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연금 기금운용본부가 위치한 전북혁신도시를 제3의 금융도시로 지정하는 절차가 진행된다. 한국지엠 군산공장 폐쇄 방침과 현대중공업 군산조선소 폐쇄 등 지역경제가 쑥대밭이 된 상황에서 낭보가 아닐 수 없다.
전북도는 금융위원회가 전북혁신도시를 ‘금융중심지 추진전략 수립 및 추가지정 타당성 검토를 위한 연구’ 용역입찰을 오는 16일 진행한다고 어제 밝혔다. 용역은 올해 12월 21일까지 진행되고 중간보고는 계약일로부터 90일 이내에 이뤄질 예정이어서 적어도 석달 정도 지나면 제3의 금융도시 지정 여부에 대한 윤곽이 드러날 것이다.
국민연금공단은 세계 3대 기금운용기관의 하나다. 연금공단 산하의 기금운용본부는 600조원에 육박하는 기금을 운용하는 큰 손이다. 이같은 기금운용본부를 기반으로 전북혁신도시를 제3의 금융도시로 육성하는 방안은 문재인 대통령의 지역공약이다. 금융위원회의 국제협력팀 역시 제안요청서를 통해 전북혁신도시를 금융도시로 추가 지정하는 방안을 검토할 필요성이 크다고 밝힌 상태여서 당위성은 크다고 하겠다.
전북혁신도시가 제3의 금융도시로 지정되면 서울 부산에 이은 세 번째다. 다수의 금융기관들이 모여 자금의 조달, 거래, 운용 및 기타 금융거래의 중심지 기능을 하게 되고 그러한 특화기능을 할 수 있도록 관련 인프라도 공급된다.
제2의 금융도시인 부산은 주식시장과 채권시장, 파생상품시장을 총괄하며 유가증권 상장 업무를 관장하는 한국거래소(KE)가 2007년 통합 본사를 부산으로 이전하면서 명실상부한 금융도시로 태어났다. 2008년 착공, 2014년에 완공된 63층의 부산국제금융센터(BIFC)는 부산의 랜드마크가 됐다. 금융 보험 무역 관련 기관과 연수원, 대규모 상업시설들이 입주해 있다.
전북혁신도시가 금융도시로 지정되기 위해선 용역에서 타당성이 높게 나와야 한다. 제3의 금융도시 지정 필요성과 타당성, 전북혁신도시를 추가 지정할 경우 관련 법을 살피게 되고 전북혁신도시가 금융도시로 발전할 수 있는 인프라가 충분한 지 등의 기본적인 요건들도 점검할 것이다.
따라서 전북도와 전주시, 국민연금공단 등 관련 기관은 유기적인 협력체제를 가동하면서 준비를 충실히 하고 관련 인프라 확충에 소홀함이 없도록 해야 할 것이다. 금융플러스센터와 연기금전문대학원 신설, 산업은행 등 금융기관의 추가 이전, 접근성 향상을 위한 교통인프라 확충 등이 그러한 것들이다.
모처럼만에 찾아온 호기를 살려 전북혁신도시가 금융시장의 중심지로 발돋움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길 바란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