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기사 다음기사
UPDATE 2025-11-15 00:35 (Sat)
로그인
phone_iphone 모바일 웹
위로가기 버튼
chevron_right 경제 chevron_right 금융·증권
일반기사

작년 발행 화폐 증가액 9조원 '사상 최대'

증가율도 4년만에 최고…5만원권이 최대 요인

지난해 한국은행의 발행 화폐 증가액이 사상 처음으로 9조원대에 달했다. 증가율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4년만에 최고 수준이다.

 

가장 큰 요인은 지하경제 수요를 의심받는 5만원권의 증가다.

 

16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작년 말 현재 화폐 발행 잔액은 63조3천659억원으로, 1년 전보다 9조315억원(16.6%)이 늘었다.

 

발행 화폐 증가액이 9조원대에 달하기는 이번이 처음이다.

 

종전 최대치는 국제통화기금(IMF) 외환위기를 극복하던 1999년의 6조6천393억원으로, 이른바 밀레니엄버그(Y2K)에 따른 은행 자동화기기(ATM, CD)의 오작동을 우려한 현금 확보 수요도 급증했다.

 

두 번째는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유동성을 크게 늘린 2009년의 6조5천879억원으로, 5만원권의 발행 개시도 당시 화폐 증가에 큰 요인이 됐다.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3년간 연도별 증가액은 2010년 5조9천609억원, 2011년 5조3천504억원, 2012년 5조6천768억원 등 5조원대였다.

 

경제 규모 증가에 따라 화폐 물량도 늘어나는 게 자연스러운 현상이기는 하지만 발행 화폐 증가율도 지난해는 16.6%에 달했다.

 

위기 상황이던 지난 2009년(21.4%) 이후 4년만의 최고치다.

 

금융위기 이후 연도별 증가율은 2010년 16.0%, 2011년 12.4%, 2012년 11.7% 등으로 낮아졌다.

 

지난해 발행 화폐가 크게 늘어난 이유는 무엇보다 5만원권의 증가 때문이다.

 

작년 말 현재 5만원권 발행잔액은 40조6천812억원으로, 1년 전보다 7조9천147억원(24.2%)이 늘었다.

 

이에 따라 전체 발행 화폐 중 5만원권의 비중은 64.2%로, 전년말보다 4%포인트 가량 상승했다. 2년 전인 2011년말에는 이 비중이 54.3%였다.

 

지난해 5만원권의 수요 증가를 둘러싸고는 정부가 지하경제 양성화에 강한 의지를 보이면서 세금 탈루 등 지하경제 수요가 오히려 발생한 때문이 아니냐는 추측도 나오지만 정확한 원인 분석은 이뤄지지 않은 상태다.

 

증가율로 보면 5천원권(발행잔액 1조1천848억원)이 8.0%(877억원)로 2번째를 차지했고 5만원권에 이은 고액권인 1만원권(17조8천781억원)은 5.4%(9천121억원)로 3번째였다.

 

한은 관계자는 "5만원권이 발행되기 시작한 2009년 이후 매년 줄던 1만원권이 5년만에 증가세로 돌아선 점도 특기할 만한 현상"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다른기사보기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 400
경제섹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