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 국민연금 제도 개선 전북지역 토론회
세대별로 국민연금에 대한 인식 차이 보여
이날 모인 시민들 노후 불안감 해소 위한 소통·제도 요구
국민연금개선을 위한 전북지역 국민토론회가 1일 농협중앙회 전북지역본부에서 열렸다.
이날 토론회에 모인 시민들은 기금고갈 우려를 완화시킬 수 있는 대책과 소통을 공단 측에 요청했다.
사전 온라인 신청을 통해 모인 전북도민 100여명은 세대와 직업에 따라 연금제도에 대한 다른 시각을 표출했다.
20~40대는 기금소진 이후에 내 연금이 보장되느냐의 문제에 집중했으며, 50~70대 고령층일수록 더 내고 더 받을 수 있는 제도개선을 촉구했다.
토론 참가자는 도내 각계각층을 대변할 수 있는 사람들로 구성돼 논의를 이어갔다.
전문가 대표로 나선 법무법인 모악의 최영호 변호사는 “국가가 망하지 않는 한 연금지급을 이어질 것” 이라며 “그러나 연금제도 지속가능하기 위해서는 사회구조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고 언급했다.
염경석 근로자 대표는 “공무원연금처럼 지급보장 명문화가 우선이다” 며 “시대의 흐름에 따른 더 내고 더 받는 연금이 불가피하다” 고 강조했다.
청년대표로 나선 양동현 씨는 “대학생 등 2030청년세대는 기금고갈 뉴스만 보면 불안하다” 며 “미래세대가 신뢰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이 절실하다” 고 주장했다.
토론회는 기금운용본부 전주이전 이슈도 거론됐다. 군산시민이라고 밝힌 한 참가자는 “지속가능한 연금을 위해서는 기금운용본부의 수익률 제고를 심도있게 논해야한다” 며 “국내외 경제상황이 기금에 미치는 영향 분석과 향후 성장가능성과 같은 이야기보다 지역비하 보도만 판치는 언론에 실망했다” 고 의견을 전했다.
김성주 이사장은 행사시작부터 마무리까지 자리를 지킨 후 느낀 점을 이야기했다. 김 이사장은 “제도 개선을 위해 대국민 토론을 한 것은 공단 역사상 처음”이라며“국민의 다양한 의견이 국민들이 연금에 대한 오해를 불식시키고 제도가 발전하는 데 큰 계기가 될 것이다” 고 말했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