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06 06:03 (Thu)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문화 chevron_right 문화일반
일반기사

청년 문화기획자의 오늘을 말하다 ③ 힘겨운 현실 해소 방안은

마당 수요포럼서 '官 지원 한계 탈피' 모색 / '한복데이' 같은 발상 전환·정보 교류 필요

▲ 지난달 16일 전주 한옥마을에 위치한 카페 '공간 봄' 세미나실에서 열린 마당 수요포럼에서 도내 문확기획자들이 관 지원이 한계를 해소하는 방안 등을 논의하고 있다. 사진제공=사회적기업 마당

문확기획자의 창의력을 몰인정하는 현실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좀더 대중적인 기획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다. 또한 기존 사업 관행에서 벗어나는 역발상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이같은 의견은 사회적기업 마당-전북문화저널이 지난달 16일 전주 한옥마을에 위치한 카페 '공간 봄' 세미나실에서 개최한 129회 수요포럼에서 제기됐다. 지역에서 활동하는 청년 문화기획자 7명은 이날 관 지원의 한계를 해소하는 방안을 모색했다.

 

한옥마을의 콘텐츠를 개발하는 '불가능공장' 대표이자 한복데이 기획단장인 박세상 씨(29)의 사회로 사회적기업 이음 청년사업팀장이자 전주 남부시장 청년몰 매니저인 이승미 씨(28), 공공미술활동 비쥬얼컬쳐스튜디오 '캔즈' 공동운영자인 김준우 씨(37), 사회적기업 마당 기획팀 민슬기 씨(30), 'TEDx전주' 디렉터이자 대한민국 대학생 교육기부단 호남지부장 이거성 씨, 한국공연문화예술연구소 임정민 사무국장(31), 완주군 비비정마을 장인석 운영실장(28)이 패널로 참석해 교류를 통한 대안을 마련키로 했다.

 

이들은 보다 더 대중 친화적인 콘텐츠를 만들어야 하는데 입을 모았다.

 

이거성 씨는 "문화는 한 사람의 상상력이 대중의 호응과 얼마나 교집합을 형성하느냐인 만큼 교집합이 커지면 수익창출도 가능하다"고 제언했다.

 

힙합 공연을 기획하는 임정민 사무국장도 "클래식도 해설을 통해 관객에게 다가선 것처럼 힙합도 해설을 곁들이고 판소리의 추임새와 같은 리액션 넣는 법을 공연 때 알려주는 형식을 도입하면 좀더 친숙하다"고 소개했다.

 

장인석 운영실장도 "문화예술이라는 콘셉트로 지역에서 시야를 넓혀야 한다"면서 "어르신들이 마을만들기 사업을 이해할 수 있을까라는 선입견을 가졌는데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텃밭교육을 진행하며 어르신들이 노하우를 발휘하는 모습을 보고 기우라는 걸 깨달았다"고 회상했다.

 

이와 함께 사업 예산에 얽매이기 보다는 새로운 착상으로 성공한 사례도 소개됐다. 지난달 28일 전주 한옥마을에서 열린 '한옥데이'는 적은 예산으로 수익사업 모델까지 발견한 것.

 

박세상 씨는 "한복데이의 경우 행사의 경제적 부분을 어떻게 채울까 고민하다 축제의 기획 과정을 뒤집어 3개월 동안 행사당일 같이 놀 사람을 먼저 모집했고, 시내 한복집을 일일이 접촉하며 협조를 구해 기부와 대여를 통해 한복을 확보했다"면서 "정석대로 하면 1억 원이 넘는데 이를 1500만 원으로 진행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축제과정에서 한복 대여사업의 가능성도 확인했고 사람들과 행사를 함께 만들어가면서 돈이 필요 없어지고 축제가 완성됐다"며 "아무리 기획자 스스로 좋다고 해도 사람들의 필요보다 크지 않으면 그냥 끝나는 기획에 불과하다"고 덧붙였다.

 

이승미 매니저는 "지역에서 활동하는 문화기획자가 머리를 맞대면 품앗이로 해결할 수 있는 부문이 생긴다"면서 "문화기획자로서의 고민과 노하우의 공유해 지원사업의 한계와 수익창출의 애로를 해소하길 바란다"고 말했다. 〈끝〉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문화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