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 보기가 역겨워/가실 때에는/말없이 고이 보내 드리우리다.// 영변에 약산/진달래꽃/아름따다 가실 길에 뿌리우리다.// 가시는 걸음 걸음/놓인 그 꽃을/사뿐히 즈려 밟고 가시옵소서//나 보기가 역겨워/가실 때에는/죽어도 아니 눈물 흘리우리다.
우리들의 영원한 애송시 김소월의 시 <진달래꽃> 이다. 그런데 소월님의 시 가운데 걸음마다 놓인 꽃을 사뿐히 즈려밟고 가시옵소서라는 대목이 나온다. 이 때문에 많은 사람이 ‘즈려밟다’가 “위에서 내리 눌러 밟다”라는 의미의 바른말인 줄 알고 있다. 하지만 ‘즈려밟다’는 바른말이 아니다. ‘즈려밟다’와 함께 많이 쓰이는 ‘지려밟다’도 바른말이 아니다. <표준국어대사전> 은 ‘즈려밟다’의 바른말은 ‘지르밟다’라고 밝히고 있다. 이때의 ‘지르-’는 ‘내리누르다’라는 의미를 지니고 있다. “신이나 버선 따위를 뒤축이 발꿈치에 눌리어 밟히게 신다”를 뜻하는 말이 ‘지르신다’이고, “아랫니와 윗니를 꽉 눌러 물다”를 의미하는 말이 ‘지르물다’이다. 표준국어대사전> 진달래꽃>
우리는 시에 쓰이는 잘못된 시어들 때문에 혼동을 많이 한다. “어느새 내 마음 민들레 홀씨 되어/강바람타고 훨훨 네 곁으로 간다”는 시가 있다. 그런데 민들레에는 홀씨가 없다. 홀씨는 포자라고도 하며 고사리, 이끼, 버섯 등이 포자로 번식한다. 홀씨는 바람에 날려서 퍼지며 민들레의 씨도 바람에 날려 퍼지기 때문에 홀씨라고 하는 것 같은데 이는 큰일 날 소리다. 민들레는 꽃식물이고 종자로 번식하지, 포자(홀씨)로 번식하지 않는다. “민들레 홀씨”가 아니라 “민들레 속 씨 깃털”이 두둥실 날아가듯이 민들레의 꿈도 널리 퍼지길 기원한다.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BEST 댓글
답글과 추천수를 합산하여 자동으로 노출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