 10억8000만원, 투자유치포상금 4500만원 등 그 규모가 12억7500만원에 이른다.
청년취업 2000사업에 따라 9명의 인건비 지원(5200여만원)까지 포함하면 지원금은 더 늘어난다.
이런 이유 때문인지 남원시는 준공식 당시 "지역에서 가장 많은 투자규모를 자랑하는 이 업체의 공장 가동률이 100%까지 올라간다면 150명에서 200명 정도의 고용창출을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는 장밋빛 청사진을 제시하기도 했다.
하지만 남원공장이 가동된 이후 최대 고용인원은 40여명에 불과했다.
# 엠피온스 여파로 인해 남원시 기업유치 전략에 대한 재진단은 불가피해졌다.
시는 열악한 지방재정을 극복하기 위해 기업유치에 올인하고 있지만, 유치 업체의 옥석을 구분할 수 있는 능력까지는 겸비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같은 한계는 비단 남원시에만 해당되는 문제는 아니다.
하지만 무리수를 둔 기업유치 전략이 자칫 심각한 문제를 초래할 수 있다는 점에서, 전략의 재점검은 반드시 다뤄져야 할 과제로 부각된다.
시민들은 "기업유치에 행정력을 집중하고 있는 남원시의 입장은 이해할 수 있다. 하지만 아무리 시급하고 절실한 문제라하더라도 실적 올리기에 급급한 무분별한 기업유치는 오히려 지역발전에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며 "업체는 자사의 이익을 위해 입주 여부를 판단한다는 점을 잊어서는 안된다. 남원시는 보조금 지원에 규제를 강화하고 지역 특성에 맞는 기업유치 전략을 마련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남원시가 엠피온스 문제 및 기업유치 전략에 대해 어떤 대책을 내놓을지, 해당 공장이 재가동될지에 시민들의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