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대학교 강재욱 교수 연구팀이 값이 싸면서 접히는 유기발광 다이오드(OLED) 기술을 개발했다.
전북대는 5일 강 교수 연구팀이 비교적 간단한 인쇄공정을 거쳐 접히는 OLED 제작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강 교수는 서울대 김장주 교수팀과 재료연구소 송명관·김도근 박사팀과 함께 하이브리드 투명전극을 활용한 접히는 OLED를 개발했다.
이번 연구 결과는 재료분야의 세계적인 저널인 '어드밴스트 에너지 머터리얼스(Advanced Energy Materials)' 최신호에 실렸다.
디스플레이에 많이 이용되는 기존의 OLED는 유리기판 위에 투명전극 재료인 인듐주석산화물(ITO : indium tin oxide)을 주로 사용해 왔는데, 이 재료가 워낙 고가 인데다 유연하지 못한 단점이 있었다.
강 교수팀은 이러한 단점을 보완해 '하이브리드 투명전극'을 주재료로 이용해 유연하면서도 저가인 OLED 개발에 성공했다.
'하이브리드 투명전극'은 인쇄공정에서 금속 전극을 플라스틱 기판 내부에 함몰시켜, 그 위에 기존 ITO 사용량의 10분의 1에 해당하는 매우 얇은 ITO를 덮어 제작한다.
이를 통해 강 교수팀은 비교적 간편한 인쇄공정으로 유연성이 떨어지는 ITO의 사용량을 획기적으로 줄이고 기존 OLED의 단점을 극복한 우수한 전극 소재를 개발했다.
학계는 이번 연구로 저렴한 가격으로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제작에 청신호가 켜질 것으로 보고 있다.
또 저가의 대형 OLED 조명 제작을 비롯해 태양전지와 터치패널에도 적용할 수 있는 원천기술로 평가되고 있다.
강 교수는 "하이브리드 투명전극은 기존 각 소재가 지닌 장점을 활용한 전극 제조기술"이라며 "이 기술은 OLED뿐만 아니라 휘는 디스플레이 및 터치패널, 트랜지스터 등 다양한 전자기기에 적용 가능하며 특히 초저가의 전자기기 개발에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