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소외 원인 '정부, 불균형 정책 탓' 인정 / 탄소산업·국가식품클러스터 거점개발 제안
2015년 전북은 17개 광역 시·도 중 유일하게 지역내총생산 증가율이 0%에 그쳤다. 성장이 멈춰버린 것이다. 성장이 멈췄다는 것은 전북이 낙후의 늪에 빠져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대선 예비후보들은 전북이 정부의 불균형 성장전략 때문에 차별받고 소외받았다는 것을 인정했다. 이 때문에 국가균형발전이 시급하며, 격차를 만회하기 위해 전북에 더 많은 투자가 이뤄져야 한다는데 공감했다.
그러면서 전북이 보유한 자원을 통한 발전전략을 세워야한다고 입을 모았다. 그 첫 번째는 지난달 25일 전주로 이전한 국민연금공단 기금운용본부를 중심으로 한 금융허브 구상이다. 또 4차 산업혁명시대에 대비해 탄소산업클러스터와 익산식품클러스터 사업의 거점 개발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혁신도시 시즌2’를 내세운 민주당 문재인 전 대표는 “공공기관과 공기업이 내려오는 것으로 끝나는 게 아니다. 기금본부 이전을 계기로 자산운용사·투신사·은행·증권사의 지점, 관련 연구기관들이 집적화해 전북을 하나의 금융 중심지로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국민의당 안철수 전 대표는 “농생명식품산업 분야에 특화된 금융을 발전시키면 지역에서 단기적으로 효과를 볼 수 있다”고 했다. 이어 “메가탄소밸리 구축으로 탄소산업의 주도권을 확보하고, 익산식품클러스터 사업에 4차 산업혁명 신기술 도입을 통해 부가가치를 창출 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안희정 충남지사(민주당)는 “역사문화자원은 자그마한 농공단지를 유치하는 것 이상의 지역발전 동력이 된다”며 “문화재 발굴이나 복원에 대한 재정 집중 투자로 지역 관광산업을 육성할 수 있는 근거를 만들겠다”고 했다. 아울러 광역경제권을 설정해 자치권과 기획권 등 권역 재조정 사업을 진행해야 한다고 말했다.
바른정당 유승민 의원은 금융허브·농생명산업 육성을 위한 정부지원과 공항과 도로 등 새만금 인프라 구축을 강조하면서 “수도권보다 더 좋은 여건을 만들어 주지 않는 이상 민간 기업이 절대 지방으로 이전하지 않는다”며 “전북에 어울리는 산업 터전을 만들어야 한다”고 제시했다.
이재명 성남시장(민주당)은 “30~65세 농민을 대상으로 하는 농민 기본소득 지원과 0~29세와 65세 이상을 대상으로 하는 생애주기별 기본소득은 전북 농가를 비롯해 지역경제를 살리는 유효한 수단이 될 수 있다”며 “기본소득을 지역화폐 형태로 지급하면 큰 경제적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고 분석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