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로가기 버튼
일반기사

전라감영 선화당 주련문 담긴 <풍패집록>, 전주역박 확보

<풍패집록> 전주사람 채경묵 편찬, 필사본
전주지역 총 108개의 상량문·기문류 68편 시 실려
조선말 전주 풍경 생생히 보여주는 자료

풍패집록 표지와 풍패집록 속 선화당 주련문 내용
풍패집록 표지와 풍패집록 속 선화당 주련문 내용

전라감영 선화당 주련문(柱聯文)의 내용이 담긴 <풍패집록> 을 전주역사박물관이 확보했다.

전주역사박물관은 지금까지 찾아지지 않은 전주지역의 기록물 <풍패집록> 을 발굴했다고 29일 밝혔다. <풍패집록> 은 전주지역의 관아, 성문, 학교, 군진, 누정 등의 상량문ㆍ중수기ㆍ시문 등을 비롯해 사가(私家)의 재실과 정려기 등을 일일이 필사하여 엮은 책이다.

이 책은 조선말 전주사람 채경묵이 편찬한 필사본으로, 1책이며 유일본이다.

편찬시기는 조선말 1890년께로 추정된다. 이 책에 수록된 글들을 보면 늦게는 간재 전우선생이 1891년에 지은 <발김효자행실> 이 실려 있다. 전라감사 서호수가 찬한 <희현당중수기> 말미에는 ‘개국 505년 병신(1896)에 훼철되었다’고 세필로 표기해 놓았다. 이 세주는 추기한 것으로 보인다.

책에는 전주지역 총 108개의 상량문ㆍ기문류와 69편의 시가 실려 있다. 이 중에 상량문·기문류 84개, 시 63편 정도가 <완산지> 에 실려 있지 않은 내용들로 그 가치가 더욱 중요하다. 이 책은 조선말 전주의 풍경을 일상 속에서 저 깊은 곳까지 속속들이 생생하게 보여주는 1차적 기록물로 전주의 역사문화를 풍부하게 해주고 이를 복원해 가는데 획기적인 자료다.

특히 주목되는 부분은 관아건물들의 상량문, 기문, 시 등이다. 전라감영 선화당과 작청의 주련문을 비롯해 관풍각, 연신당, 재가청 등에 걸려 있던 편액들이 필사되어 있다. 전라감영 선화당을 복원하고 주련문을 붙이지 못했는데 이제 이 문제도 해결될 수 있게 됐다.

전주 동헌에 걸려 있던 많은 편액들도 책에 필사돼 있다. 동헌의 편액들은 통치행정을 담고 있는 것들로 조선시대 전주지역의 지방통치를 이해하는데도 큰 도움이 된다. 동헌에는 아전들의 세금포탈을 금하는 일, 환곡, 향임 택임을 비롯해 지방통치에 필요한 자료 등이 담긴 편액이 이 책에 담겼다.

관방시설인 남고산성, 위봉산성, 만마관 등의 기문들도 필사되어 있다. 공북루, 진남루, 승금정, 비비정, 한벽당 등 전주지역 누정과 다가정, 천양정, 읍양정, 군자정 등의 활터의 기문과 시 등이 필사되어 있다. 향교와 희현당, 양사고 등의 교육 관련 건물, 풍남문, 패서문 등 전주성의 문루에 대해서도 알려진 기록물과 다른 기문들이 필사되어 있다.

채경묵은 평강채씨로 전주에 세거한 가문의 후예다. 그는 조선말 전주지역의 이런 기문들을 일일이 답사하고 모아서, 필사했다.

채경묵은 이 책을 쓴 이유에 대해 “명사들조차 자신들이 사는 지역을 잘 모르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풍패집록> 의 가치가 확인됨에 따라 전주역사박물관은 이 책을 매입해 소장하고 있다.

박물관은 <풍패집록> 의 영인본 출판에 들어갔으며, 1월 중순경에 마무리 작업을 마치고 출간될 방침이다.

이동희 전주역사박물관장은 “전주에 대한 새로운 자료를 발굴해 출간하는 것으로 박물관 일을 마무리하게 되어 뜻깊다”고 말했다.

최정규
다른기사보기
저작권자 © 전북일보 인터넷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개의 댓글

※ 아래 경우에는 고지 없이 삭제하겠습니다.

·음란 및 청소년 유해 정보 ·개인정보 ·명예훼손 소지가 있는 댓글 ·같은(또는 일부만 다르게 쓴) 글 2회 이상의 댓글 · 차별(비하)하는 단어를 사용하거나 내용의 댓글 ·기타 관련 법률 및 법령에 어긋나는 댓글

0/ 100
최신뉴스

전북현대[CHAMP10N DAY] 전북현대 ‘우승 나침반’ 거스 포옛·박진섭이 말하다

전주‘전주 실외 인라인롤러경기장’ 시설 개선…60억 투입

영화·연극제27회 전주국제영화제 한국영화 출품 공모 시작

김제김제시 종자산업 혁신클러스터 조성 ‘파란불’

금융·증권미 증시 덮친 'AI 거품' 공포…한국·일본 증시에도 옮겨붙어