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주시 송천동에 있던 항공대대가 이전한 지 15개월이 된 전주시 도도동. 이곳 마을에 흉가를 방불케하는 허름한 주택이 무너지고 부서진채로 위태롭게 서 있다.
담벼락과 대문은 없어진지 오래고 슬레이트 지붕은 함몰되고 벽은 군데 군데 구멍이 나있어 집안에 있어도 불어오는 비바람을 온몸으로 막아내야 한다.
이 집에서 나고 자라 70년이 넘는 세월을 살아온 A씨는 고향을 떠나야 할 처지라서 막막한 심정이지만 옛 항공대 부지에 조성해주겠다던 이주자택지 조성마저 늦어지면서 하루 하루 고통속에 살고 있다.
전주항공대대 이전으로 삶의 터전을 송두리째 빼앗긴 채 하루하루를 기약없는 고통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 주민들은 A씨외에도 37세대 주민들이 더 있다.
이 마을 49세대 가운데 일부는 현금 보상을 받아 마을을 떠났고 남은 이들은 송천동 이주택지를 선택했는데 종전에 살던 마을에 남아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들은 전주항공대대가 이전한 지난해 1월부터 현재까지 헬리콥터 이착륙 훈련과 비행연습으로 극심한 소음과 진동에 시달리고 있다.
특히 주민 대부분이 새로운 삶의 터전으로의 이주를 기다리고 있기 때문에 거금을 투자해 집수리를 할 수 있는 상황도 아니어서 일부 집에서는 비가 새고 난방도 제대로 되지 않는 상태로 하루하루를 버텨내고 있다.
전주시와 도도동보상협의위원회에 따르면 국방부와 전주시는 항공대 이전을 위한 후보지 선정 절차를 거쳐 지난 2015년 4월 이전사업 합의각서를 체결하고 2016년 11월부터 도도동에 새로운 항공대대 건설을 착공, 2018년 12월 공사를 마쳤다. 지난해 2월 행정절차와 사전점검 등의 절차를 끝내고 이전을 했다.
국방부와 시는 군부대 이전으로 인한 주민 피해와 불편이 발생하지 않도록 환경영향평가 이행사항을 준수하고 주변에 대한 수질·소음 모니터링을 지속적으로 시행하기로 했다.
취침시간 등 취약시간대 비행을 자제하고 주민불편 발생 시에는 저감 방안을 수립하는 등 신속하고 적극적으로 대처한다는 계획을 내놨다.
하지만 이 같은 계획이 제대로 지켜지지 않아 일상생활에 지장을 주고 있다는 게 주민들의 설명이다.
여기에 항공대대 이전이 완료되면 늦어도 2019년 12월까지 송천동(옛 항공대대부지)에 이주자택지를 조성해주기로 한 약속도 이행되지 않아 주민들은 소음과 진동, 야간시간 비행 등으로 고통의 시간을 보내고 있다.
문제는 이주자택지 조성이 언제 시작되고 마무리될지 기약이 없다는 것이다.
완주군 이서면의 소음 문제가 발생하면서 국방부가 ‘기부 대 양여’ 등 모든 행정절차를 잠정 중지해 이주 조성지는 첫 삽조차 뜨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국방부는 전주대대 이전사업 추진과 완주군 헬기소음 민원해소 결과에 따라 ‘기부 대 양여’조건을 이행하겠다는 의견을 내놓고 있어 이주자택지 조성이 기약없이 차일피일 미뤄지고 있다.
전주시 관계자는 “완주군 민원과 항공대대 ‘기부 대 양여’ 절차 이행은 별개의 문제이기 때문에 항공대대·전주대대 합의각서 분리 후 항공대대 기부 대 양여 절차를 이행할 수 있도록 국방부와 송천동 옛 항공대대 부지개발 협의를 추진 중이다”며 “도도동 주민들이 하루속히 이주할 수 있도록 최선의 노력을 다하고 있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