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원들 표면적 문제만 거론, 통과의례 인상 짙어 / 익산 식품클러스터 분양률 저조, 대책마련 주문
‘전북지역 현안은 친환경농업, 노후 저수지 문제밖에 없나?’
11일 전북도청에서 열린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이하 농해수위)의 전북도 국정감사는 친환경농업, 노후 저수지 문제에 대한 의원들의 재탕, 삼탕 질문으로 가득찼다.
심지어 각 의원에게 10분간 주어진 본질문 시간에만 4명의 의원이 친환경농업 질문을 던졌고, 추가 질문 시간에도 노후 저수지·친환경농업에 대한 의원들의 궁금증이 이어졌다. 이미 언론 등에서 수차례 지적된 내용을 중복해 언급하면서 표면적인 문제만 거론하는 데 그친 국감이라는 쓴소리가 나온다.
친환경농업, 노후 저수지 문제 이외에는 삼락농정(三樂農政)의 개념 정립부터 익산 국가식품클러스터 추진 현황 등에 대한 질의가 나왔다.
△전북, 친환경농업 예산 확대에도 친환경 농가 수는 반토막= 새누리당 경대수 의원이 전북도에서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전북 친환경농업 면적은 지난해 6561㏊로 2010년 1만 2285㏊에 비해 46%가량 감소하고, 농가 수도 지난해 6018농가로 2010년 1만 1402농가보다 47% 급감했다.
반면 친환경농업에서 관행농업으로의 회귀율은 2010년 4.7%에서 지난해 24.2%로 크게 늘어나 전북 친환경농업 육성 정책이 실패한 것 아니냐는 지적이 제기됐다.
△전북도 삼락농정 ‘제값 받는 농업’의 ‘제값’ 기준은?= 새정치민주연합 신정훈 의원은 전북도에서 추진하는 삼락농정의 세 가지 비전 중 하나인 ‘제값 받는 농업’의 ‘제값’ 기준과 정부에서 정의하는 농산물 가격 정책 중 제값의 정의에 대해 물었다. 제값의 기준이 경영비인지 소득, 생산비인지 명확히 해 달라는 주문이었다.
이에 대해 송하진 전북도지사는 정부가 공표하는 농산물 최저가격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고 답했으나, 신 의원은 최저가격제도를 말하면서 정부 정책의 핵심을 모르면 안 된다고 곧바로 지적했다. 신 의원은 농산물 최저가격제도의 기준이 생산비가 아닌 경영비이기 때문에 농산물이 폭락했을 때는 실효성이 없다고 밝히며, 삼락농정을 추진하는 전북도지사가 문제의식을 가지고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익산 국가식품클러스터 분양 계약 5%= 새정연 김승남 의원은 익산 국가식품클러스터 사업 분양이 전체 5%에 불과할 뿐만 아니라 분양 계약도 국내 4건, 해외 0건으로 부진하다고 지적하며 대책 마련을 촉구했다. 국내 4개 기업의 경우 7만 8000㎡(121억원) 분양 계약을 체결했지만, 이는 최초 분양 물량 34만㎡의 23%에 불과하고, 향후 분양해야 하는 전체 물량 140만㎡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실정이라고 밝혔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